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0일 인도의 중앙은행인 ‘인도준비은행’(RBI)은 기준금리인 환매조건부 채권(Repo 레포) 금리를 현행 6.50%로 동결했다. 지난 10월 9일 인도준비은행은 ‘금융정책 결정회의’(MPC)를 열어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찬성 다수로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10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인도준비은행은 한계 상설 예금 MSF(marginal standing facility) 금리는 6.75%로 동결, 상설 예금(standing deposit facility) 금리도 6.25%로 동결했다. MPC 멤버 6명 가운데 5명이 금리동결에 찬성했다. 사전 조사에서는 이코노미스트 76명 중 80%가 기준금리 유지를 예상했다. 인도 경제가 고도성장을 계속하는 가운데 인플레율이 목표인 4%를 향해 지속해서 저하하는 걸 기다리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하면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다만 준비은행은 경기둔화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정책 스탠스를 ‘완화 해제’에서 ‘중립’으로 변경해 이르면 12월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인도준비은행 샤크티칸타 다스 총재는 성명에서 “많은 노력을 통해 인플레를 억제하면서 중기적인 목표인 4%에 다가설 수 있었다.”면서 “말(인
로이터통신은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22년 12월 인도의 소매물가 인플레이션이 안정권에 들어섰다고 보도했다. 경제학자 4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로이터 통신의 분석은 1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21년 12월 대비 5.9%로 11개월 만에 최저치였던 5.88%와 비슷하게 도달했다. 인도중앙은행인 인도준비은행이 설정한 안정권인 2~6% 내로 도달한 것으로 3년 넘체 최초 목표치였던 4%를 상회하고 있다. 2022년 12월 도매물가 상승률은 5.6%로 2022년 11월 5.85%보다 낮아졌다. 식료품 가격은 순차적인 하락으로 인플레이션의 완화적인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핵심 인플레이션은 계속 고착화되어 커다란 하락폭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면서 하한선이 생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자원에 대한 가격이 혼동될 때 핵심 인플레이션은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가격 압력 지속성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덧붙였다. 샤크티칸타 다스 인도준비은행 총재는 최악의 상황이 ‘우리 뒤에’ 가까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하였으며 단기적으로 중앙은행이 매파적인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