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커머스 기업 쿠팡이 결제 서비스를 담당하는 핀테크 사업을 분사한다. 쿠팡은 4월 1일에 핀테크 자회사인 쿠팡페이(가칭)를 설립하고 쿠팡에서 지원하던 쿠페이 사업을 본격 사업화할 계획이다. 쿠페이는 1000만 명의 사용등록 인원을 보유하고 거래액 규모는 한국 3위의 간편결제 서비스로 쿠팡에서 제공하는 부정거래 감지 시스템을 통해 구매 버튼으로 구매가 가능한 서비스다. 쿠팡페이의 대표는 2014년부터 쿠팡 간편결제 시스템의 기술 총괄을 맡고 있는 경인태 시니어 디렉터가 부임한다. 경인태 쿠팡페이 대표는 “신설되는 자회사는 고객들에게 보다 편하고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간편결제를 넘어 고객을 위한 종합 핀테크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고객들이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라고 말할 수 있도록 핀테크 부문에서도 쿠팡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와 앱티브의 자율주행 전문 조인트벤처가 떴다. 지난 27일 50 대 50 지분으로 현대자동차 그룹과 앱티브(Aptiv)가 참여하는 자율주행 전문 조인트벤처(Joint Venture)의 설립 절차가 완료됐다. 조인트벤처 운영은 이사회 동수 구성 등 공동경영 체제를 갖추게 된다. 조인트벤처는 현대자동차 그룹의 설계, 개발, 제조, 역량과 앱티브의 자율주행 솔루션을 결합한 로보택시 및 차량 공유 서비스기업과 미국자동차공학회 SAE 기준 레벨 4, 5 수준의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자동차 업체에 공급할 목적으로 설립됐다. 즉, 지분 투자 방식의 단순 협업수준을 넘어 소프트웨어 분야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와 직접 회사를 설립해 공동 개발하겠다는 의미다. 본사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하고 미국과 아시아 전역에 기술센터를 둘 계획으로 사명은 아직 미정이다. 2019년 9월에 현대자동차 그룹과 전자-소프트웨어 기업 앱티브는 40억 달러(약 4조 8000억 원) 규모의 합작회사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설립 절차에 들어갔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가 현금 16억 달러(한화 약 2조 원), 자동차 엔지니어링 서비스, 연구개발 역량,
LG CNS가 AI(인공지능) 얼굴인식 출입통제 서비스를 활용해 마스크를 착용한 임직원만 통과시키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LG CNS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 마곡의 일부 게이트에서 AI 얼굴인식 출입통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시스템은 얼굴의 생김새에 눈, 코, 입 등을 집중 분석해 사람을 구별하는 얼굴인식 AI 기술로, 직원 신분을 판독하면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추가로 판별한다. 마스크 미착용자가 통과를 시도거나, 착용이 미흡할 경우에는 게이트를 통과시켜주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해 주세요(Please waer a mask)’라는 문구를 띄운다. 열감 기능도 추가 포함되 37.3도 이상이어도 입장이 불가하다.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에도 열감지로 정상 체온을 초과할 경우 게이트는 열리지 않는다.
세계 최대 자동차 기업을 보유한 미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멈춘다. GM(General Motors), 포드(Ford, FCA(Fiat Chrysler Automobile)는 물론이고, 미국 내 현대‧기아 자동차도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 미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자가 증가하면서 미국 노조인 유나이티드 오토 워커스(United Auto Workers, UAW)는 자동차 생산 라인 근로자가 위험에 노출된다며 최소 2주간의 폐쇄를 요구했다. AP 통신에 따르면, UAW의 의장 로리 겜블(Rory Gamble)는 “부품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생산라인의 노동자들이 위험에 노출될 필요는 없다.”라며 자동차 생산 라인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에 빅 3(Big 3)로 불리는 GM, 포드, FCA는 3월 30일까지 2주간 공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공장의 임시 폐쇄조치로 15만 명의 노동자들의 유휴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한편, 알리바마 주에 공장을 설치한 현대‧기아잗종차 공장 역시 직원 1명이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이면서 가동을 중단했다. 현대의 알리바마 공장에서 엔진을 조달받는 기아의 조지아 공장 역시 생산을 함께 중단했다. 미
아프리카 우간다 식수 개선 사업에 이랜드 재단이 1억원을 쾌척한다. 지난 19일 이랜드재단은 ‘우물 기금’을 아프리카 우간다의 식수 개선 사업에 쓸 수 있도록 국제구호단체 팀앤팀에 전달했다. 이랜드재단 정재철 대표이사와 백강수 이사장이 참석한 이번 전달식은 우간다 북부의 아루아(Arua) 지역에서 식수 개선을 위한 우물 개발사업에 쓰일 예정으로 팀앤팀과 함께 진행된다. 총 44개 마을에 주민 3만 3000명이 현재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고 해당 지역은 태양관 식수 공급 시스템 1기 구축, 신규 3개 마을의 지하수 개발과 식수 펌프 설치, 기존 40개 마을의 펌프 개‧보수를 진행한다. 이번 우물 기금은 2019년 12월 이랜드리테일 킴스클럽에서 출시한 오프라이스 원보틀 에디션 50만 병 판매 수익금에 이랜드그룹 직원과 고객 모금, 이랜드재단 매칭 펀드의 참여로 만들어진 기금이다. 한편 이번 기금은 지난해 12월 이랜드리테일 킴스클럽에서 출시한 오프라이스 원보틀 에디션 50만 병 판매 수익금을 통해 마련됐다. 여기에 이랜드그룹 직원, 고객 모금, 이랜드재단 매칭 펀드 등을 더했다. 정재철 이랜드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우물 지원 사업이 지속 가능한 식수 개선사업이
배송대행 서비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연간 매출 5654억 원, 영업이익은 364억을 기록했다. 2019년 우아한형제들은 K-IFRS 기준으로 연간매출은 565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80% 성장한 모습을 보였지만 영업이익이 3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89억 원 감소하면서 4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우아한형제들은 영업적자의 요인을 치열한 국내 음식배달 시장의 경쟁에 따른 광고와 마케팅 비용이 급증하고 라이더 프로모션 등의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우아한형제들이 배달의민족 매출 성장과 함께 소상공인 매출 등 시장 전체에 규모를 키운 것으로 평가했다. 배달의민족을 통해 올린 매출 규모는 2018년 5조 2000억 원에서 2019년 8조 6000억 원에 달하며 이는 1~2인 가구나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 언택트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이유로 분석됐다. 배달의민족은 2019년 12월 독일의 배달앱 기업인 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에 40억 달러(한화 약 4조 7500억 원)에 인수되고 베트남에 배민(BAEMIN)이라는 서비스를 런칭했다. 또한 식자재 전문쇼핑몰 배민상회, 소상공인 무료 교육기관인 ‘배민아카데미’를 만들어 사
지난 19일 신한금융투자가 스타트업 증권 플랫폼 운영 회사인 판교거래소(PSX)와 업무 제휴를 맺고 PSX의 정식 출시를 위해 협력한다. 신한금융투자가 판교거래소의 정식 서비스 출시를 5월 경으로 예상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한금융투자는 판교 거래소의 투자자들을 위해 거래되는 주요 기업의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계좌 개설 서비스 및 매매체결 시스템을 지원할 예정이다. PSX는 신한 퓨처스랩(Shinhan Future’s Lab)에 선발된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비상장 주식 거래소 판교거래소의 개발사이자 운영사다. 판교거래소는 현재 시범운행 중에 있고 e-커머스, 지식형 콘텐츠, AI 등 국내 벤처 스타트업의 비상장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허위 매물 방지를 위해 매도자가 실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지 확인이 된 후에야 매도를 일어지도록 조치를 했고, 컬리(마켓컬리), 리디(리디북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크래프톤(블루홀), 무신사(이커머스), 마이리얼트립(여행) 등 유니콘 기업이나 예비 유니콘으로 꼽히는 기업들의 장외주식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준 디지털사업추진부장은 “벤처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에 따라 비상장 주식 거래의
크로스 보더 트레이드(Cross Border Trade)로 불리는 CBT 사업자들이 주의해야 할 요소가 있다. 바로 결제 취소와 환불을 요청하는 차지백(Cargeback)이다. 결제 시스템이 갖춰야 하는 차지백은 결제를 한 고객이 추후 분쟁이 발생했을 때 결제대행사에 결제 취소와 환불을 요청하는 행위다. 구매일이나 배송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결제할 때 사용한 카드사 고객센터에 차지백 서비스를 신청하면 카드사는 45일 이내에 결론을 소비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전 세계 결제 시스템을 양분하는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의 규정으로부터 비롯된 차지백은 카드발행사가 고객으로부터 차지백 요청이 들어왔을 때 매입 은행에 통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매입 은행은 이를 판매 사업자에게 통보하고 사업자는 소비자의 구매 내역을 소명한 뒤 매입 은행이 고객의 이의 제기 내용과 소명 내용을 검토한 뒤 결제 취소나 환불 결정을 내린다. ◆ 한국과 다른 해외 차지백 구조, 어떻게 발생하나? 크로스보더 사업자는 결제 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필수다. 한국에 구축된 결제 시자오가 해외에 구축된 결제 시장은 과정도 규정도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은 결제 과정과 차지백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