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일본 전기차 제조사가 연구 개발(R&D)에 투입한 비용이 약 29조 원에 달한다. 2020년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줄어든 R&D 비용이 2021년에 들어 적극 투자에 나서면서 사상 최대 비용이 투입된다. 도요타, 닛산, 혼다, 마쓰다, 스바루, 미쓰비시 모터스 등 일본 6개 자동차 제조사는 2020년 같은 기간보다 7% 늘어난 2조 8870억 엔(한화 약 29조 3911억 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EV) 개발에 나섰다. 일반 정부도 탄소 중립 선언에 맞춰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목표를 설정하고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특히, 도요타와 혼다는 주행 중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연료전지자동차(FCV) 등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 자동차의 판매 목표를 설정하고 제품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도요타는 R&D에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 증가한 1조 16억 엔(한화 약 10조 1972억 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와 연료전지자동차 200만 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또 2025년까지 신차 9개종을 포함한 15개 종류의 순수 전기차 모델을 내놓을 방침이다. 도요타는 15개 차종 가운데 7개는 순수 전기차 신브랜드인 ‘도
"인구가 국력이다." 14억 인구 중국이 ‘인구절벽’과 저출산 우려로 세 자녀까지 허용한다. 40여년 만에 사실상 산아 제한 정책을 폐지한다. 중국 정부는 1979년부터 강력한 인구 억제를 위해 ‘하나만 낳아 잘 키우자’는 정책 구호 아래 ‘한 가정 한 아이 정책’을 도입했다. 1949년 5억 4000만 명이던 중국의 인구가 1974년 9억 명을 돌파, 식량 문제 등이 불거지자 중국 당국은 강제 낙태 등의 강압적 방법으로 인구 조절에 나선 것이다. 2000년대 들어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다자녀를 키울 수 있을 정도로 경제수준이 높아지면서 관련 규제 완화에 나섰다. 시진핑(習近平) 지도부는 2016년부터 '인구계획생육법'을 수정해 35년간 유지돼온 '한 자녀 정책'에 마침표를 찍고 ‘전면적 두 자녀 정책(单独二胎政策)’을 도입했다. 하지만 독신자와 저출산 추세가 빨라지면서 중국 정부의 예측은 빗나갔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중국 인구는 지난해 11월 기준 14억1178만 명으로 여전히 14억 명대를 유지했으나 지난 10년간의 인구 증가율은 0.53%로 1960년대 이후 가장 낮았다. 또한 가파른 출산율 하락에 가구당 평균 인원이 처음으로 3명 밑으로 떨어졌
금융솔루션 제공 스타트업 제타(Zeta)는 시리즈 C 라운드를 위해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약 2억5000만 달러(약 2792억 5000만 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인도 타임즈(The Times of India) 25일자에 따르면 기업가치 약 15억 달러(약 1조 6755억 원)를 기록하며 올해 14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고객사 중 HDFC은행, RBL은행, IDFC 퍼스트뱅크, 코탁 마힌드라은행 등 여러 은행을 꼽고 있는 이 회사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2에서 15억 달러에 가까운 평가액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직렬 기업가 바빈 투라키아와 램키 가디파티가 2015년 설립한 제타는 기존 핵심 은행 시스템을 바꾸지 않고 모바일 앱, 직불 처리, 신용 처리, 대출 플랫폼을 통합한 소매은행 중심의 상품을 제공한다. 바빈 투라키아 최고경영자(CEO) & 공동창업자 제타(Zeta)는 “FIs는 제타(Zeta)를 통해 현대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을 활용하고 시장 출시 속도, 민첩성, 비용 대비 수익 비율, 사용자 경험 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의 6개 스타트업 기업이 4월 5일부터 4일간 15억 5000만 달러(약 1조 7437억 5000만 원)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유니콘 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유니콘’(Unicorn)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1195억 원)를 비상장 스타트업을 가리킨다. 이코노믹 타임스(The Economic Times) 12일자에 따르면 6개의 스타트업 기업은 헬스케어 부문의 팜시지(Pharmeasy)사, 소셜 커머스 부문의 미쇼(Meesho)사, 핀테크 부문의 그로우(Groww)사와 크레드(Cred)사, 소셜 및 컨텐츠 플랫폼 부문의 구슈업(Gupshup)사와 쉐어챗(ShareChat)사이다. 인도는 2020년 동안 12개의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이 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고, 2021년 현재까지 10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산업 로비 그룹 나스컴(Nasscom) 및 기술 컨설팅 진노브(Zinnov)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2021년에 50개 이상의 스타트업 유니콘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쉐어챗 최고 경영자인 안쿠 쉬 사흐 데바(Ankush Sachdeva)는 “인도에서 인터넷 보급이 심화됨에 따라 우리는 제품의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이사장 강성재)이 한국과 인도의 문화경제교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인도 뭄바이 본부가 인도의 유력인사 4명을 당 본부의 고문으로 위촉했다. “문화가 힘”라는 슬로건으로 아시아 전역을 무대로 문화 및 경제 분야로 활발한 교류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이 위촉한 고문들의 프로필은 화려하다. 인도 인민당 6선 하원의원으로 인도 국무장관인 페이건 싱 쿨라스테(Faggan Singh Kulaste), 제니시 내어(Janesh Nair) 경기비즈니스센터 뭄바이소장, 사우 라브 샤(Saurabh Shah) 인도프랜차이즈협회 회장, 리시마 두브라이(Karishma Dubrai) 제니스 이벤트 대표 등 4명이다. 이번에 위촉된 인도 뭄바이 본부 대표 고문 페이건 싱 쿨라스테는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뭄바이본부의 대표고문으로 위촉돼 영광이다. 앞으로 양 국가간 문화교류 및 경제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강성재 이사장은 “4명의 신임 고문은 인도의 문화경제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대외교류 정책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한국과 인도 양국의 문화와 경제교류 방면의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도요타자동차가 호주 빅토리아주에 첫 상업용 수소전기차 충전소를 개소했다. 수소 충전소는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로 에너지를 생산해 전기분해장치를 통해 물로 분해하는 과정을 거쳐 하루 80kg의 수소를 생산한다. 충전소 설하는데 740만 호주달러(한화 약 63억 9000만 원)이 투입됐고, 비용 절반은 호주 정부에서 부담했다. 오는 4월부터는 도요타의 수소전기차 모델 미라이 20대가 호주에 투입해 수소전기차 운행을 통해 개선점을 살펴볼 계획이다. 빅토리아주 멜버른의 서쪽은 세계적으로 규모가 큰 수소 생산‧수소 저장‧수소 유통 지역이다. 호주 전체에서 수소전기차용 충전소가 들어서는 것은 이번이 2번째다. 첫 번째는 호주 캔버라시 수도전기상수도관리회사(ActewAGL)가 호주 수도준주(ACT)에 수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ACT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 20대를 보유 중이다. 수소전기차는 일반 전기자동차에 비하면 아직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다.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폭발 위험성, 재판매 가치 하락 등 다양한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요타는 호주의 연료 공급 인프가 구축을 가장 큰 과제로 보고있으며, 이번 충전소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터닝
세이코 그룹의 3대 핵심 기업 중 하나인 세이코 엡손이 스타트업 기타이(GITAI)에 투자한다. 세이코 엡손은 자회사 엡손 X 인베스트먼트(Epson X Investment)는 범용 우주 로봇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기타이의 제 3차 판매 할당에 가입해 세이코 엡손 벤처투자 부문사(EP-GB)를 통해 투자할 계획이다. 기아티는 달과 화성 표면의 우주 정거장을 위한 범용 로봇을 개발하고 RaaS(Robot as a Service)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 우주정거장(ISS) 상용화나 화성 탐사 임무 추가, 달 표면의 자원개발 등 우주개발이 늘어나면서 신규 우주 정거장 건설이나 파편 제거 작업 등 우주에서의 노동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우주에서는 일반 노동조차 훈련 위험성 및 이동 비용 문제가 발생해 이를 안전하고 저렴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범용 로봇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범용 로봇으로 우주 비행사의 위험과 부담도 줄이고 우주 노동 관련 교통비와 훈련비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엡손은 로봇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GITAI 핵심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GITAI에 엔지니어 파견이라는 인사 교류를 통해 개방형 혁신을 적극 추진할 계획
전세계가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노력함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의 동려원인 2차전지 또한 유망 산업분야로 주목받는 가운데, 중국 내 주력 2차전지로는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전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 모바일 IoT 기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에너지 산업의 핵심 동력원이며, ‘납산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등으로 분류된다. KOTRA에 따르면, 중국은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가 2차전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납산축전지지 생산국이면서, 소비국이며 수출국이다. 특히, 지속적인 기술 도입과 해외 각국의 투자로 중국 납축전지 주요 제품은 글로벌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납산축전지는 높은 안전 신뢰성과 낮은 비용으로 자동차와 산업용 이륜차, 대형 에너지 저장 등 분야에서 광범위게 안정적인 수요가 나오고 있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납축전지 생산량은 세계 비중에서 약 45%로 1위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미국(32%), 일본(13%) 순으로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