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부산외대 베트남어과 학생들이다.”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는 12월 12일 베트남 뚜오이째(TUOI TRE) 신문사에서 주최하는 ‘내가 본 베트남 퍼’라는 주제의 글쓰기 대회에서 부산외대 베트남어과 학생 4명이 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우선 1학년 김남주는 ‘다른 두 가지 맛’이라는 글로 2등(상금 1000만 동), 4학년 장미경 ‘냐짱에서의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3등(상금 500만 동) 그리고 1학년 박라경 ‘퍼에 대한 기억’으로, 1학년 박진희 ‘엄마의 퍼와 퍼 단체급식’으로‘장려상(상금 300만 동)을 받았다. 여기에다 부산외대 일반대학원 한베번역학과에 유학 중인 베트남 학생 응웬하안(가장 맛있는 퍼)이 장려상을, 판티투후옌 학생(퍼는 우정이다)은 장려상과 함께 4편을 글을 올려서 다작 상을 받았다. 베트남 뚜오이째 신문사는 매년 12월 12일을 베트남 퍼의 날로 지정하고 퍼를 베트남과 세계에 알리는 행사를 해오고 있다. 이 글쓰기 대회는 ’2024 퍼 축제‘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행사로, 지난 9월부터 인터넷으로 공모하여 이날 결과를 발표하였다. 특히 올해는 지난 10월 초에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이틀에 걸쳐 베트남 퍼를 소개하는 행사를
지난 12월 6일 미국 반도체 설계・제조・서비스 기업 엔비디아(NVIDA)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가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동남아시아 투자계획을 밝혔다. 팜민찐(Phạm Minh Chính) 총리와 만난 젠슨 황 CEO는 베트남에 AI 연구개발센터를 개소하기로 합의했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과 전문가 양성, 스타트업 지원 등 베트남의 AI 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베트남 AI는 베트남의 국민과 산업을 위해 베트남에서 만들어지고 운영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미 베트남에 2억 5,000만 달러(원화 약 3,550억 원) 이상을 투자했으며 베트남에 AI 클라우드 구축과 로봇 공학, AI 기반 스마트시티 건설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빈(Vin) 그룹 산하의 AI 스타트업인 빈브레인(Vin Brain) 인수 계획도 밝혔다. 팜민찐(Phạm Minh Chính) 총리는 “이번 ㅎ바의는 베트남이 아시아의 AI 연구개발 허브가 되기 위핸 중요한 이정표다.”라고 밝혔다. 베트남에 앞서 태국을 방문한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인공지능 분야와 관련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미국과 중국이 상호견제하는 글로벙 공급망
지난 12월 4일 블룸버그통신은 네덜란드 반도체 회사 ‘NXP반도체’와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 계열사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이 합작 투자한 반도체 실리콘 원판(Wafer) 공장이 착공했다고 보도했다. 앤디 미칼레프 NXP 부사장은 착공식에서 “싱가포르는 매우 중요한 위치”라며 “2030년까지 2단계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유럽 반도체 제조 업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자동차(EV)·통신 시장인 중국에서 공급망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번 결정은 미중무역분쟁의 격전지로 꼽히는 반도체 분야에서 칩 생산지를 여러 곳으로 분산하기 위함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지난 12월 2일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중국 수출 제한을 강화하자 중국은 원자재 미국 수출을 막으며 맞불을 놨다. 블룸버그는 2027년부터 이 웨이퍼 공장에서 TSMC만큼 최첨단은 아니지만 자동차・모바일 제품 등에 쓰는 130~40나노미터(1㎚=10억분의 1m) 칩을 생산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일자리 1,500여개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인건비가 저렴한 데 비해 인력은 풍부하고, 아시아 주요 소비 시장과 가까워 기술
‘이마트’가 국내 유통업계 중 최초로 라오스에 진출한다. 12월 6일 이마트가 라오스 비엔티안 시빌라이 지역에 ‘노브랜드 1호점(전체면적 505㎡, 153평 규모)’을 그랜드 오픈한다. 라오스는 베트남과 필리핀에 이어 이마트가 3번째로 진출하는 동남아시아 국가다. 지난 2024년 2월, 이마트는 ‘엘브이엠씨홀딩스’( 이하 ‘코라오그룹’)의 투자회사인 ‘UDEE.CO.,Ltd’와 라오스 진출 관련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고, 양사는 ‘노브랜드 1호점’을 오픈하게 됐다. 이번 오픈은 국내 유통업체 중 최초의 진출이다. 이마트는 라오스 국민들에게 가격・품질이 좋은 ‘노브랜드’상품을 선보여 한국 유통업의 경쟁력을 증명하겠단 입장이다. 라오스는 전체 인구 750만 명으로, 캄보디아・태국・미얀마・중국・베트남 등 5개국으로 둘러 쌓인 내륙국이다. 아직 소형 마켓 및 재래시장 중심의 문화로, 체계적인 대형 유통망이 없어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 받고 있다. ‘노브랜드’가 오픈하는 ‘시빌라이’ 지역은 중산층 인구 밀집지역이자 라오스 국립대학생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젊고 트렌디하며 구매력이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마트는 노브랜드 1호점을 올인원 쇼핑이 가
필리핀 대사관이 한국과 필리핀 수교 75주년 ‘문화의 실’ 전시회를 연다. 2024년 12월 17일 화요일 오후 3시 서울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2층 오미갤러리에서 열리는 ‘필리핀 직조 전시회(Threads of Culture: 필리핀 직조(HABI))’가 그것이다. 개막식 후에는 리셉션이 진행된다. 필리핀의 여러 지역에서 생산된 직조품을 볼 수 있는 전시회로 12월 21일까지 진행된다. 필리핀 직조 문화는 3,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바타네스(Batanes) 섬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방적 도구에서 구운 토기로 만든 17개의 전체 조각과 파편이 발견되었다. 필리핀 직물의 특징이 된 복잡한 자수와 레이스워크는 기하학적 패턴, 대담한 색상을 바탕으로 한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지역 재료와 세대와 세대를 지나 전해진 전통 기술로 고유의 직조 문화가 뛰어난 패션문화로 이어지고 있다. 다이아몬드, 꽃, 나비 문양 등 지역 전통 기하학적 디자인과 수확과 자연을 상징하는 빨강, 검정, 초록, 노랑 색감이 돋보인다. 산골 마을 바나웨는 계단식 논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태국의 국경일(The National Day of Thailand 2024)은 네 가지 중요한 기념일을 축하하는 날이다. 주한 태국대사관은 12월 4일 롯데호텔 서울 크리스탈 볼룸(19:00~21:00)에서 200여명의 태국과 인연이 깊은 안팎의 인사들을 국경일 행사를 했다. 국경일은 왕국의 국경일, 고(故)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탄신일, 태국의 아버지의 날, 그리고 고(故) 국왕의 지속 가능한 토양 관리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여를 기리기 위한 세계 토양의 날이다. 2024년은 태국과 한국 간의 수교 65주년을 맞이했다.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롯 아사나판 태국 참전용사 유해 안장식이 열렸다. 태국은 6·25 전쟁 당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빨리 참전한 나라다. 10월에는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 개최된 패통탄 친나왓 총리와 윤석열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열렸다. 10월에 열린 ‘싸왓디 서울 타이 페스티벌: T-Pop 스토리’에는 5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 2024년 4월 21일 한국에 부임해 온 타니 쌩랏(55) 주한 한국 대사는 국경일 리셉션에서 연설을 통해 태국과 한국 양국의 경제적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자고 강조했다. 특히 혁신, 디지털화,
베트남 경제수도로 불리는 호치민시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시장인 벤탄(Bến Thành) 시장이 도시 수준의 문화유산으로 공식 인정받았다. 11월 22일 호치민 문화체육국은 호치민시 문화유산협회와 협력하여 똔득탕(Tôn Đức Thắng) 박물관에서 역사문화유산 인정 결정을 발표하는 기념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호치민시 세관 본부, 1군 인민위원회 본부, 벤탄시장, 성 쩐흥다오(Trần Hưng Đạo) 사원, 쩐 장관의 가족 감독관 묘 등 5곳이 시 차원의 문화유산으로 공식 지정되었다. 호치민시 사이공의 상징 중 하나로 꼽히는 호치민 벤탄시장은 17세기 초 벤노이 강 근처에 노점상들이 모여들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장은 1859년 응우옌 왕조의 기아 딘 성채를 인수한 후 프랑스 식민주의자에 의해 설립되었다. 1912년 현재 거리에 새 건물로 이전했다. 마지막 개조공사는 1985년에 이뤄졌다. 이곳은 이제 음식, 의류, 신발, 수공예품을 판매하는 가판대가 3000개 이상 모여 호치민의 매력적인 관광지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해산물 튀김과 같은 음식은 주말 하루 7000명이 찾아오는 외국인과 현지인들에게 모두 인기를 끌고 있다. 쩐테투언(Trần Thế Thuậ
대우건설이 지난달 25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 스타레이크 신도시 개발사업 2단계 부지내 주거복합 사업인 K8HH1의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K8HH1 프로젝트는 연면적 113,302㎡ (약 34,200평) 규모의 지하 2층~지상 26층 아파트 2동과 지하 2층~지상 20층 오피스 1동을 신축하는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착공 후 32개월이다. 시행은 대우건설의 100% 자회사인 THT Development가 담당하고, 시공은 현지 건설업 면허를 갖고 있는 DECV(대우건설 베트남법인)이 수행하는 자체사업이다. K8HH1 프로젝트는 K-신도시 수출신화의 상징인 하노이 스타레이크 신도시 2단계 부지에 조성되며, 스타레이크 2단계 사업으로 보면 첫 번째 고층 주거복합 프로젝트에 해당한다. 25일 착공식에는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산하 외국인투자청 도 녓 황(Do Nhat Hoang) 청장, 대우건설 해외사업단장 한승 전무, 주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코참) 홍선 회장, 박항서 전 베트남축구대표팀 감독 등 100여명의 인사가 참석했다. 착공식에 참석한 베트남 기획투자부 도 녓 황 청장은 “K8HH1은 스타레이크 2단계 첫 번째 고층 주거복합 건물이라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