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방산기업 현대로템이 방산(디펜스솔루션) 사업 호조세에 힘입어 지난 2024년 매출 4조원을 돌파했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2025년 신규 수주 확대를 전망하면서 목표가를 연달아 상향했다. 지난 2월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로템’(Hyundai Rotem)은 지난 2024년 매출(연결기준)이 4조 3,766억원으로 2023년 대비 2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23년 대비 117.4% 증가한 4,566억 원, 순이익은 158.5% 증가한 453억 원을 기록했다. 현대로템의 실적 성장을 견인한 건 방산 부문이다. 지난 2024년 3분기부터 방산 부문 분기 매출 비중이 창사 이후 처음으로 50% 이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4분기 기준으로는 매출 1조 4,408억 원으로 2023년 4분기 대비 45.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18억 원으로 2023년 4분기 대비 131.8% 증가했다. 한국투자증권 장남현 연구원은 “컨센서스에 부합한 실적이지만, 일회성 요인을 제거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며 레일솔루션 부문의 일회성 비용 1400억 원, 방산 부문의 일회성 이익 120억 원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75.8% 상회
한화(Hanhwa)가 향후 5년간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미래 산업 분야에 국내 20조 원을 포함해 총 37조 60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채용규모 역시 5년간 2만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는 이번 투자 계획이 기존 사업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미래 기술 선점과 시장 주도를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화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37조 6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20조 원 규모는 국내에서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3개 분야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분야별로도 태양광, 풍력 등 에너지에는 4조 2000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 연구개발을 통해 고효율의 태양광 제품을 생산 가능한 ‘글로벌 핵심 기지’를 추진한다. 수소 혼소(혼합연소) 기술 상용화와 수전해 양산 설비 투자 등 탄소중립 사업 분야에 9000억 원을 투자한다. 친환경 신소재 제품 개발 등에 2조 1000억 원을 투자해 탄소중립에 보조를 맞추는 활동도 진행한다. 방산‧우주항공 분야에는 2조 6000억원을 투입해 K-9 자주포 해외 시장 개척, 레드백 장갑차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
한국항공우주가 청와대의 북한 강경발언 소식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오후 12시 39분 현재 한국항공우주는 전일대비 4.38% 상승한 26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청와대는 17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행사 발언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담화를 낸 것과 관련해 "무례한 어조로 폄훼한 것은 몰상식한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한편 한국항공우주는 'T-50 고등훈련기', '수리온 기동헬기'등 국내 유일의 완성 항공기 제작업체다. 국가 기간 산업인 군수사업은 계속 성장 지속되고 있으며, 군용기는 한국 방위사업청 매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신규사업으로는 KF-X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이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