메뉴

미얀마 80만평 LH한국형 산단 '한강의 기적' 재현할까

양곤 북부 흘레구 LH 기공식, 동남아 마지막 미개척지서 신남방정책의 아이콘 주목

 

신남방정책이 미얀마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 미얀마 양곤 북부 흘레구에 224만 평방미터의 LH의 한국형산업단지가 조성된다.

 

지난 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미얀마 정부와 공동으로 투자해 조성하는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KMIC)’가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기공식을 가졌다.

 

이 한국형산단은 총사업비가 1300억원에 달한다. 전반적으로 LH가 운영하고 미얀마 건설부가 현물을 투자했다. LH는 50년 토지 사용권을 갖는다. 미얀마 정부는 한국 정부의 대회경제협력기금(EDCF) 700억 원을 바탕으로 진입도로, 전력 등 인프라를 지원한다.

 

10년 된 일본의 짜욱표-다웨이, 3년 된 중국의 띨라와 경제특구에 비해 한국의 국가적인 투자 행보가 한발 늦은 감도 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7년 만의 국빈 방문, 국가고문 수치 여사의 ”한국 성장을 배우겠다“는 등 한-미얀마 경제협력은 빨라지고 있다.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세안(ASEAN) 회원국인 미얀마는 동남아 마지막 미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한강의 기적’으로 ‘양곤강의 기적’으로 이식, 재현해 ‘신남방정책’의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최초 민-관-공 협력 모델...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 인접, 공항 30분-항구 1시간

 

미얀마는 방글라데시, 인도, 중국, 라오스, 태국 등 5개 국가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면적은 약 67만 1,000km2으로 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3배다. 북서쪽으로는 방글라데시와 인도, 북동쪽으로는 중국, 남동쪽으로는 태국과 라오스가 위치해 있다.

 

특히 미얀마는 인도와 아세안 소비자를 연결하는 잠재적 요충지이다. 국토 남부 미얀마 최대도시 양곤시의 북부 10km에 위치한 산단은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첫 삽을 떴다. 지분은 LH 40%, 미얀마 정부 40%, 글로벌세아 20%다.

 

KMIC는 한국기업전용공단이다. 한-미얀마 간 첫 번째 정부대정부(G2G) 사업이자 최초 민-관-공 협력 모델로 산업단지와 신도시 형태로 개발된다. 인접에 80만 인구가 있어 풍부한 노동력을 확보되어 이미 입주의향서는 공급초과를 보일 정도로 인기다.

 

 

공단은 북부 만델레이-수도 네피도-양곤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 인접한 양곤 북구 흘레구에 있다. 30분이면 양곤 공항, 1시간이면 항구와 연결되어 물류와 교통접근성에서 탁월하다.

 

LH는 양곤주와 양곤강 남부에 한국의 강남개발 모델을 적용한 ‘달라신도시’ 스마트도시와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MOU도 맺었다.

 

■ 2011년 대외 개방 이후 6~7% 경제성장률 ‘양곤강의 기적’ 기대

 

미얀마의 장점은 한국과 비슷한 인구 5000만 명과 중국-인도-아세안 3대 신흥경제권의 접점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인도양 출구이자 인도의 동남아 입구다.

 

1998년 군사쿠데타, 2003년 아웅산 수지 감금 이후 경제 봉쇄는 2012년 이후 단계적 제재 완화, 2016년 완전 해제 조치 이후 연간 6~7% 경제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2015년 IMF 보고서는 아시아 경제성장 중심 축이 중국-베트남-미얀마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미얀마 국가별 투자로는 중국이 1위 26.0%로 싱가포르 25.4%, 태국 14.3%이 이었다. 한국은 5%로 6위고 일본은 1.5%로 10위다.

 

한국은 현지 진출 봉제공장에 중간재 수출 중심으로 2017년 자동차 33.5%, 산업기계 11.9%가 늘었다. 한국은 원유-가스 77%, 제조업 16% 비중이다.

 

 

미얀마는 2002년 TV 드라마 ‘가을동화’ 이후 16년간 골든타임대에 한국 드라마가 상영되고 있다. 가히 K-드라마 열풍이 사그라지 않고 있는 ‘한류’의 든든한 지원국이기도 하다. 아이돌그룹 EXO 팬클럽 17만 명으로 세계 4위를 기록중이다.

 

엄은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미얀마는 1997년 아세안에 가입했지만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았지만 2008년 10만명을 잃은 태풍 ‘나르기스’ 이후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아세안국가 10개국 중 베트남에 너무 집중했다. 캄보디아나 라오스는 인구구조나 제조업 모델에서 대안이 되기 어렵다. 미얀마는 제조업에서 베트남+@가 될 수 있다. 눈여겨 볼만한 것은 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복잡한 문자체계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의 문해율이 89% 이상으로 매우 높고, 책 읽기를 일상적으로 좋아하고 가까이 하는 인구가 많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한-미얀마경제협력 산업단지’와 ‘달라신도시’로 새로운 한-미얀마 협력이 ‘한강의 기적’에서 ‘양곤강의 기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날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