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미국과 관세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150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 관세 부과 예비 계획을 내놨다. 앞서 무역협정 합의를 발표한 영국과는 달리 미국과 EU 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지난 5월 8일 유로뉴스 및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EC)는 이날 미국과의 관세 협상 합의에 실패할 경우 미국산 제품 관세 부과로 보복할 것이라며 관세 부과 예상 목록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관세 부과 목록에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항공기 ▲농산물 등 최대 950억유로(원화 약 150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이 포함됐다. 앞서 제외됐던 위스키 등 미국산 주류도 다시 포함됐는데 미국산 주류는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보복 조치 목록에 포함됐었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EU산 주류 200% 관세 부과 경고에 프랑스 등 일부 회원국의 반대로 목록에서 빠졌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호(EC)는 “현재 이 목록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전 EU 회원국들과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 중.”이라며 “이 과정에서 관세 부과 목록이 축소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 관세율은 아직 조정 중이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
지난 2월 11일 유럽연합(EU)이 인공지능(AI) 육성을 위해 총 2,000억 유로(원화 약 300조 원) 규모의 민간・공공자본 동원 계획을 공개했다. 글로벌 AI 지형도에서 미국・중국과의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겠다는 포부다. 유럽연합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집행위원장은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AI 행동 정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인베스트AI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인베스트AI는 유럽 내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로 자금 동원 규모로만 보면 AI 분야 세계 최대라고 EU는 설명했다. 계획에 따르면 2,000억 유로 가운데 500억 유로는 기존의 EU 기금을 활용하는 ‘인베스트AI 기금’으로 마련된다. 지원 형태는 보증・금융 지원 형태가 될 전망이다. 나머지 1,500억유로는 민간 투자로 채워질 예정으로, 이를 위해 유럽 내 60여개 업체는 이번 정상회의 계기 투자 등을 약속하는 ‘유럽 AI 챔피언 이니셔티브’라는 별도 프로젝트도 발족한다. 유럽연합(EU)은 이 계획을 통해 유럽 전역에 초대형 AI 모델 훈련에 특화된 일명 ‘AI 기가 팩토리“를 최소 네 곳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폰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