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의 관세 조치에 국내에서 관세 문의가 폭주하고 있다.
품목과 관세율 등의 정보를 알려주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의 ‘관세대응 119’ 상담 건수가 2개월 만에 3000건을 넘어섰으며 하루 200건이 넘기도 했다.
이에 산업당국은 ‘찾아가는 설명회’ 등 전방위적으로 기업의 관세 애로 해소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4월 22일 산자부・코트라(KOTRA)는 지난 2월 18일부터 4월18일까지 ‘관세대응 119’를 통해 접수된 관세 상담문의가 총 3,022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상담내역을 보면 ▲관세 관련 문의 68% ▲대체시장 진출 7% ▲생산거점 이전 4% ▲기타(인증・규격 등) 21%로 관세 문의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기업들은 미국의 상호관세 품목 여부와 관세율 등을 집중 문의했으며, 4월 초 상호관세 발표 시점에는 하루 200건 이상의 상담이 이뤄졌다.
상담은 대미 무역 경험이 30년 이상인 수출전문위원들이 직시스템(일 평균 접 수행한다. 이들은 품목별 관세 안내 외에도 ‘온라인 관세 확인 방문 2000건)’과 ‘관세대응 바우처’ 등 지원사업을 안내 중이다.
정부는 실시간 정보 접근이 어려운 기업들의 정보 애로 해소를 위해 지난 3월부터 전국 주요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관세 대응 설명회’도 개최(누적 30회)하고 있다.
설명회에는 총 3,000명 이상(누적)이 참석해 미국 관세정책, 대체시장 발굴, 해외 생산거점 이전과 관련한 1대1 개별상담이 진행됐다.
정부는 오는 5월 중 베트남 등 현지에서 ‘관세 대응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유관기관 사업과 지원사업도 연계한다. KOTRA는 매주 ‘통상환경 비상대응 정기 설명회’를 개최해 기업의 정보 애로 해소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