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23일 일본 완성차 제조사 혼다와 닛산이 기본합의서를 체결하고 경영통합을 위한 본격적 협의에 들어간다. 2025년 6월까지 합병에 대한 최종 합의를 거쳐 2026년 8월까지 지주회사를 설립해 각사를 브랜드로 두고 도쿄 증권시장에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닛산 산하의 미쓰비시 자동차도 2025년 1월 말까지 지주회사에 합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023년 기준 혼다는 398만 대, 닛산은 337만대를 판매해 지주회사가 설립될 경우 2023년 기준 730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한 현대자동차를 넘어선 완성차 지주사가 탄생하게 된다. 혼다 자동차 미베 토시히로 사장과 닛산 자동차 우치다 마코토 사장, 미쓰비시 가토 다카오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합병 절차를 위한 이사회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닛산과 혼다는 신설되는 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도쿄 증권시장에서 상장 폐지된다. 신설 지주사의 사장은 혼다가 지명하고 사내이사와 사외아사의 과반 이상도 혼다가 지명하기로 했다. 합병을 위한 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과 구매부문・생산부문에서 최적의 체제나 회사 명칭, 소재지 등도 고려대상이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인 ‘혼다 자동차’와 ‘닛산 자동차’가 합병을
대만 폭스콘(Foxconn)이 중국 본토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전기차 사업을 확장하기로 했다. 애플 최대 위탁 협력업체인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은 전기차 뿐 아니라 반도체, 로봇 등 수익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12월 25일 폭스콘이 대만 증권거래소에 ‘폭스콘 신에너지 배터리(정저우)’에 6억 위안(원화 약 1,200억 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 이 자금은 중국 허난성 정저우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데 사용될 예정으로 설립된 공장은 대만 이차전지 공장에 이은 2번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될 예정이다. 폭스콘은 인도에서도 배터리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폭스콘은 위탁생산 전문기업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었다. 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전기차 제조 사업에 진출해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해 다른 제조사들의 제품을 만들어주는 전략으로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지난 2022년 5월엔 미국 전기 픽업트럭 스타트업 로즈타운 모터스의 오하이오 공장을 2억3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22년 1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빈살만 왕세자가 의장으로 있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전기차 합작회사 인 ‘시어(Ceer)’도 설립했
말레이시아에서 자체 개발한 첫 전기차(EV)를 출시되면서 말레이시아의 전기차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12월 17일 ‘AFP통신’과 현지 매체 ‘더스타’ 등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자동차 업체 프로톤은 지난 12월 16일 첫 전기차 ‘e.MAS 7’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선보였다. 최고급 모델의 판매 가격이 12만 3,800링깃(원화 약 4,000만 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따라서, e.MAS 7이 외국 전기차 브랜드 중심의 시장 판도를 흔들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기대의 시선이 모인다. 프로톤은 중국 지리자동차가 지분 49.9%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024년 4월 중국 항저우에 전기차 연구개발(R&D)센터를 열었다. 프로톤은 지리자동차와 협력해 향후 더 많은 전기차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말레이시아에는 미국 ‘테슬라’와 중국 BYD(비야디) 등 전기차 기업들이 진출한 상황이다. 지리자동차는 말레이시아에 100억 달러(원화 약 14조 4,000억 원)를 투자해 전기차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다. 말레이시아는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을 30%까지 늘린다는 목표로 전기차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3분기까지 미국에서만 전기차를 총 9만1348대 판매했다. 7만111대를 기록했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30.3% 증가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2024년 1~3분기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9.5%로 10%에 육박하고 있다. 2022년(7.4%)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테슬라는 여전히 1위 자리를 차지했지만 영향력은 떨어졌다. 점유율은 2022년 2분기 기준으로 65%를 기록했지만 현재는 49.8%로 낮아졌다. LA타임스 4일자 보도에 따르면 올 1~3분기 캘리포니아주의 테슬라 판매량이 전년보다 12.6% 감소한 반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0.5%, 64% 급증했다.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를 제치고 미국 전기차 시장 ‘넘버2’가 된 현대차그룹은 올해 점유율 10%를 달성해 1위 테슬라 추격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내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가동이 내년부터 본격화된다. HMGMA를 통해 전기차 모델을 연간 30만 대 이상 생산한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과 기아 조지아 공장에서 만드는 EV9은 IRA에 따른 보조금
지난 9월 12일 현대자동차 그룹과 제너럴 모터스(GM))와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업무협약에서 발표한 협력 비전은 내연기관과 전기차(EV), 수소 기술 공동 개발, 배터리, 철강 공동 발주를 포함한 모빌리티 분야의 전방위 분야의 제한 없는 협력을 포함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GM의 협력이 양사의 강점을 정확히 교집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시장의 분석이다. 현대자동차는 투싼과 싼타페 등 중소형 SUV에 강점을 보이며, GM은 쉐보레, GMC, 캐달릭의 브랜드를 포함한 타호, 에스컬레이드 등 대형 SUV와 픽업트럭에서 강점이 있다. 이는 양사가 약점으로 지적되는 SUV와 픽업트럭 개발에서 협력을 해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파워트레인 기술력을 가진 독일 자동차 회사들이 선점한 시장이었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은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2020년을 기점으로 한 전기차(EV)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치고나가면서 미국 시장에서 중형 SUV 시장에서도 20%가 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GM은 포드가 폭스바겐이 함께 내놓은 소형 전기차가 부진한 것을 보고 현대차와 협력한 것으로 보인다. 폭스바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esla)가 태국에 전기차 제조 공장을 설립하려던 계획을 철회하고 충전소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지난 8월 6일 태국 현지 매체 ‘네이션 타일랜드’가 정부 소식통을 인용하면서 테슬라(Tesla)는 현재 태국 내 충전소에 대해서만 논의 중이며, 공장 설립 계획은 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테슬라의 공장 건설 계획은 중국과 미국, 독일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이번 철회 결정은 태국에 공장 설립을 추진했던 테슬라 고위 임원 ‘로한 파텔’이 해고된 이후 이루어졌다. 태국 ‘세타 타비신’ 총리는 지난 2023년 11월 테슬라가 태국을 전기차 제조 허브로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로한 파텔은 지난 2023년 11월 태국의 초청을 받아 축제에 참여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총리는 태국에서 잠재적인 공장 부지 3곳을 조사해 2024년 1분기에 50억 달러(원화 약 7조 2,48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파텔의 해고로 테슬라는 태국에 대한 투자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테슬라가 아시아 및 기타 전역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는 일환으로 나왔
현대차는 19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가이킨도 인도네시아 국제 오토쇼 2024’에서 현지 민간 충전 사업자 6개 업체와 '현대 EV 충전 얼라이언스(연합체)'를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차 전기차 고객은 ‘마이현대’ 애플리케이션으로 별도 회원 가입이나 결제 수단 등록 없이 얼라이언스에 소속된 다른 업체의 충전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인도네시아에서 하나의 앱으로 여러 업체 충전 시설을 자유롭게 사용·결제할 수 있는 로밍 제도를 도입한 것은 현대차가 처음이다. 얼라이언스 구축에 참여한 7개 업체는 인도네시아에서 총 429개소, 696기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인도네시아 민간 EV 충전기의 97%를 차지한다. 현대차는 전기차 신차 고객에게 얼라이언스 소속 업체 충전소에서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충전량 50kWh(킬로와트시)를 매월 제공하는 'EV 충전 서비스 프로그램'을 출시한다. EV 충전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제공된 충전량은 오는 8월부터 사용 가능하다. 현대차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 인프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EV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가 태국 공장 개소식을 열었다. 지난 7월 4일 비야디의 왕 추안 푸 최고경영자(CEO)는 비야디 태국 공장 개소식에 참여했다. 비야디의 태국 공장 개소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일본 자동차 업계에 대한 도전장으로 해석된다. 태국은 자동차 조립 및 수출 허브로서 오랜 시간 도요타(Toyota), 혼다(Honda), 이스즈(ㅑ녀켜) 등 일본 자동차 기업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일본 자동차 기업들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중심으로 전기차 시장에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야디는 이런 상황에서 완전 전기차를 내세워 태국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유럽을 비롯한 해외의 관세도 회피하기 위한 수출허브 역할도 가능하다. 태국은 2030년까지 연간 생산량 250만 대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지난 2022년 태국 공장 건설을 발표한 비야디가 공개한 투자 규모는 4억 9,000만 달러였으며 연간 생산력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포함해 15만 대였다. 태국에서 출고되는 차량들은 유럽연합(EU)의 관세 정책에도 적용되지 않는다. 유럽연합은 7월 5일부터 중국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최고 47.6
일본 자동차 90%, 도전자 ‘현대’ 전기차가 어떤 승부수를 띄울까? 2023년 4월까지 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 판매순위에서 도요타 하이럭스가 6만 4,228대(-7.2%)가 판매되어 1위를 수성했다. 포커스2무브(focus2move)가 6월 30일자에 따르면 지역별 베스트셀링카 순위을 보면 도요타 하이럭스에 이어 이스즈 디맥스가 5만 9,664대(-8.0%)의 누적 판매량으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미쓰비시 엑스팬더가 3만 4,797대(+13.3%) 판매되며 3위였다. 도요타 아반자가 2만 5,875대(+23.4%), 혼다 시티가 2만 4,832대(-24.4%)가 신규 등록되어 4위와 5위였다. 6위는 2만 4,236대가 판매된 포드 레인저(+24.0%), 도요타 포투너(5계단 상승)가 2만 3,586대(-12.6%) 7위, 혼다 HR-V(13계단 상승)가 2만 2,755대(+99.8%)로 8위였다. 순위표의 마지막을 장식한 도요타 야리스 아티브는 올해 2만 1,289대 판매(+153.2%)로 22계단 상승한 9위, 혼다 브리오는 2만 713대 누적 판매(-2.2%)로 4계단 하락한 10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태국 자동차 시장은 1위를 비롯해 3위와 4
중국 제조업체 우링(Wuling)이 베트남에서 가장 저렴한 전기 자동차 모델을 출시했다. VN익스프레스-사이공타임즈 등 베트남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새로 출시된 미니 전기 자동차 모델은 지난달 29일 2억 3,900만 VND(1만 139달러, 약 1324만 1534원)에서 시작하는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베트남 북부 흥옌성에서 조립되는 우링 훙광 미니 EV(Wuling Hongguang Mini EV)는 베트남에서 가장 작은 전기 자동차 중 하나다. 도시 교통을 위해 설계된 4인승은 사용자가 구매하는 배터리에 따라 충전당 120~170km를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6.5~9시간이 걸린다. 자동차의 최대 설계 속도는 시속 100km이다. 저렴한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7인치 화면이 하나 있다. 딜러들은 이번 9월부터 자동차를 받을 예정이다. 우링모터스는 2002년 11월 18일에 설립된 GM의 중국 자회사다. SAIC(상하이자동차그룹)-GM(제너럴모터스)-우링(Wuling) 모터스라는 조인트벤처 형태로 운영되는 중이다.
“호치민 관광도 전기자동차로 하세요.” 호치민시 교통국은 관광객을 시내 곳곳으로 수송하기 위해 전기자동차를 시범 운행하기로 했다. 베한타임즈 4월 28일자에 따르면 4월 30일부터 각각 5~1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200대의 전기자동차를 30km의 최고 속도로 운행한다. 관광객은 모바일 앱을 통해 또는 직원에게 직접 전기자동차 서비스를 예약하면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노선은 4월 30일에 시작된다. 1군에서 냐롱(Nhà Rồng) 항구, 칸호이(Khánh Hội) 다리를 건너 똔득탕(Tôn Đức Thắng), 응우옌빈키엠(Nguyễn Bỉnh Khiêm), 응우옌티민카이(Nguyễn Thị Minh Khai), 황사(Hoàng Sa), 하이바쯩(Hai Bà Trưng), 응우옌반크(Nguyễn Văn Cừ), 보반끼(Võ Văn Ki) 거리, 칼메트(Calmette) 다리 및 반돈(Vân Đồn)으로 지나간다. 올해 4분기부터 시작되는 2단계는 서비스가 5군으로 확대된다. 3단계에서는 2024년 1분기부터 3군, 10군, 투득시를 커버하게 된다. 앞서 시 인민위원회는 4개 기업이 전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하지만 푸미흥(Phú M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최초로 전기택시가 등장했다.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4월 14일부터 하노이 시민들은 GSM(Green, Smart, Mobility) 주식회사의 전기택시 서비스를 최초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SM 싼(Xanh) 택시는 빈패스트(VinFast) 전기자동차로 하노이에서 운영된다. 2023년 전국 최소 5개 성 및 도시에게 SM 그린(Green) 택시를 보급하는 계획의 첫걸음이다. 하노이 교통국 관계자는 “자가용을 제한하기 위해 대중교통 개발을 우선시해야 한다”며 운행에 투입될 많은 수의 전기택시가 도시 교통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대하여 언급했다. 하노이는 2014년부터 휘발유 택시에 대한 새로 허가를 중단했다. 택시 1만 9000대 이상과 9인승 이하 약 5만 대의 계약 차량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노이 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택시의 수, 특히 전기 택시 및 기타 유형의 친환경적한 대중 교통이 계획에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노이 교통협회의 전 회장인 부이다잉리엔(Bùi Danh Liên)은 많은 전기 택시가 운영됨에 따라 택시 서비스 제공업체는 택시 수를 늘리지 않고 교통 체증을 제한하도록 계획을 준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