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1개-베트남 5개-인도네시아1개-필리핀 1개소.... 한글교육의 요람인 ‘세종학당’이 올해 아세안(동남아연합)에 4개국에 8개소가 문을 연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황희 장관은 6월 9일(수), 한복을 입고 세종학당재단(이사장 강현화)을 방문해 2021년 새롭게 지정된 세종학당 18개국 26개소를 발표했다. 그 중 아세안국가의 신설 세종학당은 말레이시아가 말라카(멀티미디어대학교)가 선정되었다. 그리고 베트남은 달랏의 달랏대학교(진주보건대학교)와 비엔호아-락홍대학교, 짜빈-짜빈대학교(서정대학교), 호찌민-호찌민시산업대학교(원광보건대학교), 흥옌-흥옌커뮤니티컬리지(경성대학교)다. 인도네시아는 탕으랑의 야야산 이페카(Yayasan IPEKA, 한동대학교), 필리핀은 일로일로의 센트럴 필리핀대학교(한국영상대학) 등이다. ■ 2021년 26개소 추가, 전세계 82개국 234개소로 확대, 5개국에는 세종학당 처음 진입 2007년에 3개국 13개소로 처음 시작한 세종학당은 올해 기준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로 확대됐다. 이번 신규 세종학당 공모에는 43개국 85개 기관이 신청(경쟁률 3.3대 1)했으며, 서류심사와 화상면접 등 약 6개월간의 심사과정
베트남에서 코로나19이 7일 연속 200명대를 기록하는 등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스마트폰 최대 생산거점 중 하나인 박닌성의 확산세가 심각하다. 앞으로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전날부터 박닌성 소재 삼성전자 계열사 3곳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 우선 생산라인의 현지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백신이다. 이번 접종 대상은 삼성전자 박닌성 휴대폰 공장과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등 3개 계열사에서 일하는 1만5000명이다.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은 직원 수가 2만여명, 삼성디스플레이는 3만5000여명, 삼성SDI는 2400명에 달한다. 삼성전자 박닌성 휴대폰 공장은 지난달 11일 현지인 직원 2명이 양성 판정을 받자 이들 직원이 소속된 생산시설에 근무하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밤새 진단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시작된 4차 지역감염으로 인해 지금까지 확진자 4549명이 나왔다. 한국 기업들의 공장이 몰려있는 박장성에서만 2424명이 나왔다.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과 다수의 협력사들이 있는 박닌성에서는 879
베트남의 코로나19 확진자가 7일 연속 200명대를 기록하는 등 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1일 베트남 보건 당국이 발표한 코로나19 지역감염자는 모두 250명이었다. 그 중 호치민의 경우 총 70명이었다. 70명 전원이 고밥군(Gò Vấp) 종교모임, 부흥전도단과 관련된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케이스다. 호치민시는 지난 5월 31일부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고 있다. 시 보건당국은 고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하루 10만회에 달하는 검사를 지시했다. 하노이에서는 2명의 지역 감염자가 발생했다. 북부 박장성(Bắc Giang)은 이날도 1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두자릿수 확진자가 나온 지역은 박닌성(Bắc Ninh) 34명, 랑선성(Lạng Sơn) 12명 등이다. 한편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 삼성디스플레이 공장을 비롯해 다수의 삼성 협력사들이 입주한 박닌성은 2일부터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봉쇄 수준에 버금가는 강도 높은 ‘이동 제한’(사업장 내 격리근무) 조치를 취했다.
경상북도 문경시가 출산 장려 차원에서 농촌 미혼 남성과 베트남 유학생의 만남을 추진하다가 알려져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는 5월 28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추진한 문경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인권위 앞에는 베트남 출신 유학생도 참석해 문경시의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을 규탄했다. 문경시는 지난달 4월 법무부 출입국 민원 대행기관인 한 행정사 사무소에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은 “농촌의 인구 증가와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혼인 연령을 놓친 농촌 총각과 베트남 유학생의 자연스런 만남을 통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를 추진코자 하오니 많은 협조를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는 해당 사업이 유학생이나 이주여성의 평등권·인격권·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고 보고 인권위 진정을 추진했다. 베트남 유학생 등 개인 144명과 단체 64곳이 진정에 참여했다. 베트남 유학생들은 “문경시 공문은 심각한 인종·여성 차별이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사업 자체가 이주여성에 대한 성차별이자 인종차별이다. 상업적 국제결혼의 문제를 관리·감독해야 할 지방자
베트남 사상 최대의 재산 분할금 소송이 6년만에 막을 내렸다. 현지미디어 vnexplorer 에 따르면 ‘G7 커피’로 유명한 쭝응웬(Trung Nguyen) 레전드그룹 오너 부부간의 이혼 소송이 최근 종지부를 찍었다. ‘베트남 국민 커피’로 불리는 ‘G7 커피’의 오너인 레 응웬 부(Đặng Lê Nguyên Vũ, 49) 회장 부부는 끌어온 이혼 소송을 끝냈다. 호치민 최고인민법원은 부 회장은 부인 레 황 지엡 타오(Lê Hoàng Diệp Thảo, 47)에게 위자료 명목으로 1조 3180억동(약 640억원)과 재산분할 3조2450억동(1567억원)을 분할할 것을 판결했다. 부 회장 명의로 소유 중인 쭝응웬레전드그룹의 회사 지분은 부 회장 소유로 인정했다. 두 사람이 공동 소유 중인 13개 부동산 중 7개 소유권은 타오 부인 명의로 이전했다. 타오는 4명의 자녀를 돌볼 것이며, 각 부 회장은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매년 학비를 제공해야 한다. 이 부부는 1998년에 결혼했다. 2013년 부부에 어려움을 겪었고 Thao는 2015년에 이혼을 신청했다.
베트남 최대도시 호치민시에서 27일 하루만 확진자 36명이 발생 ‘비상’에 걸렸다. 현지 미디어 VN Express 5월 27일자에 따르면 호치민시에서 종교활동에 관련한 확진자 36명이 공식 보고되며 현지 관계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지역사회 감염 예방을 위해 5월 28일 00시부터 식당, 미용실, 스파, 관광지, 박물관의 영업 제한에 더불어 걷는 거리(야외 개방 공간), 야시장, 공원도 문을 닫도록 지시했다. 공유 숙박, 에어비엔비 서비스도 금지된다. 호치민시는 4월 말 4차 유행이 시작되자 헬스장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비필수 서비스 사업을 제한한 바 있다. 이번 확진자들이 종교 활동에 관련한 것으로 추측한만큼, 현지 관계당국은 10명 이상의 종교 활동과 20명 이상 모임을 금지했다. 모임에서 2m 이상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길거리에서 음식과 음료를 파는 가정들은 오직 테이크아웃만 제공할 수 있다. 호텔 내부 식당은 2m 간격으로 배치한 사람과 20명 이하로 동시에 허용한 사람만 거주자를 접대할 수 있다. 4월 말 시작된 베트남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4차 유행은 북부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상황이다. 노동집약적
네이버㈜(대표이사 한성숙)가 27일 베트남 IT 분야의 대표적인 대학이자 최고 고등연구기관인 우정통신대학PTIT,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Institute of Technology(이하 PTIT)과 함께, AI 연구개발 등 다양한 산학협력을 진행할 전용 연구 공간 ‘PTIT-네이버 AI 센터(PTIT-NAVER AI Cen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이번 PTIT와의 공동 AI 센터까지 오픈하며, 3월 하노이과학기술대학(HUST)의 공동 AI 센터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 연구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 지난 2019년 ‘글로벌 AI R&D 벨트’를 선언한 이후, 최근 미국으로 R&D 조직을 확대하고 국내에서는 KAIST 및 서울대와도 공동 AI 연구를 선언하는 등 기술 연구 기반을 전세계로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모습이다. PTIT 캠퍼스 내에 설치된 ‘PTIT-네이버 공동 AI 센터’에서는 베트남 현지의 우수 인재들과 네이버 연구진들이 딥러닝, 매핑, 동영상, 음성인식 등 다양한 기술 분야 산학과제들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Indoor semantic segmentation(실내 이미지의 의미
베트남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가 밀접한 박장성 중심으로 확진자가 늘어 4차 대유행 누적 확진자 3000명을 넘어섰다. 현지 미디어 아세안데일리에 따르면 27일 베트남 보건부는 전날 지역사회 확진자 235명이 발생한데 이어서 밤사이 지역사회 확진자 24명이 추가됐다고 확인했다. △박장성 23명 △랑썬성 1명으로 해외 유입 사례는 없었다. 박장성 방역당국은 산업단지 4곳을 잠정 폐쇄한데 이어 지난 26일 박장성 히엡화 및 옌테 현 등 2개 지역을 15일간 ‘사회적 격리’를 실시했다. 지난달 29일 하남성에서 촉발된 이후 지금까지 30개 성과 도시로 번진 이번 4차 대유행 누적 지역사회 확진자는 3052명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