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일렉트릭(이하 ‘HD현대일렉’)이 국내 최대 용량의 위상조정변압기(PST) 제작에 성공했다.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고부가가치 특수변압기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것이다. 지난 4월 2일 HD현대일렉트릭은“653MVA (메가볼트암페어)급 위상조정변압기(사진)의 최종 승인시험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제품은 오는 2025년 8월 미국 인베너지가 건설 중인 뉴욕 풍력발전단지에 공급될 예정이다. 인베너지는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이다. 위상조정변압기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수변압기로 통상 300MVA급 이상을 초대형으로 분류한다. 653MVA급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위상조정변압기 가운데 최대 규모다. 미국과 유럽에 태양광, 풍력으로 운영되는 대규모 전력발전단지가 많아지면서 초대형 특수변압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베리파이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특수변압기 시장 규모는 지난 2024년 25억 달러(원화 약 3조 6,670억 원)에서 2033년 48억 달러(원화 약 7조 406억 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일반 변압기로 벌어들이는 돈을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해 고부가가
지난 4월 3일 현대자동차가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차세대 수소전기차(FCEV) ‘디 올 뉴 넥쏘’를 글로벌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가 공개한 ‘디 올 뉴 넥쏘’(The All-News NEXO)는 수소전기차 넥쏘가 2018년 3월 출시된 지 7년 만에 나온 완전변경 모델이다. 수소전기차 콘셉트카 ‘이니시움’을 기반으로 현대차의 새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이 반영됐다. 전면 주간주행등과 후면 콤비램프에 현대차그룹 수소 브랜드 ‘HTWO’ 심볼이 형상화됐고 측면에서는 직선의 라인과 아치 구조를 반영했다. 실내는 부드러운 느낌의 패딩 패턴과 함께 운전자 중심의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크래시패드 측면에 일체형으로 탑재된 디지털 사이드 미러(DSM)가 적용됐다. 디 올 뉴 넥쏘는 기존 모델보다 뒤쪽 오버행(차량 끝에서 바퀴 중심까지 거리)이 80㎜ 확장되면서 트렁크 공간도 넓어지면서 트렁크에는 최대 4개의 골프 백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브랜드 최초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프리미엄 사운드’가 적용됐다. 폐차 재활용 플라스틱을 비롯한 소재를 내외장재로 사용해 환경친화적인 디자인을 극대화했다. 동력 성능은 인버터 2개
롯데케미칼(Lotte Chemical)이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처음으로 그룹과 함께 참여하며 수소사업의 확장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2025년 하반기 대산 수소출하센터와 하반기 울산 연료전지 발전소를 잇따라 가동하면서 부생수소를 활용한 생산과 유통, 활용의 밸류체인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롯데케미칼은 서울모빌리티쇼 부스를 통해 수소 출하부터 연료전지, 물류까지 연결된 밸류체인은 미래 에너지 시장을 향한 롯데의 로드맵을 명확히 드러냈다. 롯데케미칼의 수소 밸류체인은 대산 수소출하센터와 울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수소 충전소, 수소 화물차 등 4가지다. 수소의 생산부터 출하, 연료전지 발전, 충전, 물류까지 아우르는 수소 생태계로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의지를 강조했다. 핵심 시설인 대산 수소 출하센터는 롯데케미칼과 에어리퀴드코리아의 합작사인 롯데에어리퀴드 에너하이를 통해 올해 상반기 시운전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의 납사분해(NCC)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출하센터에서 정제・압축해 저장한 뒤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외부 수요처로 공급하는 허브 거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공급 능력은 연간 5000~6000톤 규모의 고압수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율을 발표했다.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열어 국가별 상호 관세율을 발표했다. 한국에 대해서는 “우리에게 5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25% 관세율을 책정했다. 하지만, 한국은 미국과 맺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세율 0.79%, 환급받으면 0%로 사실상 0%임에도 불구하고 25%로 책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에도 부가가치세와 소비세도 관세의 일종이라고 주장과 ‘구글 지도 반출 문제’ 등을 거론하면서 사실상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것으로 보인다. 캄보디아 49%, 베트남 46%, 태국 36%, 중국 34%, 인도네시아・대만 32%, 스위스 31%, 남아프리카공화국 30%, 인도 26%, 일본・말레이시아 24%, 유럽연합(EU) 20%, 영국・브라질 10% 등을 부과하기로 했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60여개국에 대해 미국에 부과한다는 주장하는 관세의 절반 수준 상호 관세를 적용한다. 발효 시점은 미 동부시간 4월 9일 0시 1분, 한국 시간 기준 4월 9일 13시 1분이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지난 4월 2일 두산퓨얼셀(Doosan Fuelcell)은 총 4,191억 원 규모의 수소연료전지 계약이 해지됐다고 공시했다. 해지된 계약은 2022년 11월 중국 ‘ZKRG 스마트 에너지 테크놀로지’(ZKRG)와 맺은 3,469억 원 규모 건과 2023년 10월 태영건설과 맺은 722억 원 규모 전주바이오그린에너지 프로젝트 관련 건이다. 두산퓨어셀은 계약 상대 기업들이 중국 내 시장 개화 지연과 고금리로 인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건 변화 등으로 장기간 진행되지 않던 프로젝트를 취소한 것이라며 계약 해지로 사업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밝혔다. ZKRG 프로젝트는 거래상대방의 영업활동 부진에 따라 계약이 장기간 이행되지 못했다. 전주바이오그린에너지 프로젝트는 PF 금융 약정 체결 무산으로 발주처와의 계약이 무효가 된 데 따라 계약이 취소됐다. 앞서 두산퓨얼셀은 지난 3월 31일 한국전력기술, 금호기술, LS일렉트릭과 합의를 통해 3,988억 원 규모의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을 해지했다고 공시했다. 2022년 12월 계약을 맺은 이들 발주처에서 착수 지시서가 장기간 발행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두산퓨얼셀 관계자는 “이번주 공시한 3건의 공급계약 취소에
중국 최대 가전업체 TCL이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인수 작업을 6개월 만에 마쳤다. 지난 4월 2일 TCL은 전날 뉴스룸을 통해 광저우 8.5세대 LCD 라인이 디스플레이 자회사 CSOT(차이나스타)로 공식 이전됐다고 발표했다. TCL은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패널 공장(CA 법인) 및 모듈 공장(GZ 법인) 지분에 대한 거래 승인 및 상업 등록 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24년 9월 광저우 대형 LCD 패널 및 모듈 공장 지분을 CSOT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매매 대금은 108억 위안(원화 약 2조 3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양측은 이달 중 매각 대금과 지급 방식을 확정할 계획이다. CSOT는 이 공장의 명칭을 ‘T11’로 변경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이번 광저우 공장 인수로 CSOT는 LCD 생산 라인을 ▲6세대 2개 ▲8.5세대 4개 ▲8.6세대 1개 ▲10.5세대 2개 소유하게 됐다. 이에 CSOT의 글로벌 대형 LCD 시장 점유율(면적 기준)이 기존 19.3%에서 22.9%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매각으로 LCD
일본 닛산자동차와 프랑스 르노가 상호 출자 지분을 현재의 1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지난 4월 1일 요미우리신문과 NHK에 따르면 닛산은 전날 르노와 이런 내용으로 제휴 관계를 재검토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닛산은 인도 합작회사를 르노에 매각하고 지난 2023년 출자 계약을 맺은 르노의 전기차(EV) 회사 ‘암페어’에 대한 출자는 중단할 계획이다. 양사는 향후 줄여나갈 5% 지분은 우선적으로 상대 회사에 매각하기로 했다. 아울러 닛산은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르노에 제휴 관계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양사는 이를 위한 계약을 5월 말까지 맺을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닛산차는 “미래 투자에 대비할 자금을 확보해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이 유저들의 일러스트 투표를 통해 선정된 카드들을 액세서리 상품으로 출시했다. 이번에 선정된 카드들은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와 ‘플레시아의 충혹마’, ‘세라의 충혹마’다.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와 ‘플레시아의 충혹마’는 카드 프로텍터로 출시됐으며, ‘세라의 충혹마’는 벽지로 출시됐다. 카드 일러스트 대투표 2025에서 선정된 디자인의 프로텍터. 인어공주의 ‘슬픔’을 ‘공포’로 상쇄하면, 세뇌가 풀릴 것이다. - 프로텍터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 - 카드 일러스트 대투표 2025에서 선정된 디자인의 프로텍터. 평온한 분위에 마음이 풀어져, 함정에 걸리는 희생자들이 끊이지 않는다. - 프로텍터 「플레시아의 충혹마」 - 카드 일러스트 대투표 2025에서 선정된 디자인의 벽지. 평화로운 풍경처럼 보이는 초원이지만, 주변 일대는 점모로 가득하다. - 프로텍터 「세라의 충혹마」 - 한편, 과거 기간한정으로 판매됐던 ‘이수마수 바구스카’ 액세서리 세트도 재판매된다.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세트는 ‘카드 프로텍터’, ‘아이콘’, ‘메이트’, ‘벽지’의 총 4종이며, 4월 10일까지 판매된다. 정신없이 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