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9일 한화오션이 독일 해운사인 하팍로이드(Hapag-Lloyd)와 액화천연가스(LNG・Liquefied Natural Gas)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 건조의향서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조선・해운 전문 매체 트레이드윈즈 보도 등에 따르면 하팍로이드는 1만6800TEU급 LNG 컨테이너선 6척을 한화오션에 발주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계약금은 모두 12억 달러(원화 약 1조 7,000억 원) 규모다. 해당 발주 건은 당초 하팍로이드가 중국 양쯔강 조선에 추가 발주할 물량을 선회해 한화오션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한화오션의 선가, 미중관계 등의 영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팍로이드’는 지난 2021년 6월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에 23,500 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발주했다. 당시에 선박들의 가격은 척당 2억 달러(원화 약 2,245억 원)가 넘었고, 2027년부터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건조 계약까지 이뤄지진 못했다. 이후 하팍로이드는 중국 양쯔장 조선과 16,800 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2척 건조 계약을 맺었다. 해당 계약의 선가는 척당 2억 1,000만 달러(원화 약 2,873억원)였으며
한국가스공사가 자사의 LNG선 정기 입거수리를 국내 조선소에 위탁한다. ‘정기 입거수리’란 LNG 선박을 5년에 2회 정기적으로 육상에서 검사 및 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스공사는 인건비가 저렴한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등 해외 조선소에서 입거수리를 위탁해왔다. 2018년에는 싱가포르 9척, 말레이시아에 1척을 위탁했고 2019년엔느 싱가포르 11척, 말레이시아에 2척을 위탁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해외 입거수리가 어려워지자 약 84억 원을 들여 국내 조선소에서 7척의 입거 수리를 진행했다. 2021년에도 삼강S&C나 성동조선 등 국내 조선소에서 입거 수리를 진행하고, 국내 LNG 선박 수리 분야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 입거수리를 계기로 조선업계 일자리 창출은 물론, 수리비 외화 유출을 방지해 침체한 국내 경기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가스공사는 "올해 국내 조선소에서 수리 예정인 가스공사 LNG 선박은 총 12척"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조선업 육성을 위해 수리 수요를 지속해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이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3조 원 대 선박 수주계약에 성공했다. 지난 23일 삼성중공업은 유럽 지역 선주와 총 25억 달러(한화 약 2조 8000억 원) 규모의 선박 블록(선체 일부) 및 기자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기간은 2025년 12월까지이며 계약 규모는 삼성중공업 창사 이래 가장 큰 계약이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의 수주 잔고가 지난 6월 말 기준 199억 달러(한화 약 22조 392억 원)를 기록했으나 5개월만에 211억 달러(한화 약 23조 3682억 원)를 기록했다. 유럽 선주와의 계약 주체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삼성중공업의 입찰 이력을 봤을 때 러시아발 LNG(액화천연가스) 쇄빙선 수주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향후에도 모잠비크와 카타르 등지에서의 수주가 유력하고 컨테이너선과 원유선반선의 발주가 재개되는 조선업 상황을 봤을 때 전망이 호조가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