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이 생기면 달라질 것으로 기대했다. 과연 얼마나 달라졌나?” 고상구 제2대 세계한인회총연합회(세한총연, 베트남 K-MARKET 회장) 회장이 4일 오후 3년 임기의 새 사령탑으로 취임했다. 회장 이-취임식은 임백천의 사회로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렸다. 특히 고상구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동포사회가 스스로 해야할 역할에 대한 뼈아픈 자성과 재외동포청 설립 이후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변했다며 토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이상덕 재외동포청장은 “재외동포청 설립 이후 예산-조직에서 기대보다 실망이 커서 저도 엄청난 스트레스다. 앞으로 재외동포청이 세한총연을 적극 협력하겠다. 730만 재외동포들이 적극 뒤에서 밀어주시면 국내 어느 기관보다 강력한 조직이 될 수 있다”고 화답했다. ■ 세한총연 창립한 심상만 초대회장 이임사 이어 고상구 회장 취임사 눈길 심상만 세한총연 회장은 이임사를 통해 “2021년 10월 6일 창립해 전세계 10개 대륙별한인회총연합회와 500여개 지역한인회를 대표하는 단체다. 2020년 세계한인회장대회 때 대륙별한인회총연합회장 모임을 통해 설립 필요성이 발의되어 2021년 탄생했다”고 회고했다. 730만 재외동포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재외
사단법인 세계한인회총연합회(약칭 ‘세한총연’/회장 심상만)는 9월 30일(월)14:00~17:00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한인회 차세대사업 활성화 세미나』를개최하였다. ‘한인회의 차세대사업, 현재의 모습과 나아갈 방향’이라는 부제로 개최된 『한인회 차세대사업 활성화 세미나』는 한인회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사업을 취합하여 한인회간 공유함으로써 차세대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바람직한 차세대사업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세미나에는 전세계 한인회를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선정된 7개 한인회의 추진사업 발표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시즈오카 한인회와 홋카이도 한인회가,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한인회와 싱가폴 한인회가, 미국에서는 뉴욕 한인회와 인랜드한인회가, 캐나다에서 캘거리 한인회가 참여하였다.. 세한총연은 2021.10.6. 창립된 전세계 한인회를 대표하는 단체로서 전세계 한인들의 지위향상을 도모하고, 모국과의 각종 협력활동을 확대함으로써 한민족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가 유엔기념공원관리처장으로 1일 부임해 3년 임기를 시작했다. 유엔묘지는 유엔에서 유엔기념공원관리처로 이관된지 50주년이다. 1951년 유엔사 소속으로 있다가 59년 유엔으로 이관되었다가 74년 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UNMCK)로 이관되었다. 신임 유엔기념공원관리처장은 상징구역 헌화로 업무를 시작했다. 하루 일정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한국전에서 싸웠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참배로 시작한 것이다. 서 처장은 “유엔기념공원에는 현재 13개국 2300여 명이 안장되어 있다. 영 연방국 안장자가 제일 많고, 영국, 튀르키예, 캐나다 순으로 안장자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11월 11일 태국 참전용사 1분이 유엔기념공원에 안장할 예정이다. 필리핀 참전용사 1분도 안장을 추진 중이다. 전 아세안 대사로서 태국, 필리핀 참전용사가 유엔기념공원 안장 추진되고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엔기념공원은 전세계 유일한 유엔묘지이고, UNMCK 관리처장은 국제기구로서 외교단 소속이다. 서 처장은 2019년에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으로 근무했다. 어린 시절 부산 감천쪽에 살았고, 외교부
올해 항공편으로 한국인이 가장 찾은 나라는 어딜까? 법무부의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1~7월 1위 일본 519만9,834명, 2위 베트남 259만830명에 이어 중국이 119만9,300명으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국인 방문 상위 항공 여객수만으로도 일본(696만명), 베트남(360만명), 태국(166만명), 미국(160만명), 필리핀(145만명)이었다. 법무부의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수’는 항공 여객에 한해 최초의 도착지를 기준으로 산출된다. 법무부는 2022년 9월부터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를 통해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 최초, 베트남의 쌀국수 맛집 30여 곳이 서울로 직접 찾아온다. 베트남 대표요리 ‘쌀국수’를 홍보하기 위해 10월 5~6일 이틀간 연례 ‘베트남 쌀국수 (퍼) 페스티벌’이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개최된다. 서울 광진구 광나루로 441, 어린이대공원역 2번 출구 ‘그라운드 파이’에서 오전 10에서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쌀국수 제조 기술 및 요리를 홍보하기 위하여 퍼다우(Phở Dậu), 퍼푸지아(Phở Phú Gia), 퍼에스(Phở 'S), 사스코 로터스 퍼(SASCO Lotus Phở), 퍼타빈타이푸드(Phở Ta - Bình Tây Food), 퍼틴버호(Phở Thìn Bờ Hồ) 등 베트남 전 지역의 유명 쌀국수 브랜드와 한국 레스토랑, 식품업체 등이 총출동한다. 방문객들은 유명한 한국과 베트남 가수의 노래 공연, 요리 쇼, 전통놀이 등 다채로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베트남외교부-주한베트남대사관-베트남상공부-사이공투어리스트가 주최하고, KTGRZ creative가 주관한다. 뚜오이째 신문-사이공 투어리스트가 후원한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10월 2일(수) 인도네시아 서자바의 수도 반둥(Bandung)에서“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지 스토리텔링: 영상을 활용한 효과적인 관광 홍보 우수사례 공유”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행사는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Ministry of Tourism and Creative Economy, MoTCE)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광 콘텐츠 제작 전문가와 업계 종사자들이 교류하는 자리이다.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디지털 관광마케팅과 관광활성화 전략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양국 간 우수 사례 공유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 및 네트워킹의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본 세미나는 영상 콘텐츠를 관광 홍보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며, 전문가 발표와 방송 제작 후보지 시찰 및 현지 촬영 관련 주요 정보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한다. SBS의 장경수 부국장, HAJI Factory의 송진선 대표, EBS <세계테마기행>의 양혜정 팀장, 대진대학교의 한우정 영화영상학과 교수, 국제 영화제 수상자 이반 한도요(Ivan Handoyo) 감독과 부디 쿠르니아완(Budi Kurniawa
베트남 파병 전우들을 그린 영화 ‘영웅들의 눈물’이 10월 2일 개봉한다. 영화 개봉을 앞두고 25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는 월남전 참전 6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 이 자리를 통해 메인 예고편과 뮤직비디오가 상영되었다. 국회의원, 중앙보훈단체장을 비롯하여 월남전 참전으로 이룩한 국위선양 및 경제발전의 위업을 후세에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월남전참전자회’ 회원 등 약 8000명의 인원이 참석했다. 특히 이화종 월남전참전자회 회장이 직접 ‘영웅들의 눈물’을 강력하게 추천하는 영상이 화제 되었다. 행사 말미,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영웅들의 눈물’ 단체 관람 예약까지 시작되기도 했다. 영화는 머나먼 이국의 정글에서 사투를 벌여야 했던 참전 전우들의 대서사시다. 1965년, 고향으로 돌아온 해병대 김진우 병장. 미래를 약속한 애인이 떠나가자 월남으로 파병을 가게 된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고 다시 돌아오게 된다. 한편, 월남전 도중 백마부대 소속 정보원으로 보직이 변경된 정종헌 병장, 전쟁을 끝내기 위해 베트남 여성 ‘흐엉’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감독: 장태령 | 출연: 일민, 윤라영, 문영 외 | 제작: ㈜케이엠스타 | 배급: 시
을밀대는 평양의 대동강 기슭의 정자다. 나훈아의 ‘대동강편지’에는 ‘대동강아 내가왔다 을밀대야 내가왔다...대동강아 내가왔다 부벽루야 내가 왔다’는 대목이 있다. ‘고향역’으로 잘 알려진 임종수 작곡에 월견초 작사다. 을밀대는 서울 마포 염리동의 ‘평양냉면’ 명가다. 평양냉면 고수들의 오래된 성지 같은 곳이다. 물냉면 15000원, 회냉면 18000원, 녹두전 12000원, 수육 대 70000원이다. 강남 을밀대는 마포 을밀대와 인척 지간이다. 강남역 4번 출구 인근 쌍용플래티넘밸류에 있다. 또한 강남의 분점은 분당에도 있다. 주문할 때 ‘거냉’과 ‘양많이’로 요청한다. 거냉은 살얼음을 제거해달라는 말이다. 양많이는 가격에 면과 육수 더 넣어주는 것이다. 육수와 겨자, 무절임, 배추김치가 테이블에 놓여 있다. 한 장이 1만2000원인 녹두빈대떡은 겉은 바싹하고 안은 촉촉해 식감을 자극한다. 을밀대 냉면 맨 위에는 얇은 배 한조각과 고기 한점이 놓어 있다. 평양냉면의 맛을 좌우하는 면은 굵다. 육수는 맑지 않고 탁하다. 이 때문에 을밀대가 쫄깃한 식감이 덜하다고 반 을밀대파도 있다. 육수는 양지-사태-갈빗살 등 소 부위로 끓인다. 필자는 평양냉면파(평냉파)다.
한국에 불법 체류한 외국인 중 가장 많은 나라의 국민은 어딜까? 10명 중 7명 이상은 태국인이었다. 27일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불법 체류 외국인은 42만3675명으로 전체 한국 체류 외국인(250만7584명)의 16.9%였다. 불법 체류 외국인은 ‘사증 면제’로 입국한 경우가 16만9000명(40.0%)으로 가장 많았다. 단기 방문 비자(8만7000명·20.5%), 비전문 취업(5만6000명·13.3%), 일반 연수(2만6000명·6.2%), 관광 통과(2만1000명·4.9%), 유학(1만명·2.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증 면제(B-1) 또는 관광 통과(B-2)로 비자 없이 입국한 경우는 총 19만명으로 전체의 44.9%이었다. 일단 한국에 들어온 뒤 취업 비자 없이 경제 활동에 나서는 사례가 많았다. 무비자로 입국한 뒤 불법체류 중인 외국인의 국적을 보면 태국인이 14만5000명(전체의 76.3%)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중국(1만5000명·7.8%), 카자흐스탄(1만1000명·5.7%), 러시아(7000명·3.8%), 말레이시아(2000명·1.0%), 미국(2000명·0.8%), 방글라데
메콩(Mekong)강은 ‘인도차이나의 젖줄’로 불린다.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등 인구 2억 4000만 명의 5개국을 관통하는 4020㎞의 강이다. 한국동남아학회가 한국의 유수한 동남아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외교부의 후원을 받아 한국과 메콩의 협력과 미래를 그리는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에는 고려대 아세안센터, 동아대 아세안연구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시아센터,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참여한다. 한-메콩의 협력과 미래 모습, 기타 자유 주제 관련 내용을,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캠페인, 애니메이션, Vlog, 인터뷰, 토크쇼, 커버송/댄스, 광고 등 다양한 양식으로 90초 영상에 담아서 보내주면 된다. 국적과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수상자들에게는 시상식을 통해 푸짐한 상금이 주어지며, 해외 거주자의 경우 한국 방문과 투어의 기회가 추가된다. 접수는 2024. 7. 27(토) ~ 10. 31(목) 자세한 사항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www.rok-mekong2024.com)에서 확인 문의 공모전 운영 사무국 : 이메일: rokmekong24@gmail.com
태국에서 미얀마 미등록 노동자 19만 명이 체포되어 추방되었다. 이들은 앞으로 2년간 이주노동자로 취업을 금지된다. 일레븐미얀마(elevenmyanmar) 9월 23일자에 따르면 태국의 고용부, 이민국, 경찰의 합동으로 한 이주노동자 단속은 지난 6월 5일부터 시작되어 120일 동안 진행되고 있다. 이 단속으로 체포된 미등록 이주노동자 중 미얀마 노동자가 19만 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총 256,213명이 체포되었다. 국적별로는 미얀마 근로자 193,430명, 캄보디아 근로자 39,736명, 라오스 근로자 15,281명, 베트남 근로자 162명, 기타 외국인 근로자 7,604명이 체포되었다. 체포된 사람 중 미얀마 근로자 1,149명, 라오스 근로자 257명, 캄보디아 근로자 259명, 베트남 근로자 31명, 기타 국가 근로자 134명은 이미 기소되었다. 이러한 대대적인 단속은 지난 4월부터 시행된 미얀마의 징병법을 피해 국경을 넘는 미얀마 청년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시작되었다. 본국으로 추방된 미얀마 이주노동자들은 일부 뇌물을 주고 빠져나온 사례를 제외하면 그대로 징집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태국 정부는 그동안 묵인해왔던 미얀마 난민에 대한 대
"한국인들도 좋아하는 아름다운 나트랑 해안을 기억하시나요?" 한국 수도 서울 도심에서 27일 베트남 중남부 해안지역 칸호아(Khánh Hòa)성(나트랑시) 관광청성의 투자촉진 컨퍼런스가 열린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베트남 칸호아성, 주한베트남대사관이 주최하는 이 행사는 소공동 더 플라자 다이아몬드홀 22층에서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열린다. 칸호아성 인민위원회 인민위원장이 환영사, 부호 주한베트남대사가 개회사, 이호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이 축사를 하는 등 베트남 및 칸호아성 진출 기업, 기관 관계자 등 150명이 참석한다. 베트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 중 하나로 꼽히는 나트랑((Nha Trang, 현지어 낫짱)은 칸호아성에 위치해 있다. 무려 6km에 이르는 길고 완만한 해안선은 한국인들에게도 좋아하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HD현대미포, 한국중부발전 등 한국기업이 진출한 곳이다. 특히 반퐁 경제구역은 전략적으로 심해 항구, 해상 양식업 등 해양 경제 및 청정에너지 분야와 제조기지로 육성된다. 성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우대 정책을 안내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산업 분야의 투자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