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핫] 동남아의 2022 그리고 2023...핵심 이슈 톺아본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 2월 1~2일 제5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

 

 

“동남아시아의 2022년, 핵심 이슈를 짚어보고 2023년을 전망한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2월 1일(수)과 2일(목)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개최한다.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사)한국동남아학회의 학회지 동남아시아연구 에서 매년 특집호로 기획 출간하는 국가리뷰 내용을 필진이 직접 나서 학회원, 연구자, 대학원생 및 일반 대중과 공유하고 토론하는 학술행사이다.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대외관계(한국과의 관계 포함)에서의 핵심 쟁점과 주목할 만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톺아보고 논의하는 장이다. 이제는 매년 8월 개최되는 정기학술회의와 함께 연례행사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각국 리뷰를 녹화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시작된 첫 설명회 이래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매년 줌을 활용한 실시간 웨비나로 개최되어왔다.

 

2023년을 맞아 어느덧 5회차에 접어든 이번 설명회의 첫날에는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의 2022년 동향을 짚어본다. 이튿날에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아세안의 동향에 관한 발표가 이루어진다.

 

줌을 활용한 실시간 웨비나로 개최되는 본 설명회의 질의응답 과정에는 토론자 외에도 웨비나에 접속한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또한 웨비나 녹화본은 편집을 거쳐 유튜브에 게시되므로 실시간으로 접속하지 못하더라도 유튜브에서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로 검색하여 지난 회차 영상과 함께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다.

 

설명회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사전 등록이 필요하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을 방문하여 사전 등록 양식을 제출하면 설명회 당일 이메일로 줌 링크를 받아볼 수 있다.

 

 

■ 2023년 2월 1일(수)

10:00-15:30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

 

사 회 전제성(전북대)

개회사 김형준(한국동남아학회장, 강원대)

“베트남 2022: 가시적 성과에 가려진 구조적 모순”

발표: 백용훈(단국대), 토론: 이한우(서강대)

“태국 2022: 위기가 가지고 온 변화의 기회”

발표: 현시내(서강대), 토론: 이상국(연세대)

“캄보디아 2022: 위기 극복과 권력 세습”

발표: 정연식(창원대), 토론: 박진영(전북대)

“미얀마 2022: 혼돈의 지속”

발표: 박장식(동아대) 토론: 김희숙(전북대)

“싱가포르 2022: 포스트 팬데믹, 포스트 고령사회의 제도적 조치를 선도한 국가”

발표: 김종호(서강대), 김지훈(인하대), 토론: 김주영(전북대)

 

 

■2022년 2월 2일(목)

13:00-16:20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세안]

 

사 회: 김희숙(전북대)

“필리핀 2022: 전통적 가문정치의 귀환과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회복 과제”

발표: 정법모(부경대) 토론: 김동엽(부산외대)

“말레이시아 2022: 안와르 집권과 개혁과제”

발표: 황인원(경상대), 김형종(연세대), 토론: 고영경(고려대)

“인도네시아 2022: 재도약을 위한 첫걸음”

발표: 정정훈(서강대), 토론: 김형준(강원대)

“아세안 2022: 아직 찾지 못한 출구”

발표: 이재현(아산정책연구원), 토론: 이진영(전북대)

 

 

■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이하 전동연)는?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이하 전동연)는 2018년 12월에 설립되었다. 전동연은 ‘동남아’를 명칭에 담은 대학연구소로서는 국내에서 세 번째 연구기관이다. 동남아 지역연구의 수행뿐 아니라 전북대 동아시아-다문화 융복합연계전공, 동남아언어여름캠프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 육성을 위한 혁신적 실천하고 있다.

 

지난 4년간 전동연은 교내 교수 28명이 참여하고, 교외의 국내외 연구자 43명이 함께하고, 협력기관이 20개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한국동남아학회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고 서강대 동아연구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교토대 동남아지역연구소 등 국내외 동남아 관련 연구기관들과도 학술연구 및 교육협력 관계를 맺어 실질적으로 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