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이 얼티엄셀즈에 ‘인조흑연 음극재’를 공급한다. 지난 12월 5일 포스코케미칼은 9,393억 원 규모의 음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부터 2028년까지 6년간 포항공장에서 생산한 인조흑연 음극재를 납품하게 된다. 얼티엄셀즈(Ultium Cells)는 제너럴모터스(GM)와 LG에너지솔루션(LG ES)의 이차전지 합작법인으로 2022년 초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배터리셀 생산을 시작했다. 2023년에는 테네시주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며 현재 미시간주에도 제3공장을 건설 중이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음극재는 충전 속도와 수명을 좌우하는데 인조흑연으로 만든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에 비해 충전 속도가 높고 수명도 더 늘려 주는 특성이 있다. 다만 천연흑연 대비 제조 난도가 높아 지금까지는 독자 생산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일본 등에서 전량 수입해오던 품목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인조흑연 국산화에 성공하고 지난해 12월 연산 8000t의 포항공장을 준공했다. 포스코케미칼이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을 위한 원료를 확보하고 설비를 개발하면 LG에너지솔루션이 원료‧설비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공정 가이드라인 및 피드백을 지원했다. 양극재 대비 음극재의 국산화율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 Inc.)이 유럽 시장에서 블록체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했다. 블랙록 블록체인 ETF는 ‘아이셰어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UCITS ETF(BLKC)’다. 플랫폼, 채굴, 결제사 등 블록체인에 중점을 둔 35개의 글로벌 기업의 성과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다. 블랙록은 유럽 시장의 고객을 겨냥해 해당 ETF를 출시했고 가상자산에는 직접적으로 투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블랙록 오마르 무트피(Omar Moufti) 상품 전략가는 “블랙록은 블록체인 기술의 열렬한 지지자다. 지속적인 블록체인 기술 확산은 많은 산업 분야속에 숨은 블록체인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고객들은 아이셰어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UCITS ETF를 통해 신흥 블록체인 생태계의 개발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들과 교류할 기회를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22일 ‘우리금융그룹’(회장 손태승)은 ESG 경영 확산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 생물다양성 이니셔티브인 ‘생물다양성 회계금융파트너십(PBAF)’에 아시아 기업 최초로 가입했다고 밝혔다. PBAF는 금융회사의 여신 및 투자 활동이 자연과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공개하도록 표준을 제공하는 글로벌 민간 파트너십이다. 2019년에 설립돼 프랑스 BNP파리바, 네덜란드 라보은행, 네덜란드 연금운용사 APG 등 전세계 10개국 37개 금융회사가 가입해 있다. 우리금융은 이번 PBAF 가입을 통해 ‘생물다양성 영향평가를 위한 국제표준’ 개발에 협력하고, 향후 자연 생태계 관련 섹터별 여신정책 수립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 등 자연과 관련된 분야에서 국제사회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국내 기업 최초로 2022년 1월부터 참여중인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협의체(TNFD)’와 연계해 향후 자연 손실이 기업에게 초래할 위험을 인식하고, 자산 포트폴리오의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의존도 및 영향을 평가해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다. 우리금융그룹 손태승 회장은 “대부분의 경제활동이 자연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인 BMW는 2025년부터 도요타와 공동 개발한 연료전지차량(FCV)의 대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BMW는 전기차(EV) 분야에서 2030년 신차 판매 비율을 50%로 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당초 계획보다 1~2년을 앞당길 계획으로 대량 생산은 2025 년 이후에 시작될 예정이며 일반 판매가 계획되어 있다. 환경 규제가 엄격해진 유럽 시장에서 BMW는 EV에 FCV를 옵션 목록해 추가해 차량 모델의 특성에 맞는 환경 차량 전략을 구축해 홍보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2021년 9월, BMW는 독일 뮌헨 국제 오토쇼에서 iX5 Hydrogen FCV 다목적 스포츠카(SUV)의 컨셉 모델을 공개했었다. BMW 피터 노타 (Peter Nota) 수석 부사장은 일본 경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BMW는 이미 2022 년 말까지 시범 적으로 생산을 시작하고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 구축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수소 충전에 필요한 시간은 EV 충전보다 짧은 3~4 분이 소요된다. 순항 범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약 6kg의 수소가 들어있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CFRP)으로 만든 두 개의 탱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료를 채우지 않고도 먼
지난 7월 29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서구권 3대 정유회사인 엑손모빌, 셰브론, 셸의 2분기 이익의 합계가 460억 달러(원화 약 61조 778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도했다. 에너지 가격이 10여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고 정유 마진이 좋아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엑슨모빌(Exxon Mobil CORPORATION)은 석유와 연료 생산량 증가, 에너지 가격 상승, 원가 절감 조치로 2분기 영업이익이 179억 달러(원화 약 24조 397억 원)으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고 2021년 2분기보다 4배 증가했다. 셰브론(Chevron CORPORATION)은 2분기 사상 최대 이익은 116억 달러(원화 약 15조 5788억 원)를 달성했다. 셸(Royal Dutch-Shell Group)은 2022년 2분에 역대 매출 최대 이익을 세웠고, 현재 공급원가로 따지면 167억 달러(원화 약 22조 4281억 원)에 이른다. 엑손모빌과 셰브론, 셸의 사상 최대 이익 추동 요인 중 하나는 정유 마진율이 최근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정유업계 슈퍼바이저들의 높은 이윤은 산업계의 중대 전환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석유 수요가 급격히
한화(Hanhwa)가 향후 5년간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미래 산업 분야에 국내 20조 원을 포함해 총 37조 60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채용규모 역시 5년간 2만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는 이번 투자 계획이 기존 사업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미래 기술 선점과 시장 주도를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화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37조 6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20조 원 규모는 국내에서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3개 분야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분야별로도 태양광, 풍력 등 에너지에는 4조 2000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 연구개발을 통해 고효율의 태양광 제품을 생산 가능한 ‘글로벌 핵심 기지’를 추진한다. 수소 혼소(혼합연소) 기술 상용화와 수전해 양산 설비 투자 등 탄소중립 사업 분야에 9000억 원을 투자한다. 친환경 신소재 제품 개발 등에 2조 1000억 원을 투자해 탄소중립에 보조를 맞추는 활동도 진행한다. 방산‧우주항공 분야에는 2조 6000억원을 투입해 K-9 자주포 해외 시장 개척, 레드백 장갑차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
2020년 6월 러시아로부터 수주해 2022년 인도해야 하는 초대형 LNG 저장 및 환적설비(FSU) 2척의 계약유지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대우조선해양(DSME)은 2020년 10월 수주한 쇄빙 LNG 운반선(LNGC) 3척 중 1척의 계약을 해지했다. 러시아측과 계약을 취소한 대우조선은 LNG-FSU 소유권을 확보해 매각을 해도 일정 정도의 손실을 보전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 초기부터 깊이 개입해온 다국적 기업들을 대상으로 쇄빙선의 매각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다. 2020년 6월 러시아 연방 교통부 산하 국영 리스회사인 GTLK의 홍콩 소재 아시아법인과 계약한 대우조선해양은 LNG-FSU 2척을 건조 중인데 2022년 3월 말을 기준으로 1호선 공정률 85.85%, 2호선 공정률은 75.69%로 2022년 9월, 2022년 12월에 인도가 예정되어 있다. 총 계약규모는 6억 5280만 유로(원화 약 9013억 원)이다.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노바텍 등은 북극에 가ᄁᆞ운 야말산 천연가스를 쇄빙 LNGC로 빙하지대 밖으로 옮겨와 저장한 뒤 상대적으로 단가가 저렴한 일반 LNGC에 옮겨싣고 수요처까지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대우조선해양은 프로젝트 핵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차량 열관리 솔루션 기업 ‘한온시스템’이 2021년 매출액이 2020년보다 7% 늘어난 7조 3514억 2382만 원 영업이익은 3.2% 증가한 3257억 129만 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173.9% 증가한 3107억 2520만 원을 기록했다. 2021년 하반기에 글로벌 물류대란과 차량용 반도체 대란 장기화로 인해 자동차 산업이 전반적인 타격을 받은 가운데 한온시스템의 실적은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 3월 경 인수한 마그나 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의 유압제어 사업(FC&C) 부문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증권가의 분석이다.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마그나의 FC&C 사업부문을 약 1조 3000억 원에 인수한 한온시스템은 ‘볼트온(Bolt-on)’ 전략을 내세워 친환경차 부품 경쟁력을 극대화에 나섰다. 최대주주인 한앤컴퍼니는 유사 업종에 집중 투자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섰다. 결과적으로 매출 다변화, 평균판매단가(ASP) 상승, 영업현금창출 규모 증가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신규 수주는 11억 3800만 달러(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