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 헨더슨 부부는 내 영혼의 ‘길동무’였다.” 대한민국 현대사를 현장에서 목격한 증인의 생생한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바로 김정기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82)의 ‘그레고리 헨더슨 평전’(한울)이다. 이 책은 김 교수와 두 부부와의 각별한 인연에서 출발했다. 그는 헨더슨 부인이 별세하기 전 국회프락치사건 자료 등을 일체 넘겨받아 이 평전을 기회를 얻게 되었다. 김 교수는 “그레고리 헨더슨(Gregory Henderson, 1922~1988)은 1948년 약관 26세의 한국 주재 미국대표부의 부영사로 한국 땅을 밟았다. 이승만 대통령 바로 뒷자리에서 서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을 목격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후 미국의 한국 전문가로서 한국에 대한 애정 어린, 냉철한 시선을 멈춘 일이 없었다. 저는 2021년 출간한 ‘국회프락치사건의 종언’에서 헨더슨을 위대한 기록자로 소묘했다. 그리고 ‘미의 나라 조선’에서는 그를 한국 도자기의 미를 칭송한 한국미의 예찬자로 진면목을 조명했다”고 말했다. 이 평전은 이밖에 헨더슨이 쓴 ‘정다산론’뿐만이 아니라 박정희-전두환 시대의 고발자로의 면모를 기록했다. 학문, 사상, 철학, 인물과 인품과 행동하는 지성인
[김정기 칼럼] 니시 아마네-후쿠자와 유기치 등 서구사상 번역한 수많은 언어창제 ‘선각자’ 19세기 후반 메이지 시대 일본. 일본인 선각자들은 서양 문물이 물밀 듯 쏟아져 들어올 때 새로운 언어 창작으로 이를 수용했다. 때는 아직 군국주의 일본이 조선에 대한 흑심을 품기 전이었다. 그것이 번역이지 왜 ‘언어 발명’인가에 의아해 하는 독자가 있을지 모르지만 필자의 시각에서 그것은 분명 새로운 언어의 창제이다. 그 까닭은 뒤에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간단히 말해 그때까지 없었던 지평에 새로운 단어가 새로 탄생했기 때문이라고 말해 두자. 우선 메이지 일본에서 벌어진 언어 창제의 창문을 열어보자. 당시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라는 지식인이 눈에 들어온다. 네덜란드에 유학한 이 엘리트는 1874년 지금 우리가 학문적으로 쓰는 용어를 다수 창제해냈다. 예컨대 영어의 ‘Science’나 독일어 ‘Wissenschaft’를 ‘과학’으로 번역했다. 그것은 그런 말이 없었던 터에 새로운 언어의 창제나 진배없다. ‘과학’뿐만 아니라 니시는 ‘철학’, ‘예술’, ‘기술’이라는 말도 만들어냈다. 그러니까 한국인들은 지금 이런 말을 기원도 모른 채 항시적으로 쓰는 셈이다.
군국주의 일본의 메이지 헌법은 천황을 신성불가침의 주권자로 적고 있다. 그러나 전후 맥아더 일본 점령 사령부가 마련한 ‘평화 헌법’은 이를 폐기했다. 즉, 천황을 단지 국민통합의 상징으로 다시 자리매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과서에 적혀 있을 뿐이다. 이전 이야기에서 보듯이 아직도 일본의 극우세력은 일본을 ‘신국’으로, 천황을 ‘현인신’으로, 자신의 나라를 ‘천황국가’라고 뇌까리고는 욱일기를 흔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대체 이런 터무니없는 발상은 어디에 연유하는 것일까? 그 답의 실마리는 이전 이야기에서 설명한, 신에게 바치는 ‘고문(告文)’에서 엿볼 수 있다. 9세기 중반 신라로부터 위협에 처한 당시 일본 조정은 전국 각지의 신사와 절간에 ‘고문’을 전독하라고 명하면서 신들에 ‘국가’를 지켜달라고 기원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국가’란 백성의 삶의 터전에 질서를 마련한 공간이 아니다. 즉, 한 참 먼 곳의 ‘천황’의 몸뚱이이었던 것이다. ‘고문’은 일본이 ‘신국’이라고 자기 규정하면서 천황을 지켜달라고 외치고 있다. 즉 “‘皇御孫(스메미마=천황)의 御体’를 영원히 지켜 주십사”라고 뇐다. 죠-간(貞観) 11년[869] 12월 14일에 이세신궁에 바
일본에서 '신국(神國)' 사상이 대두한 배경에는 한반도의 그림자가 깊게 드리어진다. 이미 살펴 본대로 ‘신국’이란 말이 등장한 것은 전설적인 신공황후의 신라 정벌 때 신라왕의 입을 빌려 나왔다는 것은 이미 본 그대로이다. 그러나 그 뒤 ‘신국’이란 말이 나온 데에는 고대 일본 조정이 처했던, 보다 현실적인 사정이 자리한다. 그것이 당시 동아시아의 최대 역사적 사건인 하쿠스키노에(白村江, 이하 ‘백촌강’)의 전투이다. 여기서 말하는 백촌강이란 ‘백마강’ 또는 ‘백강’이라 부르는, 백제의 마지막 의자왕 비빈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서린, 한반도 서남부에서 흐르는 강이다. 이 백촌강 전투는 7세기 한반도에서 일어난 최대의 사건이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나당(羅唐)연합군과 싸움에서 일찍이 없었던 대 참패를 당했다. 당시 백제 부흥을 위해 한반도에 진출한 일본군이 당한 이 참패는 지울 수 없는 멍에를 안겼지만 오늘의 주제인 일본의 신국사상도 이에 기인한다. 일본의 한 저자는 이렇게 적는다. 수세기에 걸쳐 신라·백제·고구려 삼국이 패권을 다투고 있었던 조선반도에서는 당과 결합한 신라가 대두하고 660년 양국의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백제의 왕도가 함락되었다. 텐지(天智)
일본이 저들 나라가 신국이라는 이른바 ‘신국사상’은 그것이 일부 극우분자의 망상 또는 환상으로 남아 있는 한 굳이 문제 삼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 않은데 문제의 심각성이 놓여 있다. 이전 이야기에서 필자는 일본사회에서 ‘신국사상’ 도도히 흐르고 있다면서 여느 때는 잔잔한 물결로 남아있지만 여차하면 출렁이는 파도가 된다고 짚었다. 이제 그 현장으로 가보자. 필자는 우선 두 가지 ‘사건’에 주목하고자 한다. 하나는 2000년 5월 15일 당시 수상이었던 모리 요시로(森喜朗)가 일본은 '신의 나라'(神の国)라고 발언을 해 물의를 일으킨 사건이다. 다른 하나는 '일본국가의 신수'(日本国家の神髓)라는 책이 2015년 새해 벽두에 출간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책은 신국사상의 전거가 된 '국체의 본의'(国体の本義)라는 책을 기리는 해설서 또는 안내서이다. 두 사건에 주목하는 까닭은 ‘신국사상’이 먼 과거의 일이나 군국주의 시절의 이야기가 아니라 21세기 현재 진행형이라는 사실을 일깨우고 있기 때문이다. 모리 수상이 지껄인 '신의 나라'(神の国) 발언은 2000년 5월 15일 신도정치연맹(神道政治連盟) 국회의원 간담회에서 나왔다. 그는 인사말 중에 "일본이라는 나라는
[일본의 신국론(神国論)] 上....천황의 완전무결 군주론-국수주의적 신도론 신앙적 지주 일본에는 저들 나라가 ‘신국’(神国)이라는 ‘사상’이 흐르고 있다. 여느 때에는 잔잔한 물결로 남아 있지만 여차하면 출렁이는 파도가 된다. 군국주의 시절에는 이것이 일본군 무패론으로 둔갑해 수많은 자국 청년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이 허무맹랑한 신국 사상은 한편으로는 천황의 완전무결한 군주론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국수주의적 신도론의 사상적·신앙적 지주로 활약했다. 이 신국 사상의 근원도 한반도와 인연을 갖는다. 즉, 신공황후의 ‘신라 정토’ 또는 ‘삼한정벌’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이다. 이전 이야기에 보듯이 신공황후가 신라를 쳐들어가 복속시켰다며 <일본서기>는 신라 왕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적는다. “때에 바람의 신이 바람을 일으키고, 파도의 신이 파도를 일으켜, 바다 속의 큰 고기들이 모두 떠올라 배를 도왔다... 노를 쓸 필요 없이 신라에 이르렀다.” “신라의 왕은 벌벌 떨며 어쩔 줄을 몰랐다. 일찍이 바닷물이 저절로 올라오는 일은 없었다. 천운이 다하여 나라가 바다가 되는 것은 아닌가... 내가 들으니 동방에 신국(神国이 있는데 일본이라 한다. 성왕(
한민족은 10월 3일을 개천절(開天節)로 이름 지어 ‘국경일’로 기린다. 이날 천신(天神) 환인(桓因)이 아들 환웅(桓雄)과 웅녀(熊女) 사이에 낳은 단군(檀君)으로 하여금 무리 3000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 보내 나라를 열게 했다는 것이다. 이때가 기원 전 2333년 이라 한다. 이웃나라 일본도 어느 특정한 날을 ‘기원절(紀元節)’로 기리는 것은 당연히 그들의 몫이다. 하지만 일본이 2월 11일을 ‘기원절’에서 ‘건국기념일’로 바꾸었다. 여기에서 정치적 목적성이 드러난다. 뒤에 살피겠지만 천황의 일본지배의 신화적 유래를 정당화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2월 11일은 어떤 날인가? 이른바 전설적인 진무(神武) 초대천황이 기원전 711년 1월 1일[음력] 즉위했다며, 그날을 양력으로 계산해 정한 날이라 한다. 문제는 일본정부가 전설 또는 신화의 즉위 일을 ‘건국기념일’로 법제화한 것이다. 반복하지만 ‘기원절’이었지만 ‘건국기념일’로 법으로 바꾼 것이다. 신화의 법제화라. 만일 그리스 정부가 올림포스 신화를 법제화했다면 세계는 어떻게 반응했을까? 그러나 일본은 아무렇지도 않은 듯 해마다 2월 11일 ‘건국기념일’ 의식을 성대하게
[일본의 신화: 찬탈적 침략성 2 하(下) 군국주의자 날개 달아준 가공인물 '신공황후'] 신공황후는 도대체 누구인가? 그녀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는 앞에서 보듯이 찬탈적 침략성으로 대표된다. 그것은 남을 해코지하는 요녀와 같은 괴물성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그녀의 이미지에는 적지 않은 인물성의 요소가 겹쳐 있음을 놓칠 수 없다. 전자가 일본 군국주의자들에 날개를 달아 주기 위해 날조되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하지만 후자는 오히려 실존적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역의 찬탈적 침략성이랄까? 그녀의 원상을 두고 일본학자들은 몇 가지 설을 내놓고 있다. 그 중에는 왕조교체기에 천황의 이른바 ‘만세일계(万世一系)’의 황통을 잇기 위해 설정된 가공인물이라고 전후 역사학자들이 내놓은 학설도 있다. 부연하면 야마토 왕정의 황통은 제14대 추아이(仲哀)에 이르러 단절되었으며, 그 뒤 전혀 별계의 왕조, 곧 규슈 계의 오진(応神) 왕조가 들어섰기 때문에 후세 두 왕조를 하나로 잇는 가교가 필요해져 신공황후라는 가공인물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설은 황국사관이 날조되었다는 점에서 일리는 있다. ■ 또 다른 얼굴의 실존 인물: 한반도 남부에서 건너온 무녀 하지만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