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가 2020년 1분기 세계 전기차 시장 판매량 4위를 기록했다. 자동차산업협회는 전기차 판매 분석업체 EV 볼륨의 분석 결과를 통해 순수 전기차 판매에서 현대·기아차가 2만 4116대로 세계 4위로 점유율 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8만 8400대를 판매해 점유율 29%를 기록했으며, 르노닛산(3만 9355대)와 폭스바겐그룹(3만 3846)대로 그 뒤를 이었으며 현대·기아차의 뒤를 BYD가 1만 8834대가 따라오고 있다. 국내 자동차 기업의 판매량은 2만 173대로 2019년 1분기 대비 25.9% 증가했고 수소전기차 295대의 판매량을 합산해 지역별로 살펴보면 유럽연합이 1만 4542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3% 상승했다. 북미지역은 323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8% 하락했다. 유럽지역의 판매량 상승에는 환경규제가 강화된 것의 여파로 분석됐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량을 합산해 보면 테슬라는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지만 폭스바겐이 5만 9916대로 2위, 르노닛산이 5만 1361대로 3위로 순위가 바뀌게 된다. BMW그룹이 3만 741대로 4위로 올라섰고 현대·기아차는 3만 6846대로 5위로 내려서지만 시장 점유율은 8%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소공인의 시제품 제작지원에 나선다.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을 지역 소공인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대구상공회의소는 수혜기업 선정과 과제추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기업은 위싱, 홍화패브릭, 와이테크㈜, 캔웍스 등 대구지역 10개 소공인들로 3~5개월 간 자사 제품 기술 애로사항 해결 및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 개발을 위해지원을 받게 된다. 개발된 기술 및 디자인의 지식재산 권리화까지 사업 내용에 포함됐다. 대구상의와 대구시는 기술개발이나 투자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활력을 불어넣고 신산업분야에 도전하는 소공인을 발굴,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제품 제작지원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이재경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상대적으로 경영환경이 열악한 소공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더욱 절실함을 느낀다"며 "보다 많은 소공인이 수혜를 받고 다양한 후속 지원사업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명호)과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대표이사 성기홍)이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및 스케일업 공동지원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16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크라우드펀딩 발전방안’의 일환으로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체결됐다.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성장금융은 각 100억 원 씩 총 200억원 규모의 K-크라우드펀딩을 조성하고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코워킹스페으스(BIGS)와 연계한 IR행사를 공동으로 주최한다. 글로벌 투자 플랫폼인 케이 캠프(K-Camp)를 통개 기업의 스케일 업(Scale-Up)도 지원한다. KSD 벤처넷(모험투자지원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성화 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모험자본시장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장참여자의 의견 수렴 및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예탁결제원 이명호 사장은 “한국성장금융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내 혁신창업기업의 지원과 모험자본시장의 육성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라고 하면서 “한국예탁결제원은 앞으로도 유관기관과 상호 보완·협력하여 창업생태계 활성화 및 혁신기업의 스케일업 지원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빌리지베이는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출산용품 정기 구독 서비스 ‘월간임신’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베이비빌리는 아이의 하루 성장과정을 일러스트로 확인하는 ‘빌리’와 출산 준비물을 정제된 정보로 제공하는 임산부 어플리케이션이다. 임신 주차에 맞는 태아의 크기와 상태, 신체 발달 정보 등을 알아보며 시기별 산모에게 필요한 것과 피해야 할 것, 행동지침 등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 빌리지베이비의 장이지 마케터는 “베이비빌리 어플은 임신 후 출산준비물을 구매하며 어떤 브랜드의 어떤 제품을 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임산부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출산준비물의 판매량이 높은 제품들의 순위와 직접 구매한 소비자의 리뷰까지 확인이 가능하여 실제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듀템이 ‘보라구 중국어’에 머신러닝 기술 기반의 중국 통문장 읽기학습 서비스를 추가했다. 에듀템은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 서비스에 접목한 에듀테크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보라구 중국어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와 음성은 상호 싱크되어 텍스트에 하이라이트 표시로 보여주어 장문장의 읽기 학습 훈련을 지원한다.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서 구축되 보안 강화와 가용성을 높이고 이중화를 통해 아넝성과 앱 사용자 보안을 높였다는 특징도 있다. 중국어는 다른 언어와 달리 이러한 음성분석 및 발화음성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까다로워 100% 수작업으로 진행돼 왔지만,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보라구 중국어는 현재 하루 평균 1000 명 이상이 이용 중이다. 에듀템은 보라구중국어 어플리케이션을 발음에서부터 중급회화까지 서비스 내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1000여 편이 넘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중국 TV영상과 AI 기술 융합으로 중국어 1등 서비스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신한카드가 ‘마이헬스케어’ 서비스를 출시했다. 마이헬스케어는 신한카드 고객들이 병원 이용시 긴 대기시간과 복잡한 결제 문제를 해결하고 처방전 및 보험 청구까지 별도 제출 없이 한번에 해결 가능한 언택트 헬스케어 서비스다. 신한카드의 생활결제플랫폼 신한페이판에서 비대면으로 종합병원 진료 예약부터 병원비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이헬스케어는 레몬헬스케어와 협력하에 만든 의료기관 서비스로, 레몬헬스케어는 국내 총 60여 개 중‧대형 종합병원과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의료 플랫폼 스타트업이다. 현재 이용 가능한 병원은 세브란스 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중앙대학교병원이며 연말까지 10여개의 병원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보험사로 청구 서류를 전송하는 실손 보험 청구 서비스와 약국으로 처방전을 직접 전송할 수 있는 전자처방전달 서비스를 마이헬스케어에 추가해 고객 편리성을 제고할 방침이다. 신한카드는 “코로나19로 인해 모바일 헬스케어 관심도가 높여져 신한페이판을 통해 병원비 결제까지 가능한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면서 “신한금융그룹의 네오(N.E.O, New Economic growth supporting Operation
SK하이닉스가 2019년 사회적 가치 실적을 평가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반도체 시황 약화로 인한 성과 부진과 공장 증설 및 생산량 확대에 따른 환경 분야에 부정적 영향이 커졌다고 자평했다. 2019년 사회적 가치에서 납세‧고용‧배당 등 ‘경제간섭 기여성과’는 4조 593억 원으로 분석했다. 제품‧개발‧생산‧판매 과정 중 사회와 환경 영역에서 발생한 ‘비즈니스 사회성과’는 –538억 원,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공헌 사회성과’는 693억원으로 분석했다. 2018년 사회공헌 성과와 비교해서 기여성과는 5조 9953억 원(60%) 줄어들었고 사회공헌 성과는 64억 원(8%) 감소했다. 비즈니스 사회성과에서 부정적 영향은 275억(5%) 증가해 모든 사회적 가치 평가가 실적이 하락했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반도체의 사황 약화로 인해 2018년 대비 92% 줄어들었으나 고용이 늘어나 자회사 포함 고용인원이 2019년 3만 1508명으로 2018년 대비 3186명(11%) 늘어났다. 비즈니스 사회성과는 공장 증설과 생산량 확대에 의해 전력 자원 사용이 늘어나 전력체적으로 부정적이 됐다. 환경 총량 성과는 2018년 대비 부정적 영향이 15% 증가된 –8177억원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894억원 규모의 수주계약 2건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스위스 소재 제약사가 3553만 달러(한화 약 432억 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으로 보장된 특정 조건 충족 시 확정 계약 금액은 40003만 달러(한화 약 487억 원)까지 증가하는 계약이다. 이 계약 금액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19년 매출액인 70515억 9185만원의 6.1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기존 계약 외에 추가 생산계약도 2억 226만 달러(한화 약 2462억 원)체결한 것으로 공시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계약 금액은 양사간 계약상 구속력이 있으며, 향후 본계약을 체결할 경우 확정된 내용을 공시할 예정“이라며 ”계약 상대방 및 계약 기간은 경영상 비밀유지 사유로 2023년 12월 31일 이후 공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