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를 끝낼 것이란 기대감에 일본 국채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지난 3월 14일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주에 1조 1,500억 엔(원화 약 10조 2,790억 원)에 달하는 일본 장기채권을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4월 이후 최대 주간 순매수 기록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2주 연속 일본 주식을 순매수하는 등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현금 주식도 1,763억 9,000만 엔(원화 약 1조 5,778억 원)을 순매수했고 파생상품계역도 219억 6,000만 엔(원화 약 1,964억 원)을 순매수했다. 일본 단기채권은 3월 1번째 주 해외 자본 순매수가 2조 2,200억 엔, 전체 매수 약 19조 8,430억 엔을 기록했다. 2월 4째주 순매수액은 해외 자본 순매수가 2조 7,500억 엔이며 전체 매수액은 약 24조 5,803억 엔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일본 국채 매입에 나선 이유는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일본 대기업들의 임금 협상 결과에 따라 일본 중앙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를 논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본중앙은행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마이너스 금
지난 3월 11일 로이터통신은 중국 금융당국이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완커(萬科・Vanke)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금융지원을 해줄 것을 대형은행들에게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금융당국은 완커의 채권자들을 향해서 부채 만기 연장과 지원 조치고 조속히 성과를 내도록 요구 받고 있으며, 내각인 국무원(国务院)이 완커에 대한 지원 노력을 조율 중이다.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해 중앙 정부가 나선 것은 매우 드문 사례다. 채무불이행에 청산 위기에 직면한 헝다(에버그란데)와 비구어위안(컨트리가든) 등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경영난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각은 경제부양책을 고려하긴 했지만 기업 지원에 대해선 요지부동(搖之不動)이었기 때문이다. 중즈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완커는 지난 2023년 1~8월 기준 판매액 2,447억 위안(원화 약 43조 7,000억 원)을 기록해 중국 부동산 기업 2위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완커의 지원에 나선 것은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의 국유자산 감독기관이 운영하는 ‘선전 메트로’가 완커그룹의 지분 33.4%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국제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을 평가받은 중국 부동산 기업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 이하 ‘3중 전회’)가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이전 개막이 무산됐다. 중국 시진핑 주석 3기의 주요 경제정책 방향을 점칠 수 있는 ‘3중 전회’가 뒤로 밀리면서 3월 4일에 개막하는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024년 양회에서는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부동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뤄 대형 국유은행을 중심으로 해결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2월 29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재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가 끝난 후 3월 3일까지 ‘3중 전회’와 관련된 언급이 나오지 않았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난 2월 말에서 3월 초에 양회 개막 직전 ‘3중 전회’ 개최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일정이 확정되지 못했다. 임기 5년 동안의 경제정책 청사진을 보여줬던 3중 전회는 관례대로면 지난 2023년 10월 전후에 열렸어야 했지만 이유 없이 미뤄졌다. 중국의 경제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며 3중 전회에서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흩어지면서 시선은 이제 3월 4일에 개최되는 양회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지난 2월 27일에는 ‘전인
지난 3월 1일 중국의 1번째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이 1년간의 개조를 거쳐 해상 시범 운항에 들어갔다. 중국 매체인 ‘문회보’는 사진을 게재하며 랴오닝함이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 다롄조선소를 나섰다고 보도했다. 지난 2023년 2월 28일 랴오닝함은 다롄조선소로 보수 작업을 위해 입항후 1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오는 3월 9일까지 시범 운행을 마치면 랴오닝함은 훈련용 항공모함에서 전투용 항공모함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랴오닝함 비행갑판에는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와 ‘J-15’ 함재기의 실물 크기 모형도 목격됐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는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를 통해 “1년에 걸친 개조 작업은 랴오닝함에 단순한 유지보수가 아닌 복잡한 업그레이드가 적용됐음을 의미한다.”면서 “J-35 모형이 등장한 것은 랴오닝함 함재기 편대에 이 기종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또한, 랴오닝함에 함재기가 탑재됨은 중국의 2번째 항모 ‘산둥함’과 3번째 항모 ‘푸젠함’에도 J-35가 탑재되는 것이 당연지사(當然之事)로 보인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사단법인 한중연합회 회장)가 (사)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회를 통해 2024년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 박승찬 교수는 올해 3월 1일부터 내년 2월까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게 된다. 한국동북아경제학회는 1988년 한국중소경제학회를 창립한 후 1995년 한국동북아경제학회로 명칭을 변경한 한국 최고의 동북아경제를 연구 조사하는 단체다. 한-중-일을 기반으로 러시아, 북한, 몽골 등 동북아 전반의 지역경제를 연구하는 국내외 학자와 연구원 등 약 500여명이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동북아경제 싱크탱크 조직이다. 현재 등재학술지인 ‘동북아경제연구’를 연 3회 발간하고 있다. 박승찬 신임 회장은 취임 인사를 통해 “미중간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중동전쟁 등 글로벌 지정학, 지경학적 이슈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동북아 국가간 통상 및 경제협력 및 교류의 중요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 500여 명의 훌륭한 (사)한국동북아경제학회 연구자들의 지혜와 혜안이 국가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승찬 교수는 중국 칭화대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대한민국 주중국 대사관에서 경제통상전문관을
2월 23일 LY주식회사(라인야후)는 일본에서 라인 메신저 내 ‘AI 어시스턴트’(인공지능 비서) 유‧무료 서비스를 출시했다. ‘라인AI어시스턴트’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등을 활용해 이용자의 질문에 답변하거나 상담해주는 서비스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일본 라인 앱 버전 14.1.0 이상이 필요하다. 하루 5건까지 무료로 AI 답장을 받을 수 있으나 텍스트 메시지로만 이용할 수 있고, 이미지‧파일의 번역‧요약‧분석 기능은 이용할 수 없어, 무료 버전의 한계가 있다. 세금을 포함해 월 990엔(약 9천원)의 유료 요금제에 가입하면 번역‧요약‧분석 등 모든 기능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라인은 지난 1월 말 일본에서 오픈AI의 API를 이용해 생성형 AI와 다른 이용자에게 질문할 수 있는 서비스인 ‘라인 AI Q&A(질의응답)’를 출시했었다. 라인 메신저 홈에서 전용 페이지에 접속해 질문을 올리면 AI가 먼저 질문에 답변하고, 이후 다른 이용자들도 답변할 수 있어 질문자가 다양한 의견을 참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라인야후는 소개했다. LY주식회사는 지난 2023년 10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만든 일본 합작
2023년 외국기업의 직접 투자액(FDI)가 1993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에 나서곤 있지만 2023년 국제수지 잠정치 발표에서 대중국 FDI는 330억 달러(원화 약 44조 원)에 불과했으며 이는 1993년 275억 달러(원화 약 36조 7,400억 원) 이후 가장 낮은 액수다. 대중국 FDI는 2021년 3,441억 달러(원화 약 458조 8,000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고 2022년에는 1,802억 달러(원화 약 240조 3,000억 원)를 기록했는데,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81.68%나 급감했다. 국가외환관리국 데이터는 자금의 순 흐름을 측정하는 것으로, 외국 기업의 이익과 그들의 중국 내 사업 규모 변화를 반영한다는 게 정설이다. 중국 상무부는 2023년 대중국 신규 FDI가 3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고 지난 1월 공개했는데 상무부 자료는 기존 외국기업들의 재투자 실적을 포함하지 않아 국가외환관리국 집계보다 변동성이 적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고금리, 미중간 지정학적 긴장, 반간첩법 시행 등에 따라 외국 기업들이 자금을 중국 밖으로 빼는 상황이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
2024년 중국의 춘절 연휴 기간 현지 관광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1인당 지출액은 2023년보다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지난 2월 10일부터 2월 17일까지 중국 춘절 기간 동안 중국내 관광객 숫자는 4억 7,400만 명으로 집계했으며, 이는 2023년 중국 춘절 대비 34.3%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COVID-19) 확산 적인 2019년과 대비했을 때 19% 증가한 수치다. 지출액은 6,236억 8,700만 위안(원화 약 116조 9,015억 원)으로 2023년 대비 47.3% 증가했으며 2019년 대비 7.7% 지출액이 증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교통부와 철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철도 여행건을 9,950만 건으로 계산해 2019년 대비 36% 늘어난 것으로 계산하고 2024년 실제 가계 소비 증가율이 6%에 달할 것으로 골드만삭스의 추이샨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다만, 1인당 일일 지출액은 평균 166위안으로 2023년 174위안보다 5%가량 감소해 코로나19 이후 관광에서 소비하향 추세가 나타나 소비액 회복 속도는 더디다고 진단했다. 중국 국가세무총국에 따르면 2월 10일부터 2월 1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