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에 최대 3,40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 ‘미국 태양광 제조업 무역동맹 위원회’의 청원 근거로 관세 부과 지난 4월 23일 미국 상무부는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4개국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셀 및 패널에 대해 반덩핑관세(AD)와 상세관세(CVD)를 부과한다. 관세 부과 결정은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우회 수출’을 겨냥하면서 ‘미국 태양광 제조업 무역동맹 위원회’는 동남아에 공장을 둔 중국 업체들에 대한 조치를 청원했었다. 이에 미국 상무부는 1년간 조사한 결과, 동남아 4개국 수출 대부분이 중국 기업의 부품과 기술을 활용해 생산됐고 미국 시장에 덤핑 판매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중국 태양광 업체들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지원 받고 저가로 수출해 미국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기업과 국가에 따라 최소 14.64%에서 최대 3403.96%의 상계관세를 부과했다. 말레이시아를 통해 태양전지 제품을 수출한 세계 최대 태양광 기업인 징코솔라(Jinko Solar)는 41.56%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 태국을 통해 수출하는 트리나솔라(Trina Solar) 제품에도 375.19% 관세를
한화그룹이 베트남 메콩강 유역에서 진행했던 환경보호 캠페인 '클린업 메콩'이 뉴욕페스티벌 광고제에서 '친환경 PR(Public Relations:Best Use/Environmental Effort)'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미국의 클리오 광고제, 프랑스 칸 광고제와 더불어 세계 3대 광고제로 꼽히는 '뉴욕페스티벌'은 지난 4일(미국 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2020년 광고 수상작들을 발표했다. 올해 뉴욕페스티벌에는 전세계 60개국에서 광고, 콘텐츠, 홍보제작물, 파트너십 등 기업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걸친 수천여 작품들이 출품됐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을 통해 예선과 본선 심사가 진행됐으며, 시상식도 생략할 예정이다. 한화그룹의 '클린업 메콩'은 400여 명의 전문가 심사를 거쳐 '친환경 PR'부문 금상을 비롯해 동상 5개 등 6개의 본상을 수상했다. 올해 출품한 한국 기업 중 유일한 금상 수상작이다. 이외에도 '창의적 마케팅 전략-효율성', '사회적-환경적 제품 브랜드 PR', '기업이미지 PR', '제품 디자인 혁신', '옥외매체' 등 총 5개 부문에서도 동상을 수상하며 올해 한국 기업 중 최다 부문 수상도 함께 기록했다. 오랜 전통과 권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