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지주의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이 1년 전보다 6% 감소한 1,628억 원을 기록했다. JB금융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일회성 요인으로 순이익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다만 JB우리캐피탈을 비롯한 나머지 계열사는 모두 순익 성장에 성공했다. JB금융그룹 김기홍 회장은 2025년 기업・가계대출 부문에서 ‘자산 리밸런싱’ 작업을 공격적으로 실시해 돈 되는 상품을 위주로 취급해 수익성을 강화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 24일 JB금융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지배주주지분 순익(지배주주지분)은 1,628억 원을 기록해 지난 2024년 1분기 1,732억 대비 6.0% 감소했다. 핵심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순익이 나란히 빠지면서 지주 총 순익이 줄었다. 광주은행의 2025년 1분기 순익은 670억 원으로, 1년 전 대비 8.7% 감소했고 전북은행의 순익은 563억 원에서 515억 원으로 8.6% 줄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순익 감소는 일회성 요인이 크다.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따라 양행이 LGD(부도 시 손실률) 산출 방식을 보수적으로 바꾸면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일시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전북은행의 충당금은 지난 2024
JB금융그룹(회장 김기홍)은 베트남 소재 손자회사인 ‘모건스탠리 게이트웨이 증권사(MSGS)’의 사명을 ‘JB증권 베트남(JB Securities Vietnam, JBSV)’으로 새롭게 바꾸고 공식 출범한다. JB금융그룹은 최근 베트남 감독당국(SCC)으로부터 사명 변경 승인을 취득하는 등 영업개시에 필요한 모든 승인 절차를 마무리 하였다. 새롭게 출범하는 ‘JBSV’는 광주은행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베트남 금융시장에서 부동산 개발 등 유망한 투자기회를 발굴하여 국내 및 해외 투자자에게 연계해주는 영업에 주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지 기업 대상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BW), 회사채 발행 주선 뿐만 아니라 인수·합병(M&A) 주선 업무 등 투자금융 사업에 주력할 계획이다. 김두윤 JBSV 신임대표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베트남 시장에서 투자금융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그룹 차원의 수익원 다변화를 도모하는 한편, 그룹 내 계열사의 투자기회를 제공하는 등 베트남 시장에서 JB금융그룹의 첨병 역할을 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JB금융지주는 베트남 모건스탠리 게이트웨이 증권회사(MSGS) 인수에 대해 양국 금융당국의 최종 인가를 받았다. 이에 지분 100%에 대한 매매대금 지급을 완료하고, 베트남 증권사를 광주은행 자회사로 편입시켰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JB금융그룹의 계열사는 7개사(손자회사 포함)로 늘어나게 되며, 향후 그룹의 비은행 수익비중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수가격은 199억원(지급기준일 환율 적용)이다. ‘MSGS’ 자기자본 189억원 대비 1.05배로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이다. JB금융그룹은 새로 인수한 베트남 증권사를 통해 국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현지 부동산 및 인프라 개발 관련 금융주선 업무에 주력할 계획이다. 현지 기업 대상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회사채 발행 주선 뿐만 아니라 인수·합병(M&A) 주선 업무도 공할 예정이다. JB금융그룹은 이번 인수로 ‘동남아 금융벨트’를 구축하게 되었다. JB금융그룹은 지난 2016년 전북은행을 통해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을 인수했고, 같은 해 JB우리캐피탈을 통해 미얀마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향후에도 JB금융그룹은 신남방 지역 핵심 국가를 중심으로 글
JB금융그룹(회장 김기홍) 손자회사인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이 캄보디아 현지 마케팅을 강화했다. 프놈펜상업은행은 캄보디아 시엠레아프 지역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옥외광고를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옥외광고 캠페인 하단에 ‘어서오십시오’와 ‘전북은행’ 등이 한글로 표기돼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또한 캄보디아 태권도 선수단의 한국 전지훈련도 지원한다. 은행은 캄보디아 출신 프로당구선수 프롱 피아비를 명예 홍보대사로 선정, 홍보효과를 톡톡히 누리기도 했다. JB금융그룹은 2016년 8월 프놈펜상업은행을 전북은행의 자회사로 인수했다. 전체 직원의 98%가 캄보디아 현지인이며 영업점 19곳을 운영 중이다. 프놈펜상업은행은 현지화에 성공, 매년 두자리 수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올해 상반기 이자이익은 1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4억 원)보다 32.7% 늘어났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인수 이후 처음으로 100억원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