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간] 더 차이나, ‘미중 패권경쟁’ 맞서는 중국 혁신전략

칭화대 출신 박승찬 용인대 교수, 중국이 꿈꾸는 '반격의 기술' 해부

 

미국-중국 패권경쟁이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가 펴낸 ‘THE CHINA 더 차이나’는 ‘미중 패권경쟁’의 한 축인 중국의 혁신 전략의 실체를 파헤친 책이다. 부제도 '중국이 꿈꾸는 반격의 기술을 파헤치다'다.

 

■ 차이나이노베이션, 초격차 기술선점을 향한 중국의 ‘혁신전쟁’

 

미-중 패권경쟁을 아는 이들도  중국의 혁신 전략의 실체를 아는 사람은 극소수다. 이 책은 초격차 기술선점을 향한 ‘혁신전쟁’에 맞서는 중국식 ‘혁신’의 실체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과 생생한 현장 경험을 엮어냈다.

 

G7은 세계의 부와 무역을 지배하고 있는 서방 7개 선진공업국의 연례 경제정상회담을 가리킨다. 그 중 G1인 미국을 향한 중국과 이를 분쇄하려는 미국의 전략적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식 혁신의 실체를 알아야만 미중 패권경쟁의 숨겨진 퍼즐을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차이나 이노베이션’이라고 불리는 중국의 혁신 변화가 여느 국가와는 다른 부분이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중국의 발전을 평가절하하고 있다.

 

14억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쌓은 막대한 부의 재투자, 이를 통한 ‘카피’ 기술의 발전 정도로 생각하는 이도 많을 것이다.

 

■ 중국 공산당이 미래지향 사고방식으로 조용히 변화 중...중국에 대한 새 시각이 필요

 

공산당이 통제하는 나라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이란 키워드가 선뜻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바로 이점에서 중국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중국’, 아니 엄격히 말해 ‘중국 공산당’은 과거의 경직된 이념과 전통적인 성장방식에서 유연하고 미래 지향적인 사고방식으로 조용히 변화하고 있다.

 

두려운 것은 이런 변화가 9300만 공산당만의 얘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14억 중국인의 삶과 사회를 바꾸고 그들을 ‘중화사상’과 ‘중국몽’이라는 이름으로 묶기 때문이다.

 

즉, 혁신을 행하고 있는 주체가 9300만의 공산당이고, 혁신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수많은 이름으로 철저하게 이행되고 있다는 점을 저자는 책에서 상세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과 통계를 따라가다보면 중국 기업의 기술 발전이 중국, 아니 중국 공산당의 큰 그림 하에 그려진 일부라는 점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 빅데이터, AI 등 중국의 혁신기업 '반격의 기술' 비장의 무기 

 

빅데이터, AI 등 중국의 혁신기업은 별도로 2장에 상세하게 담아내고 있으나 이는 중국을 이해하는 시각의 일부라는 점에서 책에서 다루는 내용은 훨씬 방대하고 깊이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저렴한 인건비를 무기로 전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이 중국에 투자를 했고 14억의 내수시장은 그 어떤 시장보다 거대한 시장이었다. 이제 중국은 대국을 넘어 강국을 꿈꾸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할 ‘반격의 기술’을 숨겨두고 있다. 그것은 가장 가까이 있는 한국에 기회이자 위협이 될 것이다.

 

‘THE CHINA 더 차이나’는 세계 최강대국 미국과 맞서는 나라이자 한국과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 중국의 혁신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여 한국 경제의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박승찬 교수는?

 

중국 최고 명문 대학인 칭화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중대사관 경제통상관 및 중소벤처지원센터장, 중국경영연구소, 중국학과 대학 교수 등 다양한 곳에서 누구보다 활발한 활동을 통해 3000개가 넘는 한국 기업의 대중국 진출을 직접 현장에서 지원하고 있다.

 

칭화대 한국 총동문회장을 맡고 있으며 전 세계 칭화대 동문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사업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국내에서 보기 드문 중국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중사회과학 학회 및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부회장, 코트라KOTRA 한중 FTA전문위원, 인천광역시 인차이나 포럼 조직위원 등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