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대를 통틀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카카오톡’과 ‘유튜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월 6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24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톡 이용률이 98.9%로 가장 높았고, 유튜브(84.9%), 인스타그램(38.6%), 밴드(28.6%), 네이버 블로그(21.7%)가 뒤를 이었다. 이용자들은 평균 4.25개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모든 연령대에서 카카오톡이 1위, 유튜브가 2위를 기록했지만 3위부터는 연령대별로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2030세대에서는 인스타그램(20대 80.9%, 30대 70.7%)이 3위를 차지했고 5060세대에서는 밴드가 이용률 3위(50대 40.6%, 60대 31.1%)를 기록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시사정보를 이용한 적 있다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 중 35.9%로, 주로 유튜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개인이나 단체의 시사채널(63.6%), 신문사・방송사의 공식 채널(63.0%)을 통해 뉴스 및 시사정보를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65.1%가 소셜미디어(Social Media)가 언론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한
전 세계적으로 소위 ‘뉴스 인플루언서’ 부상이 새로운 위기를 부르고 있다. 뉴스 콘텐츠가 아주 짧거나 길게 극단하면서 어중간한 콘텐츠는 외면 당하고, 뉴스 유통・협력 대상으로는 X・페이스북(Facebook) 등 기존 플랫폼이 지고 AI 기반 플랫폼이 부상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 1월 24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미디어 이슈 리포트-2025 언론산업 성장 추세와 주요 이슈 전망’(이현우・전창영 선임연구위원)을 발간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뉴스 산업의 주요 이슈로 ‘뉴스 인플루언서 부상과 허위 정보 우려’가 꼽혔다. 미국 대선 이후 인플루언서들이 정치와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세계적 추세로 나타났다. 2024년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미국 성인 21%, 그중에서도 30세 이하의 37%가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포트는 “퓨리서치센터 연구에 따르면 뉴스 인플루언서의 77%가 언론 경력이 없고, UNESCO 조사에서는 62%가 콘텐츠의 정확성을 검증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신뢰성과 정보 정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고 밝혔다. 전통적 의미의 언론사 기자 출신들이 인플루언서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