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에 대한 맞대응으로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서자 미국 희토류 업체도 대중국 수출을 중단으로 응수했다. 지난 4월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광산과 가공 시설을 운영하는 MP 머티리얼즈는 전날인 4월 17일 미국 내 광물 공급망을 ‘재산업화’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중국에 희토류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지난 4월 4일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선 데 대한 보복 조치로 보인다. ‘희토류’(Rare Metal)는 첨단기술, 국방,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쓰이는 전략 자원으로, 중동의 석유, 러시아의 천연가스, 중국의 희토류로 불리는 중요 전략자원(戰略資源) 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희토류 공급국으로 풍력 터빈, 제트 엔진 코팅에 사용되는 고출력 자석, 광학레이저, 레이더 장치 등을 만드는 기업들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희토류의 세계 최대 공급국이지만 미국은 자체 생산과 정제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국은 1980년대 캘리포니아주에서 세계 최대 희토류 광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중국에 추월 당했다. MP 머티리얼스는 성명에서 “우
미얀마 군부는 소수민족 무장세력 등의 거센 저항에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는 3월까지 국가 영토의 약 86%와 인구의 67%에 대한 안정적인 통제력을 상실했다. 반군연합인 무장단체 타앙민족해방군(TNLA)는 지난해 샨주에서 아라칸군(AA),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과 '형제 동맹'을 결성했다. 10월 27일 군사작전 ‘1027작전’을 시작해, 중국 접경 지대인 샨주 등에서 미얀마군을 공격했다. 이들은 지난 8월엔 미얀마군 동북부사령부를 점령했다. 지난달 23일엔 외신과 소수민족 반군인 카친독립군(KIA, Kachin Independence Army)이 역시 중국과 국경을 맞댄 카친주 판와를 장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판와는 카친주의 희토류 생산지로 미얀마의 주요 수출 품목이자 미얀마 군사정권의 돈줄로 꼽히는 희토류 채굴 중심지다. 군사정권이 타격을 입고 희토류 공급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KIA는 앞서 인근의 희토류 생산지인 칩웨도 차지했다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 최근 소식은 지난 20일 중국 국경 근처의 도시 '칸팩티(Kan Paik Ti)'를 점령했다. 이 도시는 몇 주간 카친독립군의 포
희토류를 보유한 말레이시아 페락(Perak)주가 성림첨단산업(SGI)과 투자유치를 위한 협의를 하고 있다. 뉴스트레이트 타임즈 등 말레이시아 언론에 따르면 공근승 성림첨단산업 대표가 5월에 페락주를 방문해 투자와 관련한 세부사항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림첨단산업은 국내 유일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기업이다. 희토류 영구자석은 전기자동차 전동모터의 핵심소재이며 풍력발전과 같은 친환경 산업에도 쓰이고 있다. 페락주에는 약 2백억 5천만 달러에(37조6천억원) 달하는 168만7500톤의 란타나이드가 매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 광물 및 지질과학부(MENR)는 말레이 반도와 보르네오 섬의 13개 주 중 10개 주에서 희토류 광물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사라니 모하메드(Saarani Mohamad) 페락주지사(Menteri Besar)는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자기 유도 모터에 들어가는 영구 자석과 하이브리드 스타터 발전기 자석을 생산하는 성림첨단산업과의 협력은 새로운 산업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큰 이익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사라니 주지사는 주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4월 20일부터 27일까지 한국과 일본을 방문했다. 한국에서는 전기자동차 부문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희토류 영구자석 대량 수주에 성공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미국법인은 9,000억 원 규모의 영구자석 계약을 체결해 2026년부터 2031년까지 공급한다. 해당 영구자석은 중대형 신규 전기차 모델의 구동모터에 탑재될 예정이다. 포스코잌터내셔널 독일법인은 2025년부터 20234년까지 2,600억 원 규모의 영구자석 공급계약을 체결해 완성차 브랜드에 공급한다. 사용될 희토류는 중국산이 아닌 미국, 호주, 베트남 등지에서 조달한 원료가 사용될 계획으로 성림첨단산업이 제조를 맡는다. 희토류 영구자석은 전기차의 심장인 구동모터에 들어가는 자석의 일종으로 일반자석 대비 자력이 수배에서 수십배까지 강해 전기차 구동모터 80% 이상에 희토류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다. 이번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해외법인을 통한 영구자석 공급계약은 ‘대규모 수주를 통한 안정적인 모빌리티사업의 확장’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한, 90% 이상 중국산 희토류가 차지하고 있는 영구자석 시장에서 ‘탈중국 공급망 구축’이라는 의미가 있어 IRA의 돌파구를 마련한 셈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영구자석 수주 외에도 친환경차 구동계 핵심 부품 공급사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밸류체인을 확
지난 12월 19일 니혼게이자신문은 일본 정부가 도쿄 기준 남동쪽으로 1,900㎞ 떨어진 섬인 오가사와라 제도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인근 심해에서 이르면 2024년에 희토류 채굴을 시도한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8년 일본 도쿄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 교수진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미나미토리섬 주변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가 1,600여만t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는 전 세계가 수백년 동안 사용 가능한 양이라고 밝혔다. 희토류는 스마트폰,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와 전기차 등에 필수적인 광물이다. 일본은 전량을 수입하고 있으며, 약 60%가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일본의 경제안보법에 따라 특정 중요 물자 대상에 희토류가 포함되면서 일본 정부가 물량 확보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지난 12월 16일 열린 일본의 국무회의인 ‘임시 각의’에서 개정한 ‘국가안전보장전략’에 “공급망 강화를 위해 희토류 등 중요한 물자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한다.”는 문구를 포함해 희토류 확보에 대한 법률적 근거도 마련했다. 일본 국회에서 통과된 2차 추가경졍예산에는 희토류 연구 관련 비용 60억 엔(원화 약 576억 원)이 포함됐다.
일본 정부가 도쿄에서 남동쪽으로 1,900㎞ 떨어진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주변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 채굴에 나설 예정이다. 희토류는 전기차‧스마트폰 등 첨단 산업의 주요 원료이나, 현재 전 세계에 유통되는 희토류의 대다수는 중국에서 유통되고 있다. 10월 31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기 미나미토리섬 앞바다 수심 6,000m 해저에 있는 희토류 채굴에 나선다면서 2023년부터 기술개발에 착수해 5년 이내 시험 채굴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8년 일본 도쿄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 교수진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미나미토리섬 주변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가 1,600여만t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는 전 세계가 수백년 동안 사용 가능한 양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현재 희토류 전량을 수입하고 있으며, 중국산 비중은 60%에 달한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 관리를 강화하면서 공급망 관리 이슈가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경제안보법에 따라 특정 중요 물자 대상에 희토류가 포함되면서 일본 정부가 물량 확보에 관여하는 것으로 요미우리 신문은 보도했다. 그동안 일본의 희토류 채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생산 비용을 비롯한 경제성이었다. 일본은 바다에 희토류가 매장되
중국 정부가 희토류(Rare Metal) 공급망에서 주도적 입지를 유지하기 위한 국유 희토류 기업 설립을 승인했다. 12월 7일(미국 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이르면 12월 중 장시(江西)성에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기업 설립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새로운 기업명은 ‘중국 희토류 그룹(China Rare Earth Group)’이라고 전했다. 중국 희토류 그룹은 기존에 희토류 중국 국유기업인 ‘차이나금속회사(China Mineralmetals Corp.)’, ‘중국알루미늄주식회사(Aluminum Corp. of China Ltd.’, ‘간저우 희토류그룹(Ganzhou Rare Earth Group Co’가 합병되어 설립된다. 이번 합병은 중국이 희토류 공급망에 보다 강력한 영향력과 가격결정권을 가져가기 위한 결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분석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량의 70%, 희토류 자석 생산량의 90%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 영향력을 통해 서방권의 핵심기술의 노력을 약화시켜왔다. 2020년부터 심화된 미‧중 무역분쟁으로 서방 기업과 전부는 희토류 관련 산업에서 중국의 주도적 지위에 맞서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
중국 당국이 중국 제조업체의 희토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희토류 채굴 할당량을 20%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인터넷 신문은 왕이신문은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자연자원부가 희토루 채굴 관련 통지문에서 채굴 할당량을 16만 8000톤, 제련 분리 할당량을 16만 2000톤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4만 톤 대비 20% 증가한 사상 최대 수치이며 제련 분리 할당량 역시 2020년 13만 5000톤 대비 20% 확대한 수치다. 중국은 경희도(Light Rare Earth)와 중희토(Heavy Rare Earth)로 구분해 1년에 2회 할당량을 발표한다.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경희토는 네이멍구, 산둥, 쓰촨 등 북부 지역에 주로 매장되어 있고 군사 장비에 사용되는 중희토는 남부 지역에 매장되어 있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60%를 담당하고 있지만, 중국이 희토류 할당량을 증가시킨 것에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가 장기화 된 것이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미얀마는 중국 중희토 수요의 절반을 담당했지만 쿠데타 이후 국경이 폐쇄되면서 미얀마산 중희토가 수입되지 못하면서 중국 기업들이 희토류를 공급받지 못해 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코로나19 책임을 묻는 관세를 부과할수도 있다고 경고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재부상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유니온머티리얼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4일 오전 10시 20분 현재 유니온머티리얼은 전 거래일보다 21.51% 오른 2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8월 중국 정부가 노골적으로 '희토류 무기화'를 선언하며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이 심화된 바 있는데 이번 코로나19로 무역전쟁이 재 점화될 가능성이 나타나며 희토류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란 사실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여부에 대해서는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며 말을 아꼈다. 하지만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재선 가도에 ‘빨간불’이 켜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내 비판여론을 돌리기 위해 대중(對中) 강경 카드를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도 대부분의 희토류를 중국에서 수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