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3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벤처・창업강국’을 목표로 청소년들에게 기업가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Youth Entrepreneurship) 교과서를 최초로 발간했다고 밝혔다.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사고방식과 행동을 말한다. 미국,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정규 교과목이 부재했으며, 현재 사회 교과 1개 단락으로 구성, 교과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 내외로 낮은 편이다.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서 기업가정신 교과를 학점 인정이 가능한 정규 과목으로 채택해 수업할 수 있게 됐고 기업가정신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게 됐다. 기업가정신 교과용 도서는 지난 2024년 3월 부처 협업 교과서 개발사업(교육부)에 선정됐으며, 연구위원(교육과정 구성) 및 집필위원을 구성해 지난 2024년 12월 교과서 개발을 완료했다. 이후 지난 2월 경기도교육청 심의를 통해 인정도서 승인을 받았다. 교과서는 ▲기업가정신의 이해 ▲문제 발견과 정의 ▲창의적 문제 해결 ▲기업가정신 디자인 ▲세상을 향한 도전 등 5가지 영
지난 3월 3일 삼성금융네트웍스(이하 ‘삼성금융’)가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한 혁신금융 솔루션을 개발하는 ‘2025 삼성금융 C-Lab Outside’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삼성금융은 3월 4일부터 4월 6일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본선 진출사는 심사를 거쳐 5월 중순에 선정한다. 본선에 진출한 스타트업은 5개월간 삼성금융 임직원과 협력해 솔루션 공동 개발 및 사업모델 검증을 진행한다. 이후 평가를 통해 각 금융사별 최우수 스타트업 1개사를 선발하고 10월 최종발표회에서 시상한다. 본선에 진출한 스타트업에겐 3,000만 원의 지원금이 제공하고, 삼성 금융사와의 사업 기회 및 삼성벤처투자의 지분 투자 검토 대상이 된다. 특히 최우수사로 선정된 스타트업에게는 추가 시상금 1000만원도 지급된다. 모집 분야는 ▲‘모니모’에 구현 가능한 서비스 및 기술을 제안하는 공통과제 ▲각 금융사에서 제시하는 개별과제(AI・헬스케어・인슈어테크・핀테크・모빌리티)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 등을 제안하는 자유주제다. ‘삼성금융 C-Lab Outside’는 스타트업 협업 프로그램으로 삼성 금융이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금융
지난 3월 3일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활성화를 위한 2025년 ‘공동사업개발 전문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할 협동조합을 3월 4일부터 3월 3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해 설립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공동사업 발굴, 활성화 과정에 대한 컨설팅 비용을 최대 1,500만원(조합부담금 10% 별도)까지 지원한다. 올해 사업은 ‘공동사업’ 분야와 ‘R&D(연구개발) 과제기획’ 분야로 나뉘어 추진된다. 공동사업개발 전문컨설팅 지원을 희망하는 협동조합은 컨설팅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후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해 오는 3월 31일까지 중소기업중앙회 협업사업실로 신청하면 된다. 중기중앙회 협업사업실 현준 실장은 “전문컨설팅 사업에 참여한 한국시계산업협동조합은 시계전문 국가공인시험기관(KOLAS) 운영하며 시계 시험 수요를 일반 소비자로 확대해 시험원 활용도를 높이고 수익구조도 개선했다.”며 “이번 컨설팅 지원을 통해 협동조합의 경쟁력과 활성화를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아이돌 걸그룹 블랙핑크 태국 출신 리사가 3일 미국 LA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 97회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축하무대를 선보였다. K-POP 가수 최초로 무대에 선 리사는 '007' 시리즈의 OST 곡인 '리브 앤 렛 다이(Live and Let Die)'를 열창했다. 리사는 이날 비즈 장식이 달린 블랙 컷팅 드레스를 입고 매혹적인 카리스마를 뽐냈다. 짧게 등장했지만 강렬한 아우라로 무대를 빛내 시상식 참석자들의 기립박수를 이끌어냈다. 또 리사는 시상식에 앞서 진행된 레드카펫 행사에서도 참석해 주목받았다. 레드카펫에서 리사는 검은 턱시도 형태에 붉은 꽃 장식을 단 수트 드레스를 입고 등장했다. 한편 이날 시상식 진행은 미국의 인기 MC이자 코미디언인 코난 브라이언이 맡았다. 리사는 2016년 블랙핑크로 데뷔했다. 2023년 YG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이 종료된 이후 1인 기획사 라우드를 설립해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2월 28일 AI기업 ‘딥브레인AI’가 국내 사이버대학교의 교육 프로그램 혁신을 돕기 위해 ‘AI 교수’ 제작을 무상 지원한다고 밝혔다. 딥브레인AI의 AI 교수는 딥러닝 기반 영상 합성 기술로 실제 교수의 외모, 목소리, 움직임까지 자연스럽게 묘사하는 AI 휴먼 기술이다. 별도 촬영 없이 기존 강의 영상과 음성 등 기본적인 데이터만으로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딥브레인AI는 AI 교수 이외에도 축구선수 손흥민, 캐나다 출신 배우 겸 MC 하위 맨델 등 국내외 다수 유명 인사의 AI 휴먼을 제작해왔다. AI 교수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의 AI 영상 합성 플랫폼 ‘AI 스튜디오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AI 교수에는 ‘텍스트 투 비디오’ 기술이 탑재돼 스크립트, 명령어, 링크 주소, 문서 등만 업로드하면 음악, 배경, 영상 요소까지 자동으로 강의 콘텐츠가 제작된다. 복잡한 촬영 과정이나 제반 시설이 필요 없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 강점이다. AI 교수에는 TTS(AI 음성 합성 기술)도 적용돼 이를 기반으로 영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등 50여개의 언어를 입 모양까지 자연스럽게 구사한다. 최근 교육부의 외국인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가 미국 반도체 제조공장에 향후 4년간 1,000억 달러(원화 약 145조 9,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나온 발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Reuters Connect) 등 외신들은 지난 3월 3일 오후 1시 30분에 예정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투자 발표 행사에서 TSMC는 미국 반도체 공장의 투자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TSMC 웨이저자 회장은 이날 오후 투자계획 발표 전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대미 투자 계획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TSMC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기회를 갖게 돼 기쁘게 생각하며, 반도체 분야에서 성장과 혁신에 대한 공동 비전에 대해 논의하길 고대한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 생산 업체인 TSMC는 지난 2020년 애리조나에 120억 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후 투자 규모를 650억 달러로 확대했다. 지난 2024년부터 TSMC의 미국 공장은 반도체 생산에 들어갔으며, 지난 바이든 정부 당시 반도체
2000년대 무료 화상통화 서비스로 세계적 인기를 끌었던 스카이프(Skype)가 올 5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지난 2월 28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스카이프 서비스를 5월 5일부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스카이프’가 서비스를 시작된 지 22년 만이다. MS는 스카이프 이용자들에게 자사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Teams) 앱으로 이전할 것을 권고했다. 며칠 내에 스카이프 계정으로 팀즈에 로그인을 할 수 있고, 스카이프의 연락처와 채팅 기록도 자동으로 이전된다고 설명했다. 스카이프는 2003년 에스토니아에서 개발된 인터넷 전화 및 채팅 서비스로 비싼 국제전화 대신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어 영상통화 시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외여행객이나 유학생들에게 스카이프는 필수였으며, 기업가치가 올라가며 2005년 이베이가 26억 달러에, 2011년엔 MS가 85억 달러를 주고 스카이프를 인수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스카이프의 위상은 추락하기 시작했다. 아이폰끼리 무료로 전화하고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아이메시지와 페이스타임이 빠르게 확산하고, 2014년 왓츠앱을 인수한 당시 페이스북이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을 추가하는 등 모바일 메신저
중국의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오는 3월 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중국의 경제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로 2025년 중국의 경제 성장 목표와 AI 기술 육성 방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최고 국정 자문 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이하 ‘정협’)는 3월 4일, 명목상 최고 권력기관으로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는 3월 5일에 개막식을 개최하고 양회를 시작한다. 일주일 가량 진행되는 이 회의에서는 중국 경제 성장률 목표와 주요 경제 정책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전인대 개막식에서 발표될 국무원 총리의 정부 업무 보고에서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목표가 제시된다. 지난 2024년 중국 정부는 5% 안팎의 성장률 목표를 설정했으며 적극적인 경기 부양 정책을 통해 실제 성장률 5.0%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5% 수준의 성장 목표가 제시될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4.5%로 전망했고 세계은행(WB)은 4.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7%로 예측했다. 하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이 2035년까지 GDP를 2019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