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국수(퍼, Phở)는 베트남의 마음입니다.” 5~6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열린 ‘베트남 쌀국수 (퍼)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마쳤다. 레테쯔 뚜오이째 신문사 총 편집장 겸 위원장의 개회식으로 시작했다. 고민정 광진구 국회의원, 외교부 이동기 심의관, CY그룹 최광용 회장, 아리랑투어 대표, 부호 주한베트남대사, 부바푸 베트남 산업통상부 무역진흥국 국장, 사이공투어 의장 등이 참석했다. 고민정 광진구 국회의원은 “청와대 대변인으로 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베트남 방문했던 기억이 난다. 한국과 베트남은 건설-양식 등 여러 분야에서 상생관계”라고 말했다. 이어 “손님을 환대하고 배려하고 친절하고 함께 웃을 수 있다. 이 축제에는 광진구에도 베트남에서 온 분들, 유학생을 비롯해 주민도 올 것이다. 화양동에 베트남 음식점도 많다. 오늘 축제를 즐기는 시간이 되기 바란다. 저도 국회에서 한국-베트남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호 주한베트남 대사는 “베트남에는 각 지방에 다양한 쌀국수가 있다. 퍼(Phở)를 통해 문화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구가 되면 초대해 대접하는 것이 퍼다. 한국-베트남 관계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되었다. 정치,
한국 최초, 베트남의 쌀국수 맛집 30여 곳이 서울로 직접 찾아온다. 베트남 대표요리 ‘쌀국수’를 홍보하기 위해 10월 5~6일 이틀간 연례 ‘베트남 쌀국수 (퍼) 페스티벌’이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개최된다. 서울 광진구 광나루로 441, 어린이대공원역 2번 출구 ‘그라운드 파이’에서 오전 10에서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쌀국수 제조 기술 및 요리를 홍보하기 위하여 퍼다우(Phở Dậu), 퍼푸지아(Phở Phú Gia), 퍼에스(Phở 'S), 사스코 로터스 퍼(SASCO Lotus Phở), 퍼타빈타이푸드(Phở Ta - Bình Tây Food), 퍼틴버호(Phở Thìn Bờ Hồ) 등 베트남 전 지역의 유명 쌀국수 브랜드와 한국 레스토랑, 식품업체 등이 총출동한다. 방문객들은 유명한 한국과 베트남 가수의 노래 공연, 요리 쇼, 전통놀이 등 다채로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베트남외교부-주한베트남대사관-베트남상공부-사이공투어리스트가 주최하고, KTGRZ creative가 주관한다. 뚜오이째 신문-사이공 투어리스트가 후원한다.
“일본에 이어 한국, 베트남 전 지역의 유명 쌀국수을 맛보러 오세요.” 베트남 요리, 특히 쌀국수 포(Pho)의 가치를 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을 목표한 ‘베트남 쌀국수 페스티벌2024(Vietnam Pho Festival 2024)’이 올해 10월 5일부터 이틀간 한국의 수도 서울 여의도 공원에서 열린다. 베한타임즈 1일자에 따르면 주최측은 7월 29일 베트남 사이공 마제스틱 호텔과 한국 포애 레스토랑에서 동시에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퍼다우(Phở Dậu), 퍼푸지아(Phở Phú Gia), 퍼에스(Phở 'S), 사스코 로터스 퍼(SASCO Lotus Phở), 퍼타빈타이푸드(Phở Ta - Bình Tây Food), 퍼틴버호(Phở Thìn Bờ Hồ) 등 베트남 전 지역의 유명 쌀국수 브랜드와 한국 레스토랑 및 식품업체가 참여한다. 80개의 가판대에서 전통 쌀국수와 쌀국수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요리, 그리고 베트남과 한국의 대표 요리를 판매한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사이공 모린(Sài Gòn – Morin) 호텔의 수석 셰프가 후에(Huế)시의 대표적인 왕실 요리인 껌무오이호앙꿍(cơm muối Hoàng Cung)을 소개하는 라이브 요리 세션이
“베트남의 반미가 세계 요리계의 떠오르는 스타다.” 미국의 대표적인 영어사전이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자회사인 매리엄-웹스터(Marriam-Webster)는 9월 370개의 새로운 단어와 함께 ‘반미(Banh Mi)’를 정식 단어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베트남 현지 미디어 베트세테라는 12일자에서 이 소식을 전하면서 “반미는 부드러운 바게트 빵에 고기, 계란, 고수 등의 재료를 넣은 샌드위치”라고 소개했다. 이어 “사전에는 고기(돼지고기 또는 닭고기 등)와 절인 채소(당근, 무 등)로 속을 채우고 고수와 오이로 장식한 베트남 요리, 일반적으로 매운 바게트 샌드위치로 등재했다”고 전했다. 반미의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인도차이나를 지배하는 동안 바게트를 들여왔다. 이때 베트남에서는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베트남식 바게트 빵이 만들어졌다. 부드러운 흰빵으로 번역되는 프랑스어 ‘Pain de mie’에서 유래하여 베트남에서는 바게트를 반미(Banh Mi, 흰빵)라고 부른다. 이 바게뜨를 반으로 갈라 주로 구하기 쉬운 식재료를 넣어 간단하게 먹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제 반미는 모든 연령대의 베트남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침
남녀노소 태국인들은 물론, 태국에 몇 번 드나든 외국인 여행객들까지도 즐겨먹는 지극히 대중적인 태국의 대표음식이 있는데 다름 아닌 ‘팟타이’다. 중국 대륙에서 생성된 국수문명이 비옥한 메콩 삼각주 평야지대의 미곡 경작지로 흘러들어오는 과정에서 형성되어진 ‘라이스 누들 로드 (Rice Noodle Road)’의 종착역 나라 태국. 그 태국에서, 옛 중국대륙의 문명식인 국수문화(Noodle Culture)가 인도차이나 반도의 갖가지 풍요로운 식재료와 어우러져 태국 현대사에 이르러 탄생한 음식인 ‘팟타이(ผัดไทย)가 만들어진 사연은 이렇다. ■ 태국 현대사에 출현한 팟타이의 정치경제적 유래 1932년 태국의 짝끄리 전제군주 왕조체제를 입헌군주제로 전환시킨 입헌혁명의 주도자이자 사회운동가 ‘쁘리디 파놈용’이 핀춘하완 장군의 쿠데타로 실각되자, 쿠데타 세력은 ‘피분 송크람’ 장군을 국가 지도자로 추대했다. 권좌에 오른 ‘피분 송크람’은 자신의 집권 전후시기에 세계사를 뒤흔들던 파시즘과 군국주의를 답습하며 수 차례 총리직을 연임하는 가운데 25년간 장기 군사독재를 이어나갔다. 모든 신문의 1면은 그의 정책 홍보로 도배되었고, 구폐와 악습을 단절한다면서 국호도 아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