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26일 안동중앙신용협동조합(이하 ‘안동중앙신협’)과 킹덤플랜트협동조합이 안동중앙신용협동조협과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동반성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상호협력함으로 사회적 금융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활성화와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을 위한 금융업무 지원 ▲동방성장 및 상생협력 활동 확산‧전파를 위해 상호 협력 ▲지역사회 고언 활동 전개 등에 협력한다. 안동중앙신용협동조합 류기하 이사장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사회 기업간에 연대하고 협력하는 상생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앞장 설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고 전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이 주주가치의 제고를 위해 5045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하고 장내에서 취득할 것이라고 공시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2022년 2월 18일까지 매입주식 발행 총수의 1%에 해당하는 276만 9388주(보통주‧우선주)를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 목적은 주주가치의 제고를 위한 자사주 매입이며, 보유 자사주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주주 환원 정책 강화를 위해 활용한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의 자사주 매입은 2019년 12월 3000억 원 규모의 매입 이후 23개월 만이다. 현대자동차의 공시에 시장도 반응하고 있다. 5000억 원 규모의 현금이 움직이기 때문에 현대차의 사내유보금이 충분하다는 뜻이며, 주가 방어도 가능하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반면 현대자동차의 자사주 매입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주가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과 함께 결국 단기적 주가는 모르지만 장기적인 핵심 요인은 현대자동차의 실적이 될 것이라는 증권가의 전망도 함께 나왔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종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취득했다. 또한, 2020년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메모리 반도체 5종의 후속 제품들도 탄소 저감을 인증받아 ‘탄소저감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시스템 반도체 제품 4종에 이어 SODIMM(8㎇/16㎇), LPDDR5(8㎇/12㎇/16㎇) 등 메모리 제품 제품 20종에 대해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았고 메모리 제품 5종(HBM2E(8㎇), GDDR6(8㎇), UFS 3.1(512㎇), Portable SSD T7(1TB), microSD EVO Select(128㎇)은 ‘탄소저감 인증’을 받았다. ‘탄소저감 인증’은 ‘제품 탄소 발자국’인증을 받은 제품이나 후속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감소시켰을 때 받는 인증이다. 해당 5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저감한 탄소 배출량은 약 68만t으로 30년생 소나무 약 1억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줄면서 생산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 칩으로 인해 제품 당 전력 사용량과 투입 원자재량 감축에 성공했다. 제품의 소비전력
SK하이닉스가 국제회계기준(K-IFRS) 2021년 3분기 매출을 11조 8053억 원, 영업이익 4조 1718억 원(영업이익률 35%), 순이익 3조 3153억(순이익률 28%)의 경영실적을 올렸다. 창사 이래 분기 단위 최대 매출이며 2018년 4분기 이후 2년 반 만에 4조 원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하게 됐다. 매출의 주요 원인은 서버(Server)와 스마트폰(Smart Phone)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했고 제품 가격의 상승이 꼽혔다. 10나노급 3세대(1z) D램과 128단 4D 낸드 등 주력 제품의 수율을 높이고, 동시에 생산비중을 확대해 원가경쟁력을 개선하면서 4조 원대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 SK하이닉스 CFO 노종원 부사장은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으로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이번 실적에 대해 설명했다.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팩토리얼 에너지’와 현대자동차 그룹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 현대‧기아차는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팩토리얼 에너지(Factorial Energy)와 공동 개발 협약(JDA)을 맺고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양 사는 전고체 배터리의 셀과 모듈, 시스템을 개발하고 배터리 양산과 전기차에 탑재하는 단계까지 묶는 통합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팩토리얼 에너지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매사추세츠 주 워번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기술인 FEST(Factorial Electrolyte System Tecnology)를 개척했다.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1회 완충시 주행 거리를 20~50% 높일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보유했다.
‘제 22회 달서경제포럼’이 성황리에 마쳤다. 지난 11월 26일 성서 AW 호텔에서 ‘제 22회 달서경제포럼’가 개최되어 성공적으로 행사가 마무리됐다. 달서경제포럼은 달서구청(구청장 이태훈)이 주관하고 달서경제인협의회(회장 진덕수)가 주관하며, 기업경영 마인드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으며, 국내외의 경제흐름을 진단하고 지역 기업인들의 정보교류의 장으로 정착시켜 좋은 도시 달서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본래 연 2회로 진행되는 포럼은 코로나19의 확산을 우려해 2020년에는 개최되지 않았으나, 올해에는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위드 코로나’기조에 맞춰 다시 개최하게 됐다. 포럼은 방역지침을 준수해 참여자들의 온도를 체크하고, 출입 명부를 확인 한 뒤 진행됐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데이터 공유센터 서동민 센터장이 강사로 초빙되어 ‘4차 산업혁명시대, AI‧빅 데이터로 NEW 비즈니스 세상을 열다’라는 주제로 빅데이터(BIgdata)와 인공지능에 대한 소개 및 활용성 등에 대해서 강연했다. 달서경제인협의회 진덕수 회장은 “코로나19로 힘든 와중에 일상생활로 돌아가기
LG이노텍㈜이 경상북도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LG전자 구미 A3공장의 인수를 포함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검토 중이다. 매일신문에 따르면, LG이노텍은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뿐 아니라 반도체 기판 시장 진출을 위해 구미시에 1조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이자 팹리스 기업 애플(Apple)에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과 반도체 기판을 공급 중인 LG이노텍은 수요가 크게 늘어나 안정적인 생산라인 확보가 주요 이슈였으며, 이를 위해 대규모 투자 집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LG 그룹의 승인과 이사회의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최종 승인이 되면 2022년 상반기 내 생산 설비 및 장비 발주가 진행될 예정이다. LG이노텍이 LG전자의 구미 공장 인수를 검토 중인 것은 LG전자의 구미공장의 비중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LG전자의 구미공장은 A1~A3으로 구성되었으나 2020년 하반기에 TV 생산라인 일부를 인도네시아로 이전하고 남은 생산물량도 지속적으로 이전하면서 사업 비중이 줄어든 상황이다. 반면, LG이노텍은 광학솔루션과 반도체 기판 호황 덕분에 2021년 들어 3분기까지 9조 2226억 원의 매출을 올
정부는 현대자동차 그룹과 ‘청년희망 ON’ 프로젝트의 6번째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향후 3년 동안 총 4만 6000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결정했다. 국무조정실은 11월 22일 경기도 고양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김부겸 국무총이리와의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간단회를 열고 ‘청년희망 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청년 직접채용 3만 명 등 향후 4년간 총 4만 6000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약속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현재 미래사업인 로보틱스, 미리행공모빌리티(Adanved Air Mobility, AAM), 수소에너지, 자율주행 등의 신사업 분야에서 신규 인력 채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인재육성과 창업지원을 통해서도 3년간 1만 6000개의 일자리 창출도 지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차 ‘H-Experience’ 등 그룹사 인턴십 (3400명), 연구장학생, 계약학과, 특성화고등학교 MOU 등을 통해 기술 전문인재를 확보하는 ‘산학협력’(5,600명) ▲이공계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미래기술 ‘직무교육’(6000명) 등의 인재육성 프로그램으로 연간 5000명씩 3년간 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