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가라오케 빼고 모든 서비스 업종이 영업합니다.” 베트남 현지 미디어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응웬쑤언푹(Nguyễn Xuân Phúc) 베트남 총리는 5월 7일 코로나19 예방 및 통제를 위한 국가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추가 완화 조치를 발표했다. 회의에서는 클럽과 가라오케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 업종에 대한 영업을 승인했다. 다만 모든 영업장 내 마스크 착용과 손 소독 및 방역 조치 준수는 그대로 요구된다. 또한 최대 50%였던 대중교통 인원 제한도 해제했다. 스포츠 활동 및 집회 개최를 일부 승인했다. 아울러 원활한 농산물 통관 업무를 위해 베트남-중국 간 국경 중 롱선(Lạng Sơn)과 꽝닌(Quãong Ninh) 국경 검문소 통행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나머지 국경 검문소도 온전한 방역이 이루어진다는 조건 하에 통행 재개를 검토하기로 했다. 이밖에 베트남 국내관광 촉진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 홍보 계획 수립 및 적절한 시기에 해외 관광객 유치 준비도 지시했다. 응웬쑤언푹 총리는 바이러스 예방을 지속해 나가고 감염 예방 수칙 준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개학한 각 학교는 위생 관리와 환기 등에 신경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7일 2020 KIEP 정책세미나 ‘문재인 정부 3년 대외경제정책 성과와 과제’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었다. 그 중 ‘신남방정책의 성과와 과제’ 세션은 조충제 KIEP 세계지역연구소장 사회로 정영식 KIEP 신남방경제실장이 발제했다. 조충제 소장은 “아세안-인도는 한반도를 둘러싸는 4개국과 버금가는 지역이 되었다. 한국은 사람-상생번영-평화 3P와 북방정책을 연계해 담대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늘 신남방정책의 3년을 돌아보고, 코로나19 사태 속 극복할 방안을 찾아보자”라고 말했다. 토론에는 박번순 고려대 교수, 김태환 중소기업중앙회 국제통상부장, 김영선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전 인도네시아 대사),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참석했다. ■ 정영식 실장 “경제적 전략 완화하고 사람 영역 협력 강화” 정영식 KIEP 신남방경제실장은 “2017년 11월 9일 신남방정책을 선언한 이후 3년이 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정책 선언 이후 2년 이내 신남방 11개국 순방을 완료했다. 지난해 외교부에 아세안국 설립, 주 아세안대사 차관급 격상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한
[핫피플] 전제성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장...코로나19로 인해 유튜브 ‘제1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 “코로나19로 인해 유튜브로 설명회로 진행했지만, 반응도 좋고, 내용을 튼실해요.”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계절의 여왕’ 5월 한국 사상 최초의 ‘제1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를 열었다. 본래 설명회는 오프라인으로 개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라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는 (사)한국동남아학회, 서울대 VIP진출기업현지화지원사업단과 함께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제1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를 진행 중이다. 신남방정책의 핵심 지역인 동남아 10개국 및 아세안의 지난해 동향과 올해 전망에 관해 전문연구자들이 직접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포괄적인 동남아동향설명회는 역사상 처음 성사된 행사다. 온라인 형식을 강화한 설명회는 첨부된 포스터의 QR 코드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고, '보러가기'를 클릭해도 접속하여 시청할 수 있다. 전제성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장(정치외교학과 교수)은 “연구소가 설립한 지 1년 6개월, 걸음마 단계다. 한국동남아학회지에 특집기획을 했는데 일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국내 최초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지원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4월 한 달간 인기를 끈 비상장 주식 키워드를 7일 발표했다. 3월에 이어 4월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하 코로나19) 관련 테마주가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획득한 ‘솔젠트’는 두 달 연속 조회수 1위를 차지했다. ‘바이오제멕스’, ‘씨티씨생명과학’도 조회수 Top10에 진입해 10위권 내에 총 3개의 코로나19 테마주가 올랐다. 기업가치 5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SK바이오팜’은 기업공개(IPO)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전월에 이어 조회수 7위에 이름을 올렸다. 게임 테마주의 강세도 계속됐다. 오픈월드 MMORPG ‘달빛조각사’의 대대적인 업데이트와 모바일 꾸미기 퍼즐게임 ‘프렌즈타운’ 시즌2 업데이트 등 각종 모멘텀을 등에 업은 ‘카카오게임즈’가 전월 대비 3계단 상승한 조회수 2위를 기록했다. 모바일 FPS 게임 ‘프로젝트FPS’(가칭)의 중국 내 베타 서비스를 실시 중인 ‘온페이스게임즈’와 ‘배틀그라운드’의 개발사 ‘크래프톤’도 지난 달에 이어 재차
필리핀 최대 방송사 ‘ABS-CBN’가 정부의 명령에 따라 5월 5일부터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AFP등의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정부는 ABS-CBN의 사업권 재심의 앞두고, 25년간 사업허가해왔던 방송에 대해 ‘기한 만료’ 내세워 중단 명령을 했다. 필리핀 통신위원회는 5일 “‘ABS-CBN’의 사업 허가 기간이 4일 만료됐고, 의회에 제출한 방송 사업권 갱신 요청이 아직 통과되지 않았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모두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진행 상황 등을 알려왔던 주요 방송사가 송출 중단되면서 필리핀 국민의 재난 관련 정보 접근성도 현저히 떨어지게 됐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마약과의 전쟁’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다는 이유 등으로 ABS-CBN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해왔다. 그리고 공공연히 사업권을 연장해주지 않겠다고 말해왔다. 지난해 12월에는 “ABS-CBN의 계약이 끝날 예정이다. 나 같으면 팔아버리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필리핀의 방송 사업권 허가와 갱신 권한은 의회가 갖고 있다. 지난해 5월 중간선거를 거치며 두테르테 대통령의 지지 세력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했다. ABS-CBN은 필리핀 전국에서 70개
베트남 삼성 디스플레이가 5일 베트남 정부에 ‘코로나19’ 방역협조에 감사를 표명하였다. 지난달 13일 박닌성 베트남 삼성 디스플레이 공장에서 품질검사팀 직원인 26세 베트남 남성이 ‘코로나19’ 확진자로 판정되었다. 베트남 262번째 코로나19 확진자 등장에 공장 일부가 폐쇄됐다. 해당 직원이 품질 검사 담당 부서 소속이어서 일단 생산라인은 정상적으로 가동되었다. 공장에서는 베트남 보건부 특별업무팀의 지원으로 수만 명의 노동자가 있는 공장에 대하여 코로나19 방역 및 통제 조치들이 시행되었다. 이달 5월 5일 현재 방역 업무가 최대한 준수되는 배경 속에서 회사의 생산사업활동들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재영 베트남 삼성 디스플레이 안전환경보건 담당 팀장은 “코로나19 방역에 대하여 베트남 정부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이 5월 6일 5G 스마트 제조업을 위한 산업 기반 시범운영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현지 미디어 비즈니스 타임즈(The Business Times) 5일자에 따르면 현지 이통사 M1과 다국적기업 IBM, 네트워크 제공업체 삼성 3개 사의 협력을 통해 창이 비즈니스 파크에 있는 IBM 시설에서 공장 솔루션 테스트를 진행한다. 성공적인 솔루션은 해외에서 상용화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장과 업종에 걸쳐 운영되고 싱가포르 중소 제조업체 등 기업과의 공유 또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IMDA는 5G 테스트를 위해 4000만 싱가포르 달러를 투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베트남 가수 ‘당 마이 프엉(Đặng Mai Phương)’이 빌보드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 2위에 올랐다. 베트남 미디어 VOV5에 따르면 당 마이 프엉의 노래 ‘잃을 것 없다’(영어 제목 I 'll Give My Soul)가 4월에 빌보트 차트에 진입해 계속 순위가 상승 중이다. 이 노래는 프로듀서 쯔엉 응옥 아인의 쭝브엉(Trưng Vương) 프로젝트 중 하나인 여장군 밧난(Bát Nàn)의 이야기를 다룬 단편 애니메이션의 삽입곡이다.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는 빌보드 차트 중 40~50대 차트라고 볼 수 있다. 매주 미국 성인들이 즐겨 듣는 가장 보편적인 가요들이 나열되어 있다. 빌보드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가 처음 대중에게 소개된 것은 1961년 7월 17일이다. 베트남 가수 중 마이탐(My Tam)의 앨범 ‘Tam 9’가 2017년 말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에서 10위에 도달한 후 빌보드 차트에 첫 진입이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양국을 연결하는 열차 프로젝트에 대한 합의를 7월 말까지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계약 규모는 약 7.4억 달러(약 9068억 7000만 원)으로 알려진 이 프로젝트의 계약 지연은 코로나19 사태 때문으로 알려졌다. 카카 옹(Wee Ka Siong)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은 “고속교통시스템(RTS)인 이 고속철도 관련 합의가 7월 31일까지 기한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RTS 링크 프로젝트는 지난해 정부가 2018년에 발효된 말레이시아 정부가 탄탄한 재정과 주요 거래 검토를 약속한 후 중단되었다. 마하티르 모하마드(Mahthir Mohamad) 총리는 지난해 10월에 프로젝트 비용은 약 493 억 링깃(US $ 1150 억 달러)에서 31억 1600 억 링깃으로 3 분의 1로 삭감되었다고 말했다. 마하티르의 사임 직후 올 3월 1일 취임한 무히딘 야신(Muyiddin Yassin) 새 총리는 이 프로젝트를 다시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빈그룹의 계열사 빈패스트(VinFast)는 올해 1분기 5124대의 차를 팔아 베트남 자동차 제조사 별 판매 순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빈패스트 최고 인기모델은 해치백인 파딜(Fadil)이었다. 현지 미디어 VnExpress에 따르면 베트남 1분기 브랜드별 판매순위는 현대(TC 모터스 조립)가 1위고, 일본 자동차 도요타 2위, 한국 기아(Thaco)가 3위, 일본의 혼다가 4위에 올랐다. 실제 등록된 차량을 기준으로 발표된 순위다. KOTRA 베트남 호치민무역관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팔린 자동차 브랜드는 현대자동차였다. 전년대비 25.3% 증가한 7만 9568대를 판매했다. 이어서 도요타, 혼다, 마즈다, 포드였다. 지난해 출시한 빈패스트가 올해 들어 판매 순위 5위에 오른 것 자체가 주목된다. 베트남자동차제조협회(VAMA)의 다른 회원사들과는 달리 빈패스트는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베트남 최초의 자동차 회사인 빈패스트사는 북부 항구도시 하이퐁에서 연간 25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가지고 있다. 2019년 3개 모델(Fadil, Lux A2.0, Lux SA2.0)에 대해 정식 판매를 시작한 바 있다. 2019년 한 해
베트남이 ‘식량안보’라는 이유로 쌀 수출량을 40만 톤으로 제한해 많은 불만을 불렀던 ‘쌀 수출 제한’을 풀기로 했다. Vnexpress에 따르면 베트남 재정부는 “5월 1일부터 충분한 국가 보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쌀을 확보해야 하지만, 쌀을 정상적으로 수출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 10일 코로나19 기간 동안 국가의 식량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4월 쌀 수출량을 40만 톤으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에 많은 기업들이 불만을 제기했다. 특히 베트남 세관에서 사전 통보 없이 4월 11일 자정부터 신고서를 받기 시작했다. 이에 많은 업체들은 “항구에 쌓여 있던 쌀에 대해 40만톤의 할당량이 다 찰 때까지 신고서를 제출하지 못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 같은 불만 속 응우옌 쑤언 푹 총리는 "지역사회 감염자 나오지 않은 것은 고무적이다. 식량 안보를 위해 한 달간 적용한 쌀 수출 제한 조치를 해제하라”고 지시했다. 코로나19 극복에 대한 자신감을 표출이자 경제회복에 대한 강조였다. 베트남 재정부는 “5월 1일부터 충분한 국가 보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쌀을 확보해야 하지만 쌀을 정상적으로 수출
LG그룹이 베트남 현지 공장에 인력을 급파했다. 지난달에 이어 2차 파견이다. 베트남 현지 미디어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협력회사 직원을 포함한 230여명은 이날 오전 아시아나항공 전세기로 베트남 꽝닌성 번돈공항으로 출발했다. 파견 인력들은 현지 스마트폰과 생활가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장에서 제품 개발 및 생산을 지원하게 된다. 현지에 도착한 뒤 베트남 당국이 지정한 호텔에 2주간 격리된 뒤 공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LG는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현지 공장 가동을 위한 필수 인력 250여명을 베트남에 파견한 바 있다. ‘LG 하이퐁 캠퍼스’는 TV, 생활가전, IVI(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제조 역량을 종합적으로 갖추고 있다. 베트남 내수 공급을 중심으로 운영하던 흥이옌(TV, 휴대폰)과 하이퐁(세탁기, 청소기, 에어컨)생산공장을 2014년 ‘LG 하이퐁 캠퍼스’로 통합 이전해 글로벌 생산거점으로 육성해왔다. 베트남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달 18일부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외국인의 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