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Tariff War)으로 인한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가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 예약은 ⅓가량 줄었으며 올해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은 1%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4월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세계 5위 선사인 독일 하파그로이드(Hapag-Lloyd)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발표한 4월 초 이후 중국에서 출발하는 미국행 컨테이너 예약이 ⅓가량 줄었다고 밝혔다. 하팍로이드의 닐스 하우프트 대변인은 “중국에서 출발하는 화물이 상당량 보류되고 있으며 대신에 태국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출발 물량 예약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지금은 예측이 매우 어려운 시기.”라고 말했다. 컨테이너 예약이 줄면서 운송업체들은 기존보다 작은 선박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우프트 대변인은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영국의 해운컨설팅업체 드류리가 “글로벌 관세전쟁의 여파로 올해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이 1%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보도했다.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는 1979년 관련 자료 집계 이후 두 번밖에 없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8.4% 감소했고, 코로나1
미국발 관세 전쟁 확대로 글로벌 물동량이 줄면서 물류비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을 일부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물동량 급감으로 수출에도 경종(警鐘)이 울리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가 현실화되면 물류비 하락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에서 출발하는 미국 동부행 해상 수출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 2개(2TEU) 당 667만 5,000원으로 전1 대비 15.3%나 감소했다. 미국 동부행 해상 수출 운임이 700만 원을 밑돈 것은 지난 2024년 6월(606만 5,000원/2TEU) 이후 8개월 만이다. 다른 원거리 항로 상은 비슷해 미국 서부행 해상 수출 운임 역시 1월보다 14.4% 감소한 623만 6,000원/2TEU, 유럽연합(EU)행은 12월 대비 12.6% 감소한 455만 9,000원/2TEU를 기록했다. EU행 역시 지난 2024년 5월(421만원/2TEU) 이후 9개월 만에 400만 원대까지 하락했다. 미국과 유럽 등 원거리 항로 수출 운송비가 일제히 전월 대비 10% 이상 급락한 것이다. 통상 물류비는 연료비인 국제유가 등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포스코가 수출 선박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고객사 지원에 나섰다. 포스코의 중소 고객사들은 수출 물동량이 비교적 적어 선박 확보가 쉽지 않다. 이에 납기일이 밀리거나 높은 운임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수출 경쟁력 확보가 어려움이 컸다. 포스코는 고객사의 소량 화물도 포스코의 물동량과 함께 선적할 수 있는 ‘합적배선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합적배선 시스템’으로 고객사는 직접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합적 가능한 선박을 조회한 후 신청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합적을 위해서 대형 화주나 선사에 선사 일정을 확인하고 부탁해야 했으나, 간편하게 확인 후 신청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지난 9월부터 ‘합적배선 시스템’을 시범 운영해 본 결과 42개 중소 고객사들이 5만 6000t을 합적했고 11억 원 가량의 물류비가 절감된 것으로 결과가 산출됐다. 선사 역시 추가 물량 유치로 매출이 증대되고 부족한 물량을 채우기 위해 타 부두로 선적을 보낼 필요가 없어 운송비용도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POSCO) 역시 화물의 선적 구량이 계약수량보다 부족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결과가 나왔다. ‘합적배선 시스템’의 본격 가동을 앞두고 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