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4년만에 종지부’…세계 10위권 메가 캐리어 탄생

대한항공, 아시아나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이 4여년 만에 마침표를 찍으면서 세계 10위권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했다.

 

지난 12월 11일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이 진행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1조5,000억 원을 투자헤 신주 약 1억 3,157만주(지분율 63.9%)를 취득한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0년 12월 계약금 3,000억 원, 2021년 3월 중도금 4,000억 원 등 총 7,000억원 을 이미 지급했다.

 

12월 11일에는 잔금 8,000억 원을 추가 납입하고 총 1조 5,000억 원 규모의 지분 인수를 최종 마무리할 계획이다.

 

당초 신주 인수는 12월 20일까지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예상보다 빠른 11월 28일 기업 결합을 최종 승인하면서 일정이 앞당겨졌다.

 

대한항공은 상법 제423조에 따라 납입기일의 12월 12일부터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로써, 지난 2020년 11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인사를 밝힌 후 약 4년여 만에 모든 절차가 완료하게 됐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을 2년간 독립된 자회사로 운영하면서 통합 수순을 순차적으로 밟는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양사 산하 저비용항공사(LCC) 3사의 통합 작업도 진행된다.

 

먼저 대한항공은 오는 2025년 1월 16일 예정된 아시아나항공 임시 주주총회를 거쳐 새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임원의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 신임 대표이사로는 송보영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장(전무)이 거론되고 있다.

 

에어부산 신임 대표에는 정병섭 대한항공 여객영업부 담당(상무)이, 에어서울 신임 대표로는 김중호 대한항공 부장이 언급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대표이사 선임은 이사회 및 주총 결의사안”이라며 “향후 인사관련 주요사안은 현시점 전혀 확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주요 관심사인 마일리지 통합 정책은 2025년 6월 중에 나올 전마이다.

 

대한항공은 통합 후 6개월 안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마일리지 통합 방안을 마련해 제출해야 하는데, 최종 시안에 맞춰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기업결합으로 인한 독과점 관리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협업, 독과점 완화를 위한 시정조치 노선의 운임을 관리하는 한편 마일리지 불이익 금지 및 공급석・서비스 품질 유지 등의 의무에 대한 이행을 철저히 감독한다는 방침이다.

 

통합 마일리지의 실제 적용 시점은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에 완전히 흡수되는 2026년 말 이후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