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Northvolt)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따라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선다. 지난 9월 9일 ‘노스볼트’는 감원, 전략적 제휴, 공장 통폐합 등을 통해 비용 절감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스볼트는 이날 감원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노스볼트의 배터리 생산 차질과 구조조정에 따라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BMW가 취소한 노스볼트 배터리 계약 물량을 삼성SDI가 수주했다. 노스볼트는 스웨덴 셀레프테오 공장에서 양극재 배터리 생산을 중단하고, 이 공장에 있는 기가 팩토리에 집중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독일과 캐나다의 공장 신설 계획을 철회하지는 않을 예저이다. 노스볼트의 캐나다 공장 가동이 2026년에서 2028년으로 연기될 것이라고 전망이다. 캐나다 퀘벡 정부가 노스볼트 배터리 공장 건설이 계획보다 최대 1년 반가량 더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노스볼트는 지난 2023년 퀘벡주 몬트리올 인근에 연간 생산능력이 60기가와트시(GWh)인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었으나, 전기차 케즘으로 인한 수요 감소에 구조조정과 비용 절감 절차에 돌입했다. 또한
지난 7월 2일 파이낸셜타임즈(FT)는 스웨덴 이차전지 기업 노스볼트(Northvolt)가 삼성SDI와의 수주 입찰에 패배하면서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이어서 착공 중이던 독일・캐나다・스웨덴 기가팩토리의 준공 기간도 연장 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경쟁하던 전기차 배터리 계약은 BMW에서 발주한 것으로 20억 달러(원화 약 2조 7,800억 원) 규모다. 지난 2020년 노스볼트에 투자한 BMW지만 결국 공급계약으로 이어지진 못하고 삼성SDI가 수주했다. 가장 큰 문제는 스웨덴 셀레프테오 기가팩토리에서 양산을 하지 못한다는 점으로 현재 셀레프테오 기가팩토리는 16기가와트시(GWh)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 27만 2,000대 분량이다. 하지만 노스볼트는 2023년에 발표한 생산량 중 극히 일부만 생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연말까지 생산량을 5배로 늘린다면 약 1GWh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2025년에도 생산량을 늘려야 하며 2026년에는 수익성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중이다. 노스볼트 페테르 칼손(Peter Carlsson)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아시아 제조업체들과 실행력에서 경쟁할
지난 3월 25일 스웨덴의 전기차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Northvolt)가 독일 ‘기가팩토리(Gigafacotry) 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노스볼트는 둑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하이데에서 ‘기가팩토리’ 착공식을 가졌다. 독일 정부에서는 올라프 슐츠 독일 총리가 참석해 착공식을 축하했다. 110㏊(110만㎡) 규모의 독일 기가팩토리를 2026년까지 완공하고 전기차 100만대 배터리 용량에 해당하는 연간 60GWh 용량의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다. 2016년 설립된 노스볼트는 페테르 칼손(Peter Carlsson)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하 설립한 기업이다. 스웨덴 셀레프테오에 배터리셀 공장을 짓고 2021년부터 연간 16기가와트시(GWh)를 목표로 양산 중이다. 독일 정부는 노스볼트에 9억 유로(원화 약 1조 3,000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배터리 셀 공장을 유치했다. 지난 2022년 독일 공장 착공 계획을 발표했던 노스볼트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발표되면서 계획을 연기했다. 지난 2024년 1월 유럽연합(EU)은 ‘매칭 보조금’ 제도를 처음 적용해 독일의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다. 이는 역외로 투자를 전환할 가능성이 있는 친환경
지난 9월 28일 스웨덴 이차전지 기업인 노스볼트(Northvilt)가 캐나다 퀘벡에 리튬이온 배터리(LiB) 생산 라인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노스볼트는 퀘벡주 몬트리올 외곽에 설립하는 배터리 기가팩토리의 연간 생산능력이 60GWh(기가와트시)라고 설명했다. 퀘벡 기가팩토리 1차 프로젝트의 생산 규모는 30GWh로 연내 건설에 돌입해 2026년 가동을 시작하는 게 목표다. 음극 활물질 생산과 배터리 재활용 시설도 갖출 예정이다. 노스볼트는 공장 투자에 50억 달러(원화 약 6조 7,500억 원)를 투입할 계획이며, 이차전지 공장에서는 3,000명의 인력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노스볼트는 부지 선정을 위해 북미 지역을 광범위하게 검토했고, 캐나다 연방정부와 퀘벡 주정부가 강력한 지원을 약속했다. 퀘벡 수력 발전소에서 100% 재생 에너지를 조달받을 수 있는 만큼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산이 부지 선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스볼트 페테르 칼손(Peter Carlsson) 최고경영자(CEO)는 “회사 설립 이후 7년 동안 새롭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배터리를 제조한다는 목표를 추구해왔다.”며 “캐나다에서 이 꿈을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파올로 세루티
테슬라가 2022년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자동차 총 생산량은 25만 8,580대로 2021년 2분기 대비 25% 증가했다. 인도량은 25만 4,695대로 2021년 2분개 대비 27% 증가했다. 특히 상하이의 기가팩토리가 생산능력이 75만대를 넘어서면서 기가팩토리 중 1위의 생산공장이 됐다. 미국 캘로피나아 공장이 65만대로 2위, 독일 베를린 공장이 25만, 미국 텍사스 공장이 25만대로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실적을 발표하면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내놨다. 중국 전기차 경쟁사들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현재 최고의 중국 전기차 제소사는 사실상 테슬라 차이나임을 강조했다.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169억 3400만 달러(원화 약 22조 2,343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고 순이익은 22억 6900만 달러(원화 약 2조 9,791억 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