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0일 전자제품 위탁생산업체인 대만의 홍하이 정밀공업(이하 ‘폭스콘’)이 대만 최초의 인공지능(AI) 모델인 ‘폭스브레인’(Foxxbrain)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폭스브레인은 추론 기능을 갖춘 대규모 언어모델(LLM)로, 데이터 분석과 수학, 코드 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폭스콘은 AI 선두 주자인 미국 엔비디아가 대만에 있는 슈퍼컴퓨터와 기술 컨설팅을 지원해 불과 4주 만에 성공적으로 AI 모델 학습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폭스콘은 업계 파트너와의 협업을 위해 폭스브레인을 오픈소스화할 계획이다. 폭스콘은 새 AI 모델이 제조 및 공급망 관리의 발전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폭스콘의 AI 연구센터 리융후이 이사는 “이 모델에 단순히 컴퓨팅 파워를 투입한 것이 아니라 최적화된 훈련 전략을 우선시했다.”고 설명했다. 새 모델에는 엔비디아 H100 그래픽 처리장치 100개가 사용됐다. 폭스콘은 이날 폭스브레인의 일부 사양만 공개했으며, 이달 중순에 열리는 엔비디아의 연례 기술 행사에서 추가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폭스브레인은 메타의 라마 3.1 구조를 기반으로 했으며, 고급 추론 기능을 갖추고 있는
대만 폭스콘(Foxconn)이 중국 본토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전기차 사업을 확장하기로 했다. 애플 최대 위탁 협력업체인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은 전기차 뿐 아니라 반도체, 로봇 등 수익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12월 25일 폭스콘이 대만 증권거래소에 ‘폭스콘 신에너지 배터리(정저우)’에 6억 위안(원화 약 1,200억 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 이 자금은 중국 허난성 정저우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데 사용될 예정으로 설립된 공장은 대만 이차전지 공장에 이은 2번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될 예정이다. 폭스콘은 인도에서도 배터리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폭스콘은 위탁생산 전문기업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었다. 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전기차 제조 사업에 진출해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해 다른 제조사들의 제품을 만들어주는 전략으로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지난 2022년 5월엔 미국 전기 픽업트럭 스타트업 로즈타운 모터스의 오하이오 공장을 2억3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22년 1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빈살만 왕세자가 의장으로 있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전기차 합작회사 인 ‘시어(Ceer)’도 설립했
폭스콘이 베트남 법인인 순신베트남테크놀로지유한공사(Shunsin Vietnam Technology Ltd.)는 총 8,000억 달러(원화 약 1,127억 원)를 들여 베이장성에 전자부품 생산공장 설립에 나선다. 공장은 총 44,343.8㎥ 규모로, 베이장성 광저우 공업단지 내에 위치한다. 공장은 집적회로를 포함해 전자부품을 연간 450만개 생산을 목표로 하며 미국, 유럽, 일본으로 수출 할 예정이다. 지난 11월 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순신베트남은 환경영향평가(EIA)를 제출했으며, 환경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기획투자부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순신베트남은 2,000만 달러(원화 약 281억 4,600만 원)를 직접 투자하고 6,000만 달러(원화 약 844억 3,800만 원)는 대출과 융자로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순신베트남은 오는 12월까지 건축허가와 모든 절차를 마무리한 후 2026년 5월까지 공장 건설과 설비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2025년 6월에 시범 운영을 시작 후 2025년 12월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6월에 시범 운영을 시작하며, 같은 해 12월부터는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폭스콘은 중국에서 보편화된 폐
대만의 폭스콘이 베트남 북부 꽝닌(Quang Ninh)성에 5억 5,100만 달러(원화 약 7,763억 3,860만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꽝닌신문에 따르면 꽝닌성이 폭스콘 싱가포르(Foxconn Singapore)에 투자인증서를 발급했으며, 2개의 스마트기기 생산기지를 짓는 신규 프로젝트의 투자 규모는 5억 5,100만 달러다. 프로젝트별 투자 규모는 연산 418만 대의 스마트 엔터테인먼트 기기 생산공장에 2억 6,370만 달러(원화 약 3,713억 4,234만 원) 규모이며, 스마트 시스템 기기 공장에는 2억 8,720만 달러(원화 약 4,044억 3,504만 원)가 투입된다. 2개 프로젝트는 2026년 7월 중 완공을 목표로 하며, 장비의 설치 및 시운전을 거쳐 2027년 5월부터 양산을 목표로 한다. 꽝닌성은 2023년 6월에도 폭스콘에서 제출한 전기차 부품 공장과 IT기기 및 예비부품 공장 프로젝트를 위한 2억 5,000만 달러(원화 약 3,520억 5,000만 원)의 투자에도 인증서를 발급했었다. 2000년대 베트남에 진출한 폭스콘은 누적 투자액이 32억 달러(원화 약 4조 5,088억 원)을 돌파했다. 현재 폭스콘 제조공장의 대부분은 북부 박닌
애플 최대공급업체 폭스콘(홍하이정밀)이 베트남 북동부에 3억달러(약 4008억원) 가량 투자해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폭스콘은 베트남 부동산개발업체 킨백시티와 함께 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폭스콘은 베트남 북동부 박장성 50.5헥타르(㏊) 부지에 새 공장을 설립해 3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는 현지 신문을 인용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어떤 종류 제품이 새 공장에서 생산될지, 생산능력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폭스콘은 15년 만에 아이패드-에어팟 생산 공장 일부를 박장주 내 광쩌우 산업단지로 옮긴 바 있다. 또 2020년부터 애플 무선헤드폰 에어팟을 베트남에서 생산했다. 중국 밖에서 조립된 최초 시도였다. 최근에는 더 정밀한 조립과정이 요구되는 애플워치와 맥북도 일부 생산라인을 중국서 이전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19년 이후 박장성 광쩌우산업단지 최대 외국인직접투자 기업인 폭스콘은 이번 투자로 누작 7억 7300만달러로 늘어난다. 베트남 내 애플 협력업체의 생산시설은 2018년 14곳에서 현재 22곳으로 늘어났다. 현지 미디어는 “폭스콘의 이번 추가투자는
대만 전자기기 제조기업 폭스콘(Foxconn)이 미국의 전기차 기업 로즈타운 모터스(Lordstown Motors Corporation)의 오하이오 공장을 인수했다. 1일 폭스콘이 로즈타운 모터스의 오하이오주 공장을 2억 3000만 달러(한화 약 2732억 원)에 인수하기로 로즈타운 모터스와 합의했다. 또한 주당 6.8983 달러(한화 약 8250원)에 로즈타운 보통주 약 5000만 달러(한화 약 598억 원)를 매입하기로 합의했다. 합의에는 로즈타운의 허브 모터 조립라인, 배터리 모듈, 포장 라인 자산, 특정 지식재산권이 제외됐지만, 로즈타운의 대형 트럭은 인듀런스(Endurance)의 계속 생산은 포함됐다. 로즈타운 오하이오 공장은 전체 면적이 620만 평방피트 규모로 지난 2019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인수했다. 폭스콘은 2022년 4월부터 인듀어런스를 생산한 뒤 2023년부터 다른 전기차 기업인 피스커(Fisker)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폭스콘 류양웨이 회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생산 능력을 구축하려는 폭스콘의 목표가 더 빨리 실현될 것”이라며 “폭스콘의 전기차 사업과 혁신 전략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