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8일 규모 7.7의 발생한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3000명을 넘어섰다. 3일 AFP통신 등을 비롯한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이 지진으로 3085명이 사망했으며 부상자는 4715명이라고 이날 밝혔다”고 전했다. 실종자는 341명으로 집계됐다. 군정은 이날 국영방송을 통해 지진으로 폐쇄됐던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공항의 국내선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현지시간으로 만달레이 공항은 4일 오전 6시, 네피도 공항은 5일 오전 6시부터 다시 운영된다. 현지 주민들과 구조대는 장비와 의료용품 부족 등에 따른 한계 속에서 생존자를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 기온이 40도 가까이 치솟는 더위와 비 등 악천후로 구조 여건은 점점 열악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진 피해 지역에 콜레라를 비롯해 말라리아, 뎅기열 등 전염병이 창궐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오는 6~11일에는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 등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추가 피해도 예상된다. 구조 관계자는 “아직 많은 사람이 묻혀있는데 비가 내리면 생존자도 익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지진에 따른 태국 내 사망자는 22명으로 늘
미얀마 군사정권이 국가비상사태를 연장키로 하면서 총선이 연기됐다. AP통신, BBC 등 외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국가방위안보위원회(NDSC)는 1일(현지 시각) 군사정권을 이끄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국가비상사태 6개월 연장 요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전날 성명을 통해 “미얀마가 국가적으로 지속해서 시민방위군(PDF)의 테러를 겪는 특수한 상황”이라며 비상사태 연장 방침을 드러낸 바 있다. 민 스웨 대통령 권한대행은 “2월1일부터 6개월 더 비상사태가 연장될 것이다. 국가 주권이 다시 최고사령관에게 넘어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얀마 군부는 2021년 2월 아웅산 수치 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 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둔 2020년 11월 총선에 대해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쿠데타를 일으켜 전권을 장악했다. 그리고 수치 고문을 비롯해 정부 고위 인사들을 구금했다. 군부는 쿠데타를 일으킬 당시 1년간의 비상사태가 끝나면 총선을 통해 국민의 지지를 받는 세력에게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비상사태를 1년 연장한 데 이어 총 2년이 되는 2월 1일에 6개월을 또 연장했다. 미얀마
미국 재무부는 2일(현지시간) 미얀마 군부 주요 인사 7명 등 22명을 제재했다.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날 에 누 세인 등 미얀마 군정 최고기구인 국가행정평의회(SAC) 소속 인사 3명과 칫 나잉 정보장관 등 장관 4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다. 나머지 15명은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 겸 SAC 의장 등 기존에 제재 대상이 된 미얀마 군부 핵심인사의 배우자 및 자녀들이다. 재무부는 “미얀마 군부의 민주주의에 대한 탄압과 시민에 대한 잔혹한 폭력은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미국은 미얀마 군부에 더 큰 대가를 계속 치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미얀마 군부가 2월 쿠데타로 실권을 장악한 이후 관련 인사들을 잇따라 제재해왔다. 한편 미얀마에 진출한 대표적인 외국 기업 중 한 곳인 노르웨이 이동통신사 텔레노르가 현지 사업을 접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2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텔레노르가 미얀마 사업 매각을 알아보는 중이라고 전했다. 2014년 미얀마에서 사업을 시작한 텔레노르는 미얀마 인구(5400만명)의 약 3분의 1인 1800만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프레즐과 음료 등을 파는 미국의 프랜차이즈 업체 ‘앤티앤스’도 내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