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언택트 시대를 맞이해 유통업계가 배송 서비스 전쟁에 뛰어들고 있다. 홈플러스는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온라인’ 서비스를 개시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집밥족이 늘어나고 장을 온라인 마켓을 통해 주문하면서 홈플러스도 배송 서비스를 출시했다. 홈플러스의 슈퍼마켓 점포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매장 반경 2~2,5km 이내에 소비자가 거주할 경우 홈플러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온라인 사이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즉시배송’에서 원하는 상품을 주문해 배송받을 수 있다. 구매 상품은 신선식품‧가공식품‧가정간편식(HMR) 등 3000여 개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할인 행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매장에 진열 중인 상품도 즉시 배송해 신선식품을 배송받을 수 있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10시까지 2만원 이상 주문하면 배송비 3천원을 내고 주문 1시간 이내에 받아볼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대구와 경주, 구미를 비롯한 전국 253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직영점에서 실시하며, 대형마트가 없는 지역에서도 주변에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만 있다면 이용 가능하다.
인도네시아 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가공식품 시장은 제조업에서도 수익성이 높아 인도네시아 경제를 견인하는 주요 산업 중 하나다. 특히 가공식품산업은 제조업에서 31.%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인도네시아 전체 경제성장률이 5%대 내외로 유지되는 상황서 가공식품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인규 구모인 약 2억 7000만명이다. 이를 바탕으로 거대한 가공 식품 시장을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소득수준의 증가로 2018년에는 중산층이 2013년 대비 17.6%나 증가했다. 출산율도 2명이 넘는 국가로 식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KOTRA 허유진 연구원에 따르면 가공식품시장 성장의 배경에는 라이드 헤일링 시장 발달에 따른 도어 투 도어(Door-To-Door) 배달 서비스의 증가,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자 증가에 따른 편의점 수익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이국적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 행태 역시 인도네시아 식품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우유, 식용유, 소스, 드레싱, 치즈, 시리얼 등의 품목들은 시장점유율이 증가했다. 특히 가공식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쌀‧파스타-면 종류는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