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맞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다른 점은 ‘물밑 협상’이 진행되던 1기와는 다른 분위기라는 점이다. 중국은 트럼프의 관세 공격에 하루 시차를 두고 동일한 수준으로 대응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에도 분쟁 해결 절차를 꾸준히 활용하고 있다. 갈등 유발자인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면서 동시에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자유무역 확대임을 강조하는 냉소적인 상황이다. 반대로 자유진영의 대표로 꼽히던 미국이 보호무역의 확대와 내수 부양을 통한 경제 체질 변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희토류(Rare Metal)의 무기화와 위안화 평가절하를 내세운다. 지난 4월 8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관세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환율을 조작한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비난 직후 중국은 보란 듯이 달러당 7.2위안 선을 허물며 ‘환율전쟁’도 감내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대미 보복 조치 대상에 희토류 원석은 물론 가공・정제 희토류까지 포함시켰다. 일부 미국산 농산품・가금육 제재 검토는 트럼프의 지지 기반을 겨냥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5일간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있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 산하의 국제 텔레비전 방송 CGTN은 “중국이 우호, 성실, 상호 이익, 포용의 원칙에 따라 어떻게 주변 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웃 국가와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올해 들어 미국-중국의 물러설 수 없는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다. 중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미국-중국 관세전쟁 속 '우방챙기기' 중국 외교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3개국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린젠(Lin Jia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이웃 국가는 중국 외교의 최우선 순위이며,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은 미래를 공유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파트너”라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일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중국서 생산량 80%, 아이폰 2배 폭등 의식했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및 반도체 생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11일 오후 10시 36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이를 공식화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 노트북 컴퓨터, SSD, LCD 모니터, 메모리, 태양광 패널, 단결정 반도체 칩, 기타 반도체 장치, 반도체 부품, 직접회로(IC), 광전자 장치 등을 상호관세 부과 면제된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이폰과 맥북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하는 것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현재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나머지 분량은 인도·베트남·브라질 등 여타 국가로 분산돼 있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품목도 면제 대상이어서 트럼프 정부의 중국에 대한 첫 관세 완화 의미가 담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는 전체 인구의 5%를 넘어섰다. 베트남은 305,936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태국은 188,770명으로 3위를 기록했다. 법무부 산하 출입국관리사무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까지 단기 및 장기 체류 외국인 수가 전체 인구의 5.17%에 해당하는 265만 명을 넘어섰다. 2019년에 비해 126,127명 증가한 수치로, 2023년에 기록한 4.89%를 늘어났다. 외국인 거주자 중 77%인 204만 명은 공식적으로 거주지를 등록한 장기 거주자였다. 608,766명은 단기 방문자였다. 국적별로는 중국 출신 외국인이 958,959명(36.2%)으로 가장 많았다. 베트남이 305,936명(11.5%), 태국이 188,770명(7.1%), 미국이 170,251명(6.4%), 우즈베키스탄이 94,893명(3.6%)이 이었다. 등록외국인은 수도권 822,071명(55.2%), 영남권 299,258명(20.1%), 충청권 185,419명(12.5%), 호남권 127,541명(8.6%) 순으로 거주했다. 국민의 배우자(결혼이민자)는 181,436명, 외국인유학생은 263,775명이었다. 2024년 12월 말 현재 외국국적동포는 864,245
“역시 태국 외국 관광객 중 1위는 중국인이네” 2024년 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3500만명을 넘어섰다. 태국 관광체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총 3500만 여명이 태국을 방문했다. 쓰고 간 돈만도 1조 6,600억밧, 우리 돈으로 약 70조 7,300억원이었다. 관광객 중 1위는 중국인으로 670만명, 말레이시아와 인도 국적자가 각각 493만 명과 212만 명으로 2,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인은 약 186만 명으로 4위였다. 5위는 러시아였다. 관광은 태국 GDP와 일자리의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올해 항공편으로 한국인이 가장 찾은 나라는 어딜까? 법무부의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1~7월 1위 일본 519만9,834명, 2위 베트남 259만830명에 이어 중국이 119만9,300명으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국인 방문 상위 항공 여객수만으로도 일본(696만명), 베트남(360만명), 태국(166만명), 미국(160만명), 필리핀(145만명)이었다. 법무부의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수’는 항공 여객에 한해 최초의 도착지를 기준으로 산출된다. 법무부는 2022년 9월부터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를 통해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9월 4일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이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50여 개국은 9월 6일까지 사흘 동안 투자와 경제협력 등을 논의한다. 중국은 이번 포럼에서 서방과의 전략경쟁을 염두에 두고 아프리카 국가들을 괴롭히는 ‘부채의 덫’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시사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9월 2일부터 이날까지 총 15개국 지도자와 연쇄 양자회담을 가졌다. 200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은 3년에 한 번씩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번갈아 열렸으며 2024년에 8회 포럼이 개최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을 위해 아프리카 53개국 외교장관・경제장관급 인사와 아프리카연합(AU) 등 지역 국제기구 대표를 포함해 300여명이 방문했다. 중국은 이번 포럼이 중국과 아프리카 관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으로 지역에서 서방 패권이 흔들리고 중국・인도 등의 영향력이 커지며 다극적 세계질서가 도래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는 상황에서 열린 첫 포럼이기 때문이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인 9월 3일 무사 파키 마하맛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
중국 최초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가 13일만에 차이나반도 운송의 새 역사를 썼다. 싱가포르 관영매체 CNA에 따르면 지난 7월 초 각각의 목적지인 말레이시아의 셀랑고르와 중국의 충칭에 도착하면서 양방향으로 첫 운행을 시작했다. 전자제품과 농산물이 첫 화물에 포함되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ASEANEXPRESS)로 불리는 이 철도는 해상(수상) 운송보다 40% 이상 짧은 시간에 운송을 해냈다.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한 인도차이나 반도 운송의 혁명으로 불리고 있다. 철도는 중국 충칭에서 출발해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해 비엔티안에 도착한다. 여기사 궤간변경을 거친 다음 말레이시아 파당 베사르까지 이동한다. 현재 중국 내 25개 성, 자치구, 시가 동남아시아와 연결되는 국경간 화물열차를 개통했다.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진전하면서 중국-라오스-태국-말레이시아 교역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월 중국-라오스-태국 철도 복합운송열차는 성공적인 운행을 마쳤다. 이 복합운송은 중국에서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로 가는 철도운송의 잠재력을 확인한 바 있다. 이 같은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의 등장은 윈난성 쿤밍(昆明)에서 라오스 수도
베트남이 중국 최대의 농산물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지난 8월 24일 중국 상무부 정례브리핑에서 상무부 허야둥 대변인은 “베트남 공산당 수린(Su Lin) 서기장이 중국을 국빈방문했다.”면서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무역에 대해 발표했다. 중국과 베트남의 양자 교역 기준으로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며, 3년 연속 2,000억 달러(원화 약 280조 원)를 돌파했다. 2024년 1~7월 교역 금액은 1,450억 7,000만 달러(원화 약 203조 980억 원)으로 2023년 1~7월 대비 20.9% 증가했다. 투자 금액도 증가해 중국 기업들은 2024년 1~7월 동안 베트남에 18억 4,000만 달러(원화 약 2조 5,778억 원)를 직접투자했다. 특히 베트남 하노이 경전철 2호선과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다양한 인프라 사업에 중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했다. 허야둥 대변인은 “상무부는 중국과 베트남의 양당 최고지도자가 합의한 중요한 합의를 성실히 이행해 내년인 2025년 양국 수교 75주년을 계기로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질적 향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무역협력 강화에 나선다. 양국 기업들은 각종 박람회를 비롯해 플랫폼을 통해 농산물과 공
“차앙마이 공항 천장 붕괴, 다행히 큰 부상이 아니었어요” 더 네이션에 따르면 8월 4일(토) 아침 치앙마이 국제공항 출국 여객 건물의 천장 부분이 무너져 외국인 승객 2명이 다쳤다. 공항 당국은 “네덜란드 소년이 손등에 경미한 부상을 입었고, 중국 소녀는 5센티미터 길이의 머리에 실밥이 필요한 상처를 입었다”고 말했다. 사고 후, 로나콘 찰름쎈야콘 치앙마이 공항의 책임자는 부상당한 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 달려갔고, 그들을 돕기 위해 작전을 지휘했다. 이 중국 소녀는 가족과 함께 핫야이 국제공항으로 가기로 했다. 그 전에 상처 부위를 꿰매기 위해 치앙마이주의 한 개인병원에서 급히 치료를 받았다. 네덜란드 소년과 그의 가족은 예정대로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여행을 계속하고 싶다고 했다. 론나콘은 소년이 도착했을 때 부상을 치료하기 위해 돈므앙 공항 관계자들과 협력하기로 했다. 론나콘은 “공항 관계자들이 두 아이와 가족들에게 새 옷을 사주고, 가족들에게 새 항공권을 제공하고, 점심을 제공하며 VIP 라운지에서 다음 비행기를 기다리도록 하는 등 공항의 의전에 맞춰 필요한 모든 도움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론나콘은 또한 초기 보상으로 가족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금액을
베트남채소-과일협회(Vinafruit)의 사무총장 당푹응웬(Đặng Phúc Nguyên)에 따르면 2024년에 두리안 수출이 30억 달러(약 4조 1,490억 원)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베타임즈에 따르면 ‘지난 7월 23일 하노이에서 열린 두리안 수출 촉진 워크숍에서 응웬 베트남 채소-과일협회 사무총장은 베트남이 2024년 상반기 6개월 동안 전년 대비 40% 증가한 13억 달러(약 1조 7,979억 원) 이상의 두리안 해외 수출 실적을 올렸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체 과일 수출액의 65%다. 중국은 46% 증가로 가장 많이 수입했다. 이어 일본, 캄보디아 수출은 2~23배까지 늘었다. 응웬꽝히에우(Nguyễn Quang Hiếu) 농업농촌개발부 산하 식물보호국 부국장은 “중국 관세총국이 현재까지 베트남 기업이 두리안을 수출할 수 있도록 700개 이상의 재배 지역 코드와 약 200개의 포장 코드를 허가했다”고 밝혔다. 베트남채소-과일협회는 냉동 두리안의 중국 공식 수출에 관한 프로토콜을 추진 중이며 곧 발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3년 베트남은 23억달러 상당의 두리안을 수출했다. 그 중 87%가 중국이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두리안 수입국이자
“인천공항 국제선 이용 여객은 코로나19 이전 시기로 돌아갔다.” 인천공항공사는 올해 1~6월 국제선 기준 여객 실적이 3404만 8517명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3525만8765명) 대비 96.6%의 회복률이다. 여객 실적은 동남아(전체 30.7%), 일본(25.1%), 중국(13.6%), 미주(9.1%)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인천공항 국제선 이용 여객은 3400만명을 기록했다. 국제선 운항은 코로나19 이전 시기를 뛰어넘었고, 환승객은 97% 회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2440만1190명)보다 39.5% 늘었다. 지난 2월 25일에는 코로나19 이후 하루 최다 여객인 21만3351명을 기록했다. 동계성수기 및 유학생 입국 시기가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공사는 올해 상반기 여객 증가가 “동남아 및 일본 단거리 노선 선호가 지속되고, 중국노선 여객이 회복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 여객실적을 보면 동남아(1046만8345명·전체 30.7%), 일본(854만3501명·25.1%), 중국(462만8310명·13.6%), 미주(308만4670명·9.1%), 동북아(304만9724명·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