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항우연 핵심인력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탈 조짐

조광래 전 원장 포함 20명 인력 등 거론
공직자윤리법 등 저촉될까?

 

지난 9월 11일 디지털타임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의 핵심인력들이 민간 우주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대거 이적할 조짐을 보인다고 단독 보도했다.

 

총 2조원 규모의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항우연 발사체 인력들이 민간 기업으로 대거 이적한다는 것에 논란이 일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누리호에 이을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이르면 9월 중에 시작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우주사업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CTO 겸 원장으로 조광래 전 항우연 원장을 포함해 항우연 연구원을 20명 정도 영입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광래 전 원장은 국내 우주개발 1세대로 우리나라 최초 고체연료 로켓인 KSR-1의 개발과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개발을 지휘했고 2014년부터 3년 간 항우연 원장을 역임했으며 누리호 개발에도 참여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런 전문성에 30년 간의 경험과 역량을 높이 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항우연 측에서는 아직 조광래 전 원장을 비롯해 연구원들 중에서 사표를 제출한 사람은 한 명도 없지만 이직을 위한 접촉은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한화에어로스페이는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으로 최종 선정되면서 항우연이 축적한 누리호 기술과 노하우를 이전받아 4차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도하게 된다.

 

지난 2023년 5월 누리호 3차 발사에도 참여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2‧3단을 결합하는데도 참여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차례에 걸친 누리호 발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도하고 이후 국내외 기관을 대상으로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차후 우주시장을 미래 먹거리로 설정하고 항우연 발사체 인력을 영입대상으로 삼아 기존 연봉의 최소 2배를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시기다. 10월 중 예정된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시점에서 항우연 인력의 이직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볼 여지가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에 선정됐지만 그 보다 윗단계인 ‘한국형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기업’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 내주게 될 경우 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인력을 영입해 경쟁 상태에 쐐기를 박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의 스페이스X가 민간 우주산업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또한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어 연구자들이 산업현장으로 옮겨가는 것이 문제로 보기는 힘들다.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은 기업으로 옮겨가는 것은 인력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지는 점에서 긍적적으로 볼 수있다는 의미다.

 

다만, 차세대발사체 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앞둔 시점에서 공정성 논란 소지가 있다는 점은 피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국가의 투자를 통해 기술력을 쌓은 연구자들이 해오던 업무와 경쟁하는 기업으로 일하는 것은 공직자윤리법과도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