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7일부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입국할 때 적용되던 3일 격리 의무가 면제됐다. 2022년 6월부터는 일본 입국자 수 상한도 지금의 2배로 늘어나고 김포-하네다 노선도 재개된다. 현재까지는 비즈니스 출장 등의 목적으로만 입국이 가능하지만 일본 정부는 곧 외국인 관광객 수용을 위한 실증 실험도 시작할 예정이다. 일본 외무성은 한국에서 일본으로 입국할 사람들 중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자에 대해서 검역소장 지정 시설에서의 3일 격리 의무를 해제하고 일본 도착 후 공항에서 실시하는 검역 당국의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으면 격리가 면제된다. 백신을 3회 접종하지 않은 경우는 시설 격리 의무가 있지만 입국 3일쨰 이후에 실시한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아 제출하면 격리가 해제된다. 요리우리 신문은 일본 정무는 공항으로 입국하는 입국자 전원에 대해 실시하는 항원 검사도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면제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출국 전 검사의 정밀도가 높은 국가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이 대상으로, 모든 입국자에 대해 출국 72시간 내 실시한 PCR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증명서를 요구하는 것은 지속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또 다음 달부터 입국자 수 상한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베이징시가 외국 투자자들의 호소에 입국자의 호텔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추가 완화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은 ‘3주 시설격리’라는 강력한 방역조치를 엄격히 적용해왔으나 지난 5월 7일 10일 시설 격리+7일 자가 격리로 이를 완화했다. 베이징시는 여기서 한 발 더 나가 7일 시설 격리+7일 자가 격리로 격리 정책을 추가 완화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가 완화 조치는 중국의 엄격한 격리 정책 때문에 현지로 주재원을 보내는 것을 외국 기업들이 꺼려하고 있어 이러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소식통은 밝혔다. 또다른 소식통은 추가 완화 조치에 대해서 다국적 기업들이 베이징시에 브리핑을 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긴 입국자 격리 정책이 다국적 기업들의 공통된 불만 사항이었다는 점도 덧붙였다. 또한 이러한 격리 정책과 봉쇄를 포함한 ‘제로 코로나’ 정책은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시는 지난 5월 7일 입국자에 대한 격리 완화를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주종인 오미크론 변이의 잠복기가 짧은 특성과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점을…
4월 동안 중국 위안화는 지속적인 약세를 보였다. 유료화와 일본 엔화와 마찬가지로 미국 달러에 대해 평가 절화되는 추세를 보인 것이다. 4월 29일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6.6177까지 치솟으면서 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6.6위안대로 상승한 것은 약 1년 5개월 만이다. 역외 달러 - 위안화 환율은 한 때 6.6938위안을 기록하며 1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위안 환율 상승은 위안화가 약세를 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안화는 4월 말 중 주간 단위로 2.4% 하락했고 4월간 단위로도 4.2%나 하락하면서 1994년 통화시장 개혁 조치를 단행한 이후 최대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는 지난 2005년 달러화 페그제 종료 이후 최대 낙폭이라며 위안화 약세를 평가했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평가받는 중국이 코로나19로 인해 장기간 도시 봉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역할을 못하면서 내수와 수출이 모두 격감할 것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외부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조짐과 함께 미국 연준(Fed)의 통화 긴축정책 가속화가 예상됐다. 중국의 경제성장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면서 4월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4월…
중국 경제수도 상하이시가 28일 오전 5시부터 2단계 도시봉쇄(락다운)에 돌입했다. 시 당국은 4월 5일까지 두 지역(황푸강 기준)을 나눠 2부제 락다운을 실시하기로 했다. 상하이 방역당국은 27일 일주일간 무증상 감염자 폭증에 따라 코로나19 예방관리업무를 전격 발표했다. 도시 인구 2600만 명(2020년 기준)의 상하이 코로나19 확진자는 27일 2678명(25일 2269명)이었다, 이 지침에 따르면 3월 28일부터 4월 1일, 4월 1일부터 5일까지 도시를 크게 두 지역으로 나눠 4일씩 ‘전면 도시봉쇄’과 ‘전수 검사’ 등 2단계 방역태세에 돌입한다. 목표는 “코로나19 확산세를 억제하고 인민 대중의 생명과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사회면동태의 제로화”다. 이번 봉쇄는 2020년 초반 우한 봉쇄 이후 가장 광범위한 조치다. 이는 8일간 도시 기능이 반씩 정지되고 생산시설도 최소 4일씩 셧다운이 예상된다. 봉쇄기간 시민들은 외출을 금지된다. 생필품 구입은 비접촉 배송으로 해결해야 한다. 버스나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 운행도 중단된다. 물, 전기, 가스, 통신 등 공공 서비스 업종만 예외다. 이 같은 도시봉쇄로 전세계 가장 많은 인구를 가
러시아 정부가 중국의 결제 서비스인 유니온페이(Union Pay)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지난 3월 6일(러시아 현지시간) 러시아 중앙은행은 스베르방크 은행 등은 러시아 결제 시스템인 미르와 제휴한 중국의 유니온페이와 발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180개 국에서 사용이 가능한 유니온페이는 200년 중국 은행카드의 연합체로 출범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의 산하기관으로 출범한 지불결제 서비스로 은련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해 현재의 유니온페이로 이름을 바꾸었다. 러시아가 유니온페이의 사용을 검토하게 된 배경은 서방권이 러시아 경제제재를 검토하면서 스위프트(SWIFT) 제재에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가 동참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러시아 은행들이 발급한 비자와 마스터카드의 경우 9일 이후 국외에서 사용이 중지되지만 자국 내에서는 만료시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4일 분의 석유를 내놓고 유가 안정에 동참한다. 지난 3월 4일 교도통신은 일본의 하기우다 고이치 경제산업상이 국제에너지기구(IEA)와의 논의와 결정된 바에 따라 일본의 비축 석유 750만 배럴을 방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민간경제 유지와 산업용으로 70일 분의 석유를 비축하고 있는데 3월 한 달 동안은 66일 분으로 조정해 4일 여분을 시장에 방출하고 시장의 유가 안정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일본 정부는 휘발유 등 유가 소매 가격이 급등하는것을 억제하기 위해 정유회사에 지급하는 보조금을 10일부터 리터당 최대 25엔으로 올리기로 했다. 한편 3월 5일 한국 정부 또한 IEA와 협의해 비축유 442만 배럴을 방출을 결정하면서 유가 급등세는 안정화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인구가 2015년 이후 약 0.7%에 해당하는 94만여 명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총무성은 2020년 인구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2020년 10월 1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 인구는 1억 2614만 6000명으로 2015년 조사 때와 비교해 94만 9000 명이 줄었다고 발표했다. 경제 활동 주체인 생산 가능 인구(15~64세)는 7508만 8000 명으로 최근 5년간 22만 6000 명이 감소했고, 14세 이하 아동 인구는 1503만 2000 명으로 6%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3620만 7000 명으로 7% 증가해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가 뚜렷해졌다. 1인 가구 증가로 일본 총 가구 수는 5570만 가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인 가구는 2115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8%를 차지해 고령자 가정의 ‘고독사’ 등 사회 문제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도(道), 부(府), 현(县) 등 일본 행정구역 47개 중 39개 지역 인구가 줄었으며, 인구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아기타현(秋田县)으로 6.2% 감소했다. 후쿠이(福井), 와카야마(和歌山) 등 10개 현 인구는 100만 명을 밑돌았다. 일본 인구 조사는
중국 정부가 2025년까지 빅데이터 산업 규모를 3조 위안(원화 약 599조 3200억 원) 이상 규모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澎湃新闻)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제14차 5개년(2021~2025년) 빅데이터 산업 발전 계획’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 빅데이터 산업 규모를 3조 위안 이상으로 확대하고 연평균 복합 성장률을 25%로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공업정보화부는 차세대 통신망 인프라를 구축해 5G 네트워크와 기가바이트(GB)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건설을 강화해 산업 인터넷, 자동차 네트워킹, 지능형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지능형 전략망 등 구축을 가속할 계획이다. 질서 정연하고 번창한 생태계 조성과 시장 주체 육성을 위해 선도 기업이 지속해서 자주 혁신과 제품 경쟁, 지식재산권 확보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중소기업이 전문화‧정밀화‧특성화‧혁신의 ‘전정특신(专精特新) 강소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선도기업이 데이터‧알고리즘 등 자원을 제공‧장려할 예정이다.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제14차 5개년 소프트웨어와 IT 서비스업 발전 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기업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이 14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