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을 이용하고 차주들이 기존에 빌린 카드 빚을 상환하지 못해 재대출을 받아 대출을 갚는 일명 ‘카드 돌려막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11월 14일 여신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9월 카드사 7곳(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의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은 1조 3,709억 원으로 1년 새 40% 이상 급증했다. 경기 악화와 고금리로 저신용 카드론 이용자들의 부담이 늘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환대출은 카드론 이용자들이 만기 내에 채무를 전부 상환하지 못하고 다시 심사받아 대출을 받는 것이다.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이 1년 새 1.5배 가까이 늘고 있다는 것은 채무 상환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카드 돌려막기’를 시도하는 이용자 수가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론 대환대출을 이용할 경우 상환기간이 늘어나는 반면, 신용 재평가로 인해 하락한 신용등급으로 기존 대출보다 높은 금리를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사정을 알면서도 상환이 불가능해 대환대출을 신청하는 만큼 경기가 불황이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경기 불황과 고금리 장기화가 겹치며 이자 부담이 늘어난 영향도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달 비용 증가로 최근 카드론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에 이어 현대카드도 대환대출 경쟁에 뛰어들었다. 지난 7월 6일 현대카드는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에 입점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8개 전업 카드사 가운데 신한카드(카카오페이・토스・핀다), KB국민카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현대카드가 비대면 대환대출 서비스에 진출했다. 지난 5월부터 비대면 대환대출 서비스가 시작됐지만, 카드사는 지금까지 입점에 소극적이었는데 은행권에 비해 금리가 높아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카드사도 입점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타 카드사 중에는 롯데카드가 이르면 2023년 3분기 중 카카오페이 대환대출 서비스에 입점할 것 전망된다.
은행권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독자 구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서비스가 사실상 유명무실화될 위기에 처했다. 기존 은행권이 비대면 대출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업권별 공용 플랫폼이 성공한 사례가 없던 것과 함께 은행들이 불참을 선언한 영향이 주요했다는 분석이다. 금융결제원은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핀테크 업체 선정을 위해 민간협의회 구성을 마쳤다. 민간 전문가 9명을 섭외해 ▲보안 검증 ▲대환 알고리즘 ▲은행 계약 현황 여부 ▲수수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할 예정이다.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한 은형권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해 의견을 조율 중이다. 영업중인 19개의 은행 중 3곳이 반대의견을 냈지만 수수료 문제 및 빅테크 중속 우려에 따라 독자적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 될 것이란 의견이 대세다. 은행 자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 접근성도 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문제점은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쟁력으로, 기존의 서비스들은 성과가 좋지 못했다. 보험업계의 ‘보험다모아’, 금융투자업계의 ‘펀드슈퍼마켓’ 등이 공용 플랫폼이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은행권에서도 공용 지급결제 시스템 ‘뱅크월렛’이 지난 2020년 서비스를 중단했고, 은행연합회가 지난 2018년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