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이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시중 4대 은행과 2조 5,000억원 규모의 롯데케미칼 회사채 신용보강 계약을 맺었다. 대형 시중은행들이 회사채 원금과 이자를 보증할 뿐 아니라 문제가 생기면 채권을 되사는 약정까지 맺었다. 사실상 100% 안전한 채권으로 신용보강이 된 만큼 오는 19일 사채권자 집회에서는 기한이익상실(EOD) 사유와 관련한 재무 특약 조정안도 통과될 전망이다. 이미 사채권자의 90% 이상이 재무 특약 조정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월 13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이번주 신한은행(주관사)을 비롯해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 4곳과 롯데케미칼 회사채 신용보강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롯데그룹(Lotte Group) 측은 시가 6조원 규모의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제공했다. 은행은 롯데케미칼 회사채 원금 2조 400억 원의 약 120%인 2조 5,000억 원을 담보로 설정했다. 갱신될 계약에 따라 4개 은행은 롯데케미칼 회사채 2조400억원의 원금 뿐 아니라 이자까지 회사채 만기일까지 지급보증한다. 신용보강 계약에 문제가 생기면 은행이 채권을 되사주는 매입 약정도 별도로 맺어 사실상 완전히 안전한 채권으로 신
독일 함부르크 자유 한자시(Freie und Hansestadt Hamburg)는 양자컴퓨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함부르크 양자 기계 학습 프로젝트’(Hamburg Full Stack Quantum Machine Learing, HQML)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양자 컴퓨팅 아키텍처 기업 ‘패리티큐씨’(ParityQC),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DESY), ‘엘렉트론’(eleQtron), 독일 항공우주 센터의 ‘양자 컴퓨팅 이니셔티브’(DLR QCI)가 참여한다. 또한, ‘함부르크 투자개발은행’(IFB Hamburg)이 재정적 지원을 통해 연구 개발(R&D)에 박차를 가한다. HQML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에서 생성되는 막대한 양의 실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세계 최대 입자 가속기다. 향후 2032년 예정된 LHC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현재보다 10배 이상 많은 데이터가 생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컴퓨터로는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어 새로운 기술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양자
삼성E&A가 말레이시아에서 바이오정유 플랜트 공사를 수주하면서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지난 12월 11일 삼성E&A는 ‘에니・페트로나스・유글레나’ 합작법인에서 SAF 등 바이오정유 생산시설 공사인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정유 프로젝트’의 설계・조달・시공・시운전(EPCC) 업무에 대한 계약 낙찰통지서를 접수했다고 공시했다. 공사 수주 금액은 9억 5,500만 달러(원화 약 1조 3,669억 원)이며 계약 기간은 44개월이다.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주 펭게랑 지역에서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폐식용유, 팜유, 동물성 지방 등을 공급받아 연간 65만t의 SAF, 바이오 디젤, 바이오 나프타 등을 생산하는 친환경 플랜트 건설 공사다. 낙찰통지서에는 합작법인 대표사로 이탈리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에니’가 서명했하고 본계약은 2025년 1월에 체결될 예정이다. 이번 수주로 삼성E&A는 에너지 전환 신사업인 SAF 시장에 진출한다. SAF는 기존 화석연료 대신 폐식용유・팜유 등 바이오 원료로 생산한 항공유로, 탄소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에 따
지난 12월 10일 ‘호주 국가재건기금공사’(NRFC)는 ‘퀀텀 브릴리언스’(Quantum Brilliance)에 1,300만 호주 달러(원화 약 118억 원)를 투자하여 호주 최초의 양자 다이아몬드 주조 공장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호주국립대학교의 연구를 기반으로 설립된 퀀텀 브릴리언스는 소형화・경량화 됐으며, 실온에서 작동 가능한 양자 다이아몬드 기기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퀀텀 브릴리언스의 기술은 양자 컴퓨팅, 센싱, 네트워킹 분야에서 기술 개발 중인 기업으로, 기존 인프라에 쉬운 호환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NRFC의 마르테인 와일더(Martijn Wilder) 회장은 “이번 투자가 호주를 양자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고급 제조 및 연구 역량을 확대하여 고숙련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금을 퀀텀 브릴리언스는 라트로브 대학교, RMIT 대학교와 함께 설립한 다이아몬드 양자 소재 연구 허브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양자 다이아몬드 기반의 고감도 자기장 센서, 의료 영상 장비,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NRFC의 최고투자책임자
지난 6월부터 시행중인 ‘대구콘텐츠코리아랩’의 ‘크리에이터 아카데미’와 ‘크리에이터 사업화 프로그램’이 단계적인 운영을 통해 지역 창작자들의 성장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신규 창업 4건 ▲창작지원 164건 ▲사업화 지원 129건의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참여자 5명이 매출을 기록하며 대구콘텐츠코리아랩의 목표를 입증했다. ‘크리에이터 사업화 프로그램’은 ‘웹소설 데뷔 프로젝트’와 ‘캐릭터 상품화 프로젝트’로 구분된다. 크리에이터에게 창작지원과 사업화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 전문가 멘토링, 특강 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최종적으로 비즈니스 매칭, 사업화지원을 통해 크리에이터들의 지식재산권(IP)을 고도화해 실질적인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웹소설 데뷔 프로젝트’는 작가들이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추고 창작물을 상품화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10명의 참가자가 선정되어 지원받았으며 플랫폼 사 및 라이센스 사와의 비즈니스 매칭을 통해 작가컴퍼니, 카카오페이지 등과 계약하는 등의 실적을 얻었고 특히 1명은 유료연재를 통해 매출을 발생시키는 성과를 얻었다. ‘캐릭터 상품화 프로젝트’는 이모티콘 제작에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인 캐릭터를
아시아나항공이 속한 세계 최대 항공동맹체 스타얼라이언스의 이사회 신임 의장에 에어캐나다 사장이 선출됐다. 지난 12월 10일 항공동맹체 ‘스타얼라이언스’(Star Aliance)는 최고경영진 이사회의 신임 의장으로 마이클 루소 에어캐나다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선출됐다고 밝혔다. 마이클 루소 신임 의장은 “스타얼라이언스의 비전인 최적화된 고객 경험 제공을 위해 앞으로 2년 동안 이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라며 “이른 시일 내에 비전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모든 회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스타얼라이언스 최고경영진 이사회는 25개 회원사 CEO로 구성돼 있다. 동맹체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전체적인 전략 방향을 수립한다. 마이클 루소는 최고경영진 이사회 의장과 동시에 이사회 공식 대변인 역할도 수행한다. 매년 두 차례 열리는 이사회를 주재하고 스타얼라이언스의 전략적 방향을 이끌 예정이다. 테오 파나지오툴리아스 스타얼라이언스 CEO는 “이사회에서 가장 경험 많은 CEO 중 한 명인 마이클 루소가 신임 의장으로 선출된 것을 환영한다.”라며 “새로운 비전 실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을 기대하며, 지난 4년간 성공적으로 의장직을 수행해
2024년에 설립 10주년을 맞이한 ‘대구콘텐츠코리아랩’은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DIP)이 운영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과 ‘대구광역시’의 지원을 받는 지역 콘텐츠 지원 기관이다. ‘대구콘텐츠코리아랩’은 우수 콘텐츠 발굴과 창업 단계별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의 안정적인 시장 안착을 돕고,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실현 및 지역 기반 IP 확보를 목표로 운영 중이다. 2024년 한 해 동안 대구콘텐츠코리아랩은 스타트업 육성, 크리에이터 사업화지원, 스타트업 저변 확산이라는 3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콘텐츠 산업의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특히 창작자 중심의 저변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예년과 달리 창업과 비즈니스에 중점을 두고 운영해온 결과 창업 지원, 교육 지원, 사업화 지원, 창작・제작 지원, 네트워킹 지원, 창직 등 초기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전 분야에서 성과를 달성했고, 지역 경제와 콘텐츠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타트업 육성 분야에서는 콘텐츠 스타트업 창업패키지와 성장지원패키지를 통해 대상을 세분화한 지원을 운영했다. 예비 창업자는 창업패키지, 창업 3년 이내 초기 창업 기업은 성장지원패키지로 구분해 세분화
지난 12월 12일 롯데카드(Lotte Card)가 3억 달러(원화 약 4,291억 원 규모) 규모 해외 ABS(자산유동화증권)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신용카드 매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이번 ABS의 평균 만기는 3년이며, BNP파리바은행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조달된 자금은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통화 및 금리스와프를 통해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제거했다. 또한 국내 회사채 발행 대비 경쟁력 있는 금리 수준으로 발행해 금융비용을 절감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2024년 중 12억 달러(약 1조7,164억 원) 이상의 해외 ABS를 발행해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금조달원을 다변화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구축했다.”며 “또한 어려운 금융시장 환경 속에서도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며 3개월 커버리지 비율이 연말 기준 10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최근 변동성이 확대된 시장 상황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