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도 첫 국산 항공모함 ‘INS 비크란트’ 취역

모디 총리 “역사적인 날”
미그-29K 등 30대 탑재 가능
인도양은 ‘최우선 국방 지역’

 

인도가 자체 건조한 첫 항공모함 ‘INS 비크란트’를 취역했다.

 

인도양 진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는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지난 9월 2일 힌두스탄 타임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이날 인도 남부 코친 조선소에서 열린 비크란트 취역식에 참석했다.

 

모디 총리는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다. 인도의 방위산업 자립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서 “인도가 항공모함 제작 기술을 가진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가 됐다며 이는 단순히 해군력이 더 강해지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인도는 ▲미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등에 이어 자국산 항공모함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현재 인도가 운영중인 2013년부터 항공모함‘'INS 비크라마디티아’(배수량 45,000t)는 러시아가 옛 소련 시절인 1970년대에 개발한 전투기 탑재 순양함 ‘고르시코프 제독’함을 개량한 것이다.

 

인도가 처음 자체 제작한 항공모함에 명명한 ‘비크란트’는 산스크리트어로 '용감한'이란 뜻이다.

 

배수량 47,400t급으로 폭 62m에 길이는 262m에 달한다.

 

총 1,600명의 승조원을 태우고 미그-29K 전투기와 헬리콥터 등 약 30대의 항공기가 탑재 가능하다.

 

비크란트는 인도 해군 함정 디자인국이 설계했고 코친조선소에서 건조됐으며, 부품 중 75% 이상이 인도에서 자체 조달됐다.

 

이 과정에서 부품 조달 지연 등으로 건조 기간이 당초 예상보다 6년 더 걸렸고, 당초 예산을 크게 초과해 제작 비용에 총 2,000억 루피(원화 약 3조 3,000억 원)가 투입됐다.

 

비크란트의 모의 운영 과정에서 무장한 전투기가 이착륙 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비크란트는 미그-29K 전투기 상륙 시험 등을 거쳐 2023년 연말부터 완전한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도는 이 외에도 2030년대 취역을 목표로 배수량 65,000t급 항공모함을 한 대 더 건조하는 계획도 추진 중에 있는데, 총 3대의 항공모함 중 인도양에 1척 벵골만에 1척을 배치하고 나머지 1대는 예비용으로 운용할 계획을 세웠다.

 

항공모함 전력을 확대하는 것은 남아시아와 인도양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저지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2013년 처음으로 핵 추진 잠수함을 인도양에 파견했고, 2017년에는 스리랑카 함반토타 항구 운영권을 99년간 확보했다.

 

인도로부터 스파이 활동 의혹을 받은 첨단 측량선 ‘위안왕5호’를 함반토타항에 정박시키기는 등 군사 분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따.

 

특히 양국은 2020년에는 5월 판공호 난투극, 6월 갈완 계곡 ‘몽둥이 충돌’ 등 인도 북부 국경 분쟁지인 라다크 인근 지역에서 잇따라 충돌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이다.

 

모디 총리는 “인도양은 우리에게 최우선 국방 지역이다. 해군 예산 확대를 통해 전력 증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