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벤처인큐베이터가 최대 1억원의 창업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는 예비창업패키지 소셜벤처분야 사업에 참여할 예비창업자를 모집한다. 벤처기업협회(회장 안건준)이 운영하는 서울벤처인큐베이터(SVI)는 예비창업자의 원활한 초기 창업사업화를 위해 최대 1억 원의 사업화자금과 창업교육, 멘토링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예비창업패키지 소셜벤처 분야의 예비창업자를 모집한다. 총 100명의 예비창업자를 선발해 사업화 자금과 함께 소셜벤처 엑셀러레이팅 과정을 통해 사업초기 단계별 맞춤형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협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 연계, 서비스 등의 후속지원을 통해 소셜벤처 창업가를 육성할 계획이다. 예비창업가는 공고일을 기준으로 창업 경험이 없고, 신청자 명의의 상버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야 한다. 만약, 지원자가 폐업 경험이 있을 경우 이종업종의 제품이나 서비스 분야에 대해 창업하는 케이스로 지원해야 한다. 예비창업자는 벤처기업협회가 주관기관으로 선택해 창업아이템을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개발 동기, 사업화 전략, 사회적 가치, 성과창출 전략, 대표자와 팀원의 역량 등을 서류 및 발표를 통해 최종 선정한다. 선정된 예비창업자는 협약 종료일 2개월 이전에 반드시 창업
미국계 다국적 투자은행 골드만삭스(The Goldman Sachs Group, Inc)는 2020년 1분기 중국 경제가 –9% 정도로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17일 블룸버그(Bloomberg) 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2020년 1~2월 경제 수치를 고려했을 때 1분기 중국 GDP의 성장률 전망을 기존 2.5%에서 –9%로 하향 예측했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각 국가들의 2분기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 역시 경제 회복이 억제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020년 3분기가 되어야 중국 GDP는 이전의 성장 속도를 회복할 것이고 경제 성장률 역시 3% 정도로, 원래 예상치인 5.5%에 크게 모자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2020년 1~2월 주요 경제 지표를 보면 해당 기간 산업생산 증가율이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13.5%를 기록했고, 소비재 판매 총액 역시 –20.%를 기록했다. 인프라 시설 투자가 포함된 고정자산 투자는 저년 대비 24.5% 급락하고 부동산개발투자 역시 16.3% 하락을 겪었다. 민영기업 투자도 26.4% 감소하고 상업 부동산 매출은 40
신세계 그룹이 로젠택배 인수를 통해 온라인 유통사업인 SSG닷컴(쓱닷컴)의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로젠택배는 2016년 매각 절차를 진행했지만 무산된 이후 재매각에 나서고 있다. 홍콩계 사모펀드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PEA)가 지분 100%를 보유중인 로젠택배 인수에 신세계가 매각 주관사 씨티글로벌그룹마켓증권에 인수 의향을 전달했다. 현재 로젠택배 인수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것은 JC파트너스와 위메프, 키스톤PE, 웰투시인베스트먼트 등이지만, 신세계는 인수 의사를 타진한 다른 기업들과는 체급을 달리는 거대 공룡이다 신세계가 로젠택배 인수에 관심을 가진 것은 신세계가 가진 온라인 배송 서비스 쓱닷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는 것이 시장의 평가로 예상되는 매각 금액은 약 4000억원 수준이다. 쓱닷컴은 2019년 상반기 거래액이 저년 대비 14% 증가했고 3분기에는 21%, 4분기에는 28%로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배송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서 2020년 2월에는 전년 대비 58%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현재 쓱닷컴의 배송은 CJ대한통운 등에 외주를 맡기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쓱닷컴의 배송 처리가 지역별로 최대 20
한국과 미국이 60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19일(현지 시간)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600억 달러(한화 약 76조)의 양자간 통화스와프계약(Bilateral currency swap arrangements)를 체결했다. 통화스와프는 경제 위기 상황에서 두 나라가 서로 통화를 맞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계약된 환율에 일정한 시점에 상호 교환하는 외환 거래로, 계약을 맺은 상대국 중앙은행에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국을 비롯해 미국-유럽 등 전세계 금융 시장이 흔들리면서 원화 가치도 급락하는 상황에 이루어졌다. 계약 기간 6개월로 2020년 9월 19일까지 계약이 유지된다. 연방준비제도는 캐나다‧영국‧유럽‧일본‧스위스의 5개 국과 상설 스와프 계약을 맺고 있는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한국‧노르웨이‧스웨덴‧호주‧뉴질랜드‧브라질‧멕시코‧싱가포르 등 9개 국가와 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한‧미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것은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 때가 처음으로 이번이 2번째다. 당시에는 300억달러 규모로 체결되었고 이번에는 600억달
농심이 영화 '기생충'의 오스카 효과를 등에 업고 지난 2월 월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18일 농심은 짜파게티의 2월 해외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50만 달러(한화 약 1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짜파게티의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1805억 원의 매출을 달성해 시장 전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는 신라면이 차지했다. 2020년 1월과 2월 매출 추이도 증가하고 있어 3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농심 내부에서는 사상 첫 2000억 원 매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편, 농심은 ‘기생충’의 오스카 상 수상 이후 유튜브(Youtube)의 농심 채널에 짜파구리 조리법을 11개 언어로 업로드했다. 농심 측에서는 짜파구리 제조법을 접한 뒤 현지에서 짜파게티 판매 요청이 증가하면서 실제로 수출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국가는 미국으로, 70만 달러(한화 약 8억 8000만 원)이 판매됐고 뒤이어 일본, 베트남이 매출 상위권을 기록했다. 이전에 판매가 되지 않은 국가에 수출 판로를 늘린 것도 영향을 미쳤다. 칠레, 바레인, 팔라우, 수단 등의 국가들에 신규 판로를 개척하면서 수출국도 70개로
중국의 IT 대기업인 텐센트(Tencent)가 한국의 P2P 금융업계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2P금융업계는 P2P금융 투자를 허용하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 소위 ‘P2P금융법’이 통과됨에 따라 2020년 8월부터 투자한도 최대 1억원, P2P 사업자의 자기자본 등록요건을 연계대출채권 잔액에 따른 5억~30억 원으로 정하는 등 제도권 진입이 가시권에 들어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대기업인 텐센트의 국내 P2P 금융업계 투자 소식은 업계에 활력을 부여할 전망이다. 연초에 국내 P2P 기업들과 투자에 관해 이야기가 오고갔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결정이 미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P2P금융업계의 규모와 텐센트가 과거에 투자한 이력들을 바탕으로 최소 규모의 투자액이 50억 원을 상회할 것으로 업계에선 예측하고 있다. 텐센트가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자는 대부분 게임업계를 위주로 이루어졌다. 2010년 이후 CJ 게임즈(5300억 원), 카카오(720억 원), 리로디드스튜디오(55억 원) 등으로, 텐센트의 서비스와 연계하기 좋은 사업들에 집중되어 있다. 텐센트가 P2P금융업에 투자를 검토하는 것
보르네오 벌레틴(Borneo Bulletin)에 따르면, 브루나이 의회의 의원이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브루나이 인력들을 해외로 수출하는 것을 제안했다. 2018년 경제기획통계국(Department of Economic Planning and Statistics, JPES)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브루나이의 실업률은 8.7%를 기록했다. 제 16차 국회(Legislative Council) 3일째에 빈 아흐마드(Yang Berhormat Iswandy bin Ahmad) 의원은 브루나이의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인적자원들을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빈 아흐마드 의원은 “학교를 졸업한 취업할 수 있는 인재들이 있다. 이들이 이제 해외로 진출해야 할 때다.”라고 발언하며, 진행을 위해 관련 부서와 사무국이 설립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브루나이 비전 2035 달성을 위해 주요 결과 지표의 달성을 확인해야 한다면서 “국가도 경제 안정과 발전을 위해 정부‧민간이 함께 미래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년 태국이 5년만에 선거를 치르면서 정치적인 변혁과 함께 태국이 현재 겪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점이 표면으로 떠올랐다.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강사이자 동남아연구소 객원원구원인 한유석 박사는 한국동남아학회의 '동남아연구 제 30권에서 ‘군부중심의 연정체제의 확립과 고령화 현상의 가속’이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을 통해 해당 현상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태국 총선거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팔랑쁘라차랏당(Palang Pracharat Party)이 승리하면서 쁘라윳 짠오차(Prayut Chan-o-cha) 총리가 취임했다. 사회적으로는 태국가족계획사업과 의료복지 제도 확립으로 선진국에서 나타나던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양극화 문제와 지역 불균형 발전 문제 역시 태국의 현재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 친군부 연정 정권의 성립과 신생정당의 대두 2014년 쿠데타로 등장한 군부는 끊임없이 선거를 미루다 2019년 3월 24일 5년만의 선거를 실시했다. 선거 결과 총득표 1위는 843만 표를 획득한 팔랑쁘라차랏당이 기록했고, 지역구와 비례대표 포함 총 116석(지역구 96석, 비례대표 19석)을 차지했다. 반면, 지역구당선
특허청이 기존 특허 등록 서비스인 특허로를 모바일 환경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재개편해서 공개했다. 특허청이 서비스하는 전자출원 홈페이지 특허로가 개편을 마무리했다. 개편된 특허로는 상표출원부터 통지서 수신, 수수료 납부, 심사처리 현황 조회, 등록블 발급 등의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 특허로는 단순하게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한 것 뿐 아니라, HTML5 기술의 반응협 웹으로 화면이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기기 환경에 맞는 UI를 제공하고 공인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등으로 간편 인증 기능도 사용 가능하다. 출원데이터 자체는 블록체인 기반의 출원 중계서버에 구축해 휴일을 비롯해 하루 24시간 무중단 출원 접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초기화면에서 직접 사용자의 선호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특허로의 환경 적응을 위해 기존 특허로에서 1달간 병행 운영을 하면서 신규 서비스로 접근을 안내하고, 특허를 비롯해 실용신안‧디자인‧상표 등에도 적용해 이용할 수 있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우선은 상표 분야에서 모바일 출원을 시작했지만, 조만간 특허-디자인 등 모든 지식재산권으로 확대하기 위해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미래를 바꾸는
스마트 물류기업 위킵(Wekeep)이 네이버(Naver)로부터 55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2017년 10월 이커머스 물류 서비스 기업으로 시작한 위킵은 시리즈 A 규모의 투자를 완료하고 네이버 쇼핑과 위킵의 풀필먼트 물류 시스템의 협업을 진행한다. 네이버는 지난 2019년부터 풀필먼트 사업으로 진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당시 물류업계에서는 대기업인 네이버가 진입하면 소상공인 물류 기업들의 생존에 대한 우려가 높아, 직접 진출보다는 협업이 가능한 물류 업체를 찾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킵은 2019년 10월 KB증권, TS스인베스트먼트, 대경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를 유치했고, 2020년 1월에는 400호 물류위탁계약 유치에 성공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 물류 스타트업이다. 위킵은 3PL(Thrid Party Logistics)라는 제 3자 물류 서비스를 넘어 위킵만의 전용 서비스 FBW(Fullfillment By Wekeep)을 기반으로 서비스 매니저 위킵맨(Wekeepman), 유통서비스 셀웨이(Sellway) 등을 통해 4PL 물류 기업으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위킵 장보영 대표는 “수많은 e커머스 사업자들이
브루네이의 문화청소년체육부(MCYS)는 2020년 4월부터 사회복지공동개발부(JAPEM)를 통해 노령연금 수급자들이 개인 통장으로 연금을 받는 정책을 도입한다. 문화청소년체육부(MCYS)는 재정경제부(MoFE)와 행정부(MoHA), 은행들과 논의해 연금 수령 절차를 간소화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 4월부터 노령연금 수급자들이 기존의 현금뿐 아니라 은행을 통해서도 월 수당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을 도입한다. 연금 수급자들은 총재를 뜻하는 펭훌루스(Penghulus)나 마을의 대표자를 통해서 현금을 받거나 BIBD, 바이두리 뱅크 베르하드(Baiduri Bank Berhad), TAIB 등 3곳의 은행에서 월별 수당을 지급받는 선택이 제공된다. JAPEM은 브루나이의 하사날 볼키아(Sultan Haji Hassanal Bolkiah Mu’izzaddin Waddaulah ibni Al-Marhum Sultan Haji Omar ‘Ali Saifuddien Sa’adul Khairi Waddien, Sultan and Yang Di-Pertuan of Brunei Darussalam) 술탄이 연금 수령 과정의 편의성을 위해서 도입했다고 밝혔다. 새 정책은 브루네이
크로스 보더 트레이드(Cross Border Trade)로 불리는 CBT 사업자들이 주의해야 할 요소가 있다. 바로 결제 취소와 환불을 요청하는 차지백(Cargeback)이다. 결제 시스템이 갖춰야 하는 차지백은 결제를 한 고객이 추후 분쟁이 발생했을 때 결제대행사에 결제 취소와 환불을 요청하는 행위다. 구매일이나 배송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결제할 때 사용한 카드사 고객센터에 차지백 서비스를 신청하면 카드사는 45일 이내에 결론을 소비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전 세계 결제 시스템을 양분하는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의 규정으로부터 비롯된 차지백은 카드발행사가 고객으로부터 차지백 요청이 들어왔을 때 매입 은행에 통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매입 은행은 이를 판매 사업자에게 통보하고 사업자는 소비자의 구매 내역을 소명한 뒤 매입 은행이 고객의 이의 제기 내용과 소명 내용을 검토한 뒤 결제 취소나 환불 결정을 내린다. ◆ 한국과 다른 해외 차지백 구조, 어떻게 발생하나? 크로스보더 사업자는 결제 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필수다. 한국에 구축된 결제 시자오가 해외에 구축된 결제 시장은 과정도 규정도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은 결제 과정과 차지백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