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지난 3월 발생한 지진으로 사망자는 총 3706명, 부상 5027명, 실종자는 130명으로 집계되었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4월 14일 미얀마 국가관리위원회의 공식 발표를 전했다. 지원상황은 총 24개국에서 구조팀과 구호 물품을 제공했다. 지원 항공 운송은 133회, 구조 인원 1862명과 구호 물품 2210톤, 긴급 물품 약 1170톤이 지진 피해에 도착했다. 국가관리위원회 쪼민툰 대변인은 지원국은 러시아 중국 인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방글레데시 일본 미국 등이라고 밝혔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여진 가능서과 피해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진도 7.7의 만달레이 지진은 올해 들어 전 세계에서 발생한 17번째 규모 6 이상의 지진이자 올해 들어 가장 큰 지진이다. 미얀마 중부 제2도시 만달레이 서북서쪽 17km 지역에서 2025년 3월 28일 14시 20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0km였다. 이번 지진으로 만달레이의 명소인 아바(Ava) 다리도 무너져 내렸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진동이 강하게 느껴졌고 주민 대피가 이뤄졌다.
3월 28일 규모 7.7의 발생한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3000명을 넘어섰다. 3일 AFP통신 등을 비롯한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이 지진으로 3085명이 사망했으며 부상자는 4715명이라고 이날 밝혔다”고 전했다. 실종자는 341명으로 집계됐다. 군정은 이날 국영방송을 통해 지진으로 폐쇄됐던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공항의 국내선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현지시간으로 만달레이 공항은 4일 오전 6시, 네피도 공항은 5일 오전 6시부터 다시 운영된다. 현지 주민들과 구조대는 장비와 의료용품 부족 등에 따른 한계 속에서 생존자를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 기온이 40도 가까이 치솟는 더위와 비 등 악천후로 구조 여건은 점점 열악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진 피해 지역에 콜레라를 비롯해 말라리아, 뎅기열 등 전염병이 창궐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오는 6~11일에는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 등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추가 피해도 예상된다. 구조 관계자는 “아직 많은 사람이 묻혀있는데 비가 내리면 생존자도 익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지진에 따른 태국 내 사망자는 22명으로 늘
미얀마 중부 제2도시 만달레이 서북서쪽 17km 지역에서 2025년 3월 28일 14시 20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0km였다. 이번 지진으로 만달레이의 명소인 아바(Ava) 다리도 무너져 내렸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진동이 강하게 느껴졌고 주민 대피가 이뤄졌다. 미얀마는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내전 중인 탓에 정확한 피해 상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네피도와 사가잉, 만달레이, 마그웨이, 바고, 샨 등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을 70% 이상으로 추정했다. 경제적 피해는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의 20~30%에 이를 수 있다고 봤다. USGS에 따르면 진앙지는 인구 약 120만 명이 거주하는 만달레이 시에서 약 17.2km 떨어져 있다. 미얀마 중부는 상습 지진발생 지역으로 알려졌다. 바간과 만달레이도 지진 피해로 수도를 양곤으로 이전하고 다시 네피도로 이전했다. 미얀마는 히말라야 동쪽 끝에서 말레이반도로 이어지는 지진대가 나라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양곤에
메콩 지역 개발과 초국경 협력 상관관계는? ‘웹진 서강동연’ 23호가 발간되었다. 이번 주제는 메콩 지역 개발과 초국경 협력이다. 주요국의 대메콩 지역 연계 정책을 살펴보고 초국경 인프라 개발이 단순한 경제협력을 넘어 지정학적 경쟁의 장으로 변모하고 있는 현실을 짚어봤다. 최기룡 경상국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주요국의 아세안 연계 전략: 메콩지역 초국경 인프라 경쟁을 중심으로’를 소개한다. 초국경 인프라는 도로와 철로처럼 직접적으로 2개 이상의 국가에 걸쳐있거나, 국제하천에 세워진 댐처럼 초국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초국가 인프라로 간주뒨다. 메콩 지역에 건설되는 초국경 인프라는 대부분 자금을 해외에서 지원받고 있다. 물리적으로 2개국 이상 결쳐져있다. 국가간 영향을 미친다. 메콩강 본류와 지류에는 많은 댐이 세우지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 각국을 잇는 도로와 고속철도 건설도 활발하다. 최 교수는 “메콩 지역을 둘러싼 주요국의 경쟁은 경제적인 측면을 넘어 정치적인 측면에서 주도권과 영향력을 둘러싼 복잡한 양상을 보여준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이 메콩국가 자체에 관한 관심과 크고 동시에 메콩을 거쳐 해양으로 나아가는 관문으로 지정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미얀마 군부는 소수민족 무장세력 등의 거센 저항에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는 3월까지 국가 영토의 약 86%와 인구의 67%에 대한 안정적인 통제력을 상실했다. 반군연합인 무장단체 타앙민족해방군(TNLA)는 지난해 샨주에서 아라칸군(AA),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과 '형제 동맹'을 결성했다. 10월 27일 군사작전 ‘1027작전’을 시작해, 중국 접경 지대인 샨주 등에서 미얀마군을 공격했다. 이들은 지난 8월엔 미얀마군 동북부사령부를 점령했다. 지난달 23일엔 외신과 소수민족 반군인 카친독립군(KIA, Kachin Independence Army)이 역시 중국과 국경을 맞댄 카친주 판와를 장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판와는 카친주의 희토류 생산지로 미얀마의 주요 수출 품목이자 미얀마 군사정권의 돈줄로 꼽히는 희토류 채굴 중심지다. 군사정권이 타격을 입고 희토류 공급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KIA는 앞서 인근의 희토류 생산지인 칩웨도 차지했다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 최근 소식은 지난 20일 중국 국경 근처의 도시 '칸팩티(Kan Paik Ti)'를 점령했다. 이 도시는 몇 주간 카친독립군의 포
태국에서 미얀마 미등록 노동자 19만 명이 체포되어 추방되었다. 이들은 앞으로 2년간 이주노동자로 취업을 금지된다. 일레븐미얀마(elevenmyanmar) 9월 23일자에 따르면 태국의 고용부, 이민국, 경찰의 합동으로 한 이주노동자 단속은 지난 6월 5일부터 시작되어 120일 동안 진행되고 있다. 이 단속으로 체포된 미등록 이주노동자 중 미얀마 노동자가 19만 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총 256,213명이 체포되었다. 국적별로는 미얀마 근로자 193,430명, 캄보디아 근로자 39,736명, 라오스 근로자 15,281명, 베트남 근로자 162명, 기타 외국인 근로자 7,604명이 체포되었다. 체포된 사람 중 미얀마 근로자 1,149명, 라오스 근로자 257명, 캄보디아 근로자 259명, 베트남 근로자 31명, 기타 국가 근로자 134명은 이미 기소되었다. 이러한 대대적인 단속은 지난 4월부터 시행된 미얀마의 징병법을 피해 국경을 넘는 미얀마 청년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시작되었다. 본국으로 추방된 미얀마 이주노동자들은 일부 뇌물을 주고 빠져나온 사례를 제외하면 그대로 징집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태국 정부는 그동안 묵인해왔던 미얀마 난민에 대한 대
미얀마 국방안보위원회(NDSC)가 30일 국가비상사태를 6개월 더 연장했다고 국영 미얀마 라디오-텔레비전(MRTV)이 31일 보도했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1일자로 ’MRTV는 지난달 30일 네피도에서 열린 2024 2차 NDSC 회의에 참석한 모든 위원들이 비상사태 기간 연장에 합의했다, 비상사태 연장은 헌법 425조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이라고 전했다. 회의에는 미얀마 총사령관 겸 국가관리위원회 위원장 겸 대통령 대행 민아웅 흘라잉, 쏘윈 부사령관, 쿤 미얏(Khun Myat) 미얀마 연방회의 의장, 야 피에(Yar Pyae) 내무부장관, 툰 툰 나웅(Tun Tun Naung) 국경부 장관 대령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NDSC 회의는 먼저 미얀마 헌법 425조에 의거하여 미얀마 재선거를 준비하기 위한 명분을 내세워 만장일치로 국가비상사태 6개월 추가 연장을 결정했다. 또 현재 개발 작업, 전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 준비, 교육, 보건 및 농업 부문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MRTV는 덧붙였다. 미얀마는 2021년 2월 1년 간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올해 7월31일까지 6개월씩 5차례 연장, 이번이 6번째 연장이다. 한편 3일 외신들은 미얀마 반군은
미얀마라면 한국에서 국부 ‘아웅산’의 딸 수치 여사의 감금과 2021년 2월 1일 일어난 ‘군부쿠데타’로 각인된 ‘동토의 땅’이다. 특히 나이든 세대들에게는 국가명이 ‘버마’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미얀마’로 바뀌면서 헛갈리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미얀마(Myanmar)’라는 용어는 적어도 12세기 초부터 줄곧 사용되었다. ‘버마(Burma)’는 19세기와 영국 지배자들에서 탄생한 이국적인 새 이름이었다. 태생적으로 영어이고 미얀마인들의 이해와 동의하에 생겨난 이름이 아니었다. 오로지 식민지 용어였다. 미얀마는 인도차이나반도 내에서 가장 면적이 크다. 인구 5900만명인 아시아에서 10번째로 큰 국가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미얀마에 대해서는 먼 나라다. 한국 방직업자들이 전체 3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풍문에 휩싸인 나라다. 이 같은 베일에 싸인 미얀마에 대한 깊은 연구서가 한국에서 나왔다. 동아대학교 아세안연구소 연구총서1로 나온 마이클 아웅뜨윙-마이트리 아웅뜨잉 부자의 ‘미얀마 역사 전통과 변혁’이 그것이다. ■ 책의 표지는 15세기 건립 양공 쉐더공 파고다, “진정한 미얀마 역사서” 이 책은 국가에 초점을 둔 역사서, 선사시대부터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