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총재 이창용)이 이달부터 실거래 실험 중인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를 기틀 삼아 지급결제시장의 ‘가상자산 지각변동’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이 급성장하며 시장 교란 및 통화 주권 침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관련 규제체계 수립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지난 4월 21일 한은이 공개한 ‘2024년 지급결제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법정통화를 대체하는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 등 중앙은행 정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별도 규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며 “가상자산위원회 등 향후 진행될 스테이블코인 입법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이란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법정화폐나 금 등 실물자산에 가치를 연동한 가상자산을 말한다. 현재로선 미 달러에 연동된 코인이 대다수로, 대표적으로 테더(USDT), USD코인(USDC) 등이 있다. 환전수수료와 거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달러를 보유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이 각국에서 지급결제수단으로 쓰이게 되면 중앙은행의 통화 정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들어서면서 달러(USD) 기반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활성화에 나서면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정통 금융기관들도 스테이블코인 시장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한국은행의 CBDC 발행 테스트에 머물고 있다. 지난 3월 31일 외신 및 업계에 따르면 미국 금융기관들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자산 프로젝트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출시할 계획을 공개한 가운데 뱅크오브아메리카 브라이언 모이니한 최고경영자(CEO)도 관련 규율이 마련되면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직접 진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의회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8월 이전 법안 통과를 거듭 촉구하면서다.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혁신국, 가상자산감독국 등을 거친 법무법인 태평양 김효봉 변호사는 최근 열린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관련 세미나에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법안(지니어스 액트) 입법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미국 내 발행되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은행 및
2월 21일 스카이(KSY)는 자체 발행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와 가치가 페깅된 가상자산) USDS의 공급량이 90억달러(원화 약 12조 9,000억 원)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USDS는 올해만 70% 넘는 공급량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인 스카이는 메이커다오(MakerDAO)가 이름을 지난 2024년 9월 리브랜딩 해 재탄생했다. USDS는 기존 스테이블코인 다이(DAI)를 업그레이드한 ‘저축 표준(Savings Standard)’을 출시한 뒤 ▲투명성 ▲지속적인 보상 ▲안정성 등이 주요 특징으로, 금융업계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는 중이다. 현재 USDS은 8.75%의 이자율을 제공하며 이자율 책정에 있어 AI 에이전트가 담보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USDS가 빠르게 공급량을 늘려가면서 스테이블코인 업계에서 새로운 강자로 올라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프레임워크벤처스 공동 설립자 밴스 스펜서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USDS는 기술적으로는 달러인덱스(DXY)와 이자를 합친 수치를 추종한다. 또 락업이 되는 등의 위험요소가 없다는 특징을 지닌다.”며
리플(Ripple)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RLUSD가 뉴욕주 금융서비스국으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12월 10일 리플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는 SNS X를 통해 미국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로부터 RLUSD가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서 곧 거래소와 파트너사들에게서 리스팅(Listing)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예정을 남겼다. 지난 4월 리플 재단은 RLUSD의 출시 계획을 밝혔었고, 출시된 RLUSD는 리플의 XRP 레저와 이더리움 네트워크(ETH Netwrok)에 우선 지원될 예정이다. RLUSD는 지난 8월부터 테스트를 진행해왔으며 업홀드, 비트스탬프, 비트소, 문페이, 인디펜던트 리저브, 코인메나, 불리시 거래소를 출시 파트너로 선택했다. 리플은 RLUSD를 통해 안정적인 가치 보장과 글로벌 사용성을 기반으로 기업과 개인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국적 결제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가 블록체인 결제 및 상거래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마스터카드가 구축 중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이름은 ‘멀티토큰 네트워크(Multi-Token Network)’다. 금융업계는 ‘멀티토큰 네트워크’를 규제된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앱 스토어로 해석 중이다. ‘멀티토큰 네트워크’는 올 하반기 영국에서 시험용 버전 형태로 우선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마스터카드는 ‘멀티토큰 네트워크’ 내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이 이더리움 프로그래밍 언어인 ‘솔리디티(Soilidity)’를 사용하도록 개발 환경을 구축했다. ‘솔리디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멀티토큰 네트워크’가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앱스토어가 될 거란 관측도 나온다. 시험용 ‘멀티토큰 네트워크’를 통해 개발자는 토큰화된 은행 예금 및 현금 보유현황을 확인하는 블록체인 정보 실험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멀티토큰 네트워크’를 통한 실험 자산이 은행 예금에서 시작돼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로 확장될 거란 분석도 나왔다.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은 법정화폐 또
스테이블코인 테더(Tether)와 그 관계사들이 문서 위조와 유령 회사를 설립했다. 지난 3월 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더와 관계사들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문서 위조와 유령회사를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7년 3월 미국 은행인 웰스 파고(Wells Fargo)는 테더(Tether)가 이용하던 대만 계좌의 거래 처리를 중단했다. 테더는 이를 기업 존립의 위협으로 판단하고 은행 계좌 유지 및 신설에 집중했다. 테더는 발행된 1테더(USDT) 코인당 1달러(USD)에 고정되돈 설계된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가상자산 기업이다. 다수의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테더를 법정화폐를 대신해 수시입출금식 예금 계좌처럼 활용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보다 더 많은 거래량과 전송량을 기록하는 가상자산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더의 운용사 테더홀딩스(Tether Holdings)와 비트파이넥스(Bitfinex)가 각종 편법을 사용한 정황이 담긴 이메을 내용을 공개했다. 테더는 타 회사 및 기업 임원의 명의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새 은행의 계좌를 개설했다. 테더홀딩스 공동소유주 중
▲ 사진=그라우드롭 공식 미디움 탈중앙화 크라우드 펀딩 솔루션인 그라우드롭(Growdrop)이 메이커다오(MakerDAO)에서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 다이(DAI)를 생태계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그라우드롭은 기존 ICO(Initial Coin Offering)와 IEO(Initial Exchange Offering)가 가진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DeFi Lending Protocol)을 도입했다. 새로운 프로젝트가 발행한 프로젝트가 투자금에 상응하는 토큰을 지급하지 않거나 운영되지 않을 시 프로토콜을 통해 토큰을 스왑(Swap) 하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투자자와 기부자들은 그라우드롭을 통해 투자와 기부를 진행하면 이더리움 기반의 ERC-721 기반의 증서를 받아 투자자 또는 기부자 자격을 증명받게 된다. 탈중앙화 금융을 대표하는 암호자산인 다이는 향후 그라우드롭의 플랫폼에서 투자와 기부의 수단으로 도입된다. 이는 메이커다오가 블록체인과 암호자산 생태계에서 가진 전세계적인 입지와 스테이블 코인이 가진 가치 보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스테이블 코인인 다이(DAI)와 거버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