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orld Bank)이 발표한 2025년 4월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경제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베트남의 202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5.8%로 전망했다. 보고서에서는 2023년의 경기 침체 이후 베트남 경제가 인상적인 회복세를 보였으며, 그 주된 원동력으로 외부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회복을 지목했다. 특히 2024년 베트남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은 2023년 대비 15.5% 증가하며 회복세를 견인했다. 부동산 시장 역시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매력적인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함께 신규 프로젝트 공급 재개가 국내 민간 투자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은행은 베트남을 수출입 중심의 개방 경제로 분류하며, 수출입 총액이 GDP의 약 170%에 달하는 만큼 글로벌 무역 정책의 변화에 민감한 구조라고 평가했다. 미국은 베트남 최대 수출 시장으로 전체 수출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주요 수입국으로 38%의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보고서는 불확실성 확대 속에서 소비자 신뢰가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어 내수 소비의 회복에 제동이 걸릴 수 있으며, 금융 부문 역시 여전히 잠재적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2022년 베트남 경제가 8.02% 성장하며 1997년 이후 가장 높은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수출 호조와 국내 소매 시장의 활성화가 견인한 기록으로 분석된다. 반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글로벌 경기 둔화라는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베트남은 2019년 7%의 GDP 성장률을 보이며 동남아시아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베트남은 2020년 GDP 성장률 2.91%, 2021년 GDP 성장률 2.58%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봉쇄조치 및 셧다운 등 생산활동이 위축됐다. 베트남 공식 통계청은 8.02%의 성장률이 정부가 설정한 6~6.5%를 웃돌았다며 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에서 회복됐다는 견해를 내놨다. 통계청은 2022년 베트남 수출이 10.6%, 소매판매가 19.8%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부 업종별로는 베트남의 공업‧건설업이 7.78%, 서비스업이 9.99%, 농업이 3.36% 증가했다. 2022년 수십 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경제저문가들은 2023년부터 베트남 경제에 악재가 닥칠 것이며 글로벌 수요 부진이 출하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 경제가 유럽-러시아 갈등과 대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