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배종민, 이하 ‘재단’)은 4월 1일 수산인의 날을 맞아 농·어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가 보다 쉽게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세종학당 농-어업 한국어’ 학습 앱을 출시했다. 이 앱은 2024년 재단이 발간한 '농업 근로자를 위한 쉬운 한국어'와 '어업 근로자를 위한 쉬운 한국어' 교재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근무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필수 어휘와 표현을 하루 15분 내외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듣기 기능을 강화해 실생활 및 업무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그간 농-어업 근로자와 고용주에게 한국어 학습은 바쁜 업무 속에서 쉽지 않은 과제였다. 그러나 이번에 출시된 앱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짧은 시간 안에 실용적인 표현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어, 외국인 근로자들의 높은 호응이 기대된다. 법무부에 따르면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2023년 30,401명에서 2024년 56,895명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재단은 한국어 학습 시간이 부족한 근로자들이 효과적으로 언어를 익힐 수 있도록 맞춤형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앱 역시 기존 계절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2종과 마찬가지로
미얀마 군정방송 국영방송 MRTV의 앱이 공개 하루만에 구글플레이-애플 앱스토어에서 지난 5일 각각 삭제되었다. 미얀마 군정 사업과 네트워크를 감시하는 반군부 시민단체의 요구를 신속히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새로운 도메인 mrtvmedia.com을 사용하는 웹도 사라졌다. 7일 미얀마 매체 이라와디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네피도에서 쿠데타 군부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까지 참석한 가운데 모바일 앱과 웹 출시 기념식을 성대하게 치렀다. MRTV는 정보부가 운영하는 군부의 선전부대로 EU의 제재를 받고 있는 마웅 마웅 오언 예비역 소장이 이끌고 있다. 군부 감시단체 저스티스 포 미얀마(JFM)는 지난 5일 구글과 애플에 “미얀마 군부가 국민을 상대로 펼치는 심리전의 일환”이라며 앱 사용 금지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다나 마웅 JFM 대변인은 SNS(소셜네트워크)에 “MRTV가 정규 방송을 통해 민주진영 인사들을 테러리스트로 지칭하고, 고문 피해자 사진을 방송에 내보내 공포심을 확산시키는 등 선전, 허위, 가짜뉴스를 광범위하게 유포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MRTV가 2017년 로힝야족을 테러범으로 묘사하고, 군의 집단 학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