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이 유럽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비즈니스 거점을 마련한다. 지난 2월 17일 농심은 3월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법인 ‘농심 유럽(Nongshim Europe B.V.)’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네덜란드는 유럽 내 최대 물류 허브로 꼽히는 로테르담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철도・육상 교통망이 잘 구축돼 있어 유럽 전역으로의 제품 공급에 유리한 위치다. 농심은 이곳에 법인을 두고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유럽 라면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20억 달러 규모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2%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농심의 유럽 매출은 연평균 25% 증가했으며, 특히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4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인 시장 관리를 위해 법인 설립이 결정됐다. 농심은 ‘투 트랙 전략’을 내세워 유럽 시장을 확대해 나갈 방침으로 ▲신라면・신라면 툼바 등 매운맛 라면의 입점 확대 ▲현지 식문화에 맞춘 맞춤형 제품 개발을 추진하며, 2030년까지 3억 달러 매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영국 테스코(Tesco) ▲독일 레베(Rewe) ▲네덜란드 알버트 하인(Albert Heijn) ▲프랑스 및 유럽 전역의
지난 2월 16일 넥슨, 롯데월드 등에 따르면 롯데월드 어드벤처에 메이플스토리 IP를 활용한 대규모 테마존 메이플 아일랜드(Maple Island)를 2026년 상반기 중 오픈한다. 메이플 아일랜드는 잠실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야외 구역인 매직아일랜드 내 약 600평 규모 공간을 ‘메이플스토리’ IP로 리노베이션해 조성된다. 현실이 되는 메이플스토리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폭넓은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롤러코스터 1종, 패밀리 어트랙션 2종 등 3종의 어트랙션과, 메이플스토리 조형물, 굿즈, 먹거리, 체험 공간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마련된다. 이로써 넥슨은 가상 공간을 넘어 현실에서도 메이플스토리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을 기준으로 22주년을 맞는 메이플스토리를 테마파크라는 현실 공간으로 확장해 오랜 게이머에게는 익숙하면서도 신선한 경험을 제공하고 메이플스토리를 처음 접하는 방문객에게는 메이플 아일랜드를 통해 메이플스토리의 세계로 자연스럽게 이끌 예정이다. 넥슨 메이플본부 강원기 본부장은 “테마파크는 일상을 벗어나 특별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장소인 만큼 오랜 시간 가상 공간에서 즐거운 경험을 제공해온 메이플스토리가 롯데월드와 만나 좋은
한화그룹(Hanhwa Group)이 아워홈 인수를 추진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Hanhwa Hotel&Resort)의 식음료(F&B) 사업 부문 역량을 강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김동선 부사장에 대한 승계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2월 11일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사회를 열고 아워홈 주주인 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 구미현 회장 외 특수관계인 2인과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번 계약을 위해 ‘우리집에프앤비’(가칭)를 설립하고 2,500억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구본상 부회장, 구미현 회장 외 특수관계인 이들이 보유한 아워홈 지분 약 58.62%(1340만주)가 인수 대상이다. 우선 주식 50.62%만 인수한 후, 구본성 전 부회장이 소유한 지분 8.0%는 당사자 간 합의한 일정기한 내에 제3자를 통해 매수할 예정이다. 인수 가격은 주당 65,000원으로 약 8,695억원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자체 보유 현금과 일부 외부 차입을 통해 2,500억 원을 출자하고, 나머지 매매대금은 재무적 투자자(FI) 출자금 및 인수금융을 통해
주류 전문기업 보해양조가 지난 2024년 긴축 경영을 통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2월 6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에 따르면 보해양조는 지난 2024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876억 원, 영업이익 25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023 년 대비 5.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64억 원을 기록하며 2023년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보해양조는 “매출액은 감소했으나, 경영전반의 긴축운용을 통한 판매비와 관리비 절감으로 영업이익이 늘었다.”며 “당기순이익도 토지・건물 등 유형자산 매각에 따른 기타영업수익이 늘면서 증가했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 2월 7일부터 은행 영업점에서 실물 신분증이 없이 모든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에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해 발급 받을 수 있는 디지털신분증이다. 세종시를 비롯한 9개 지자체에서 시범운영을 진행했으며, 오는 2월 14일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QR인증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 제출하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 2022년에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도입한 데 이어 이번에는 모바일 주민등록증으로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이용하면 ▲통장 신규, 해지 등 수신 업무 ▲대출 원금, 이자 상환 등 여신 업무 ▲환전, 외화송금 등 외환업무 ▲제신고 등 모든 은행업무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 모바일 신분증으로 가능하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KB국민은행은 고객들이 영업점에서 더 빠르고 간편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 지주사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사명을 ‘아모레퍼시픽홀딩스’로 변경한다. 지난 2월 6일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사회에서 오는 3월 25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명을 '‘아모레퍼시픽홀딩스’로 바꾸는 정관 변경을 의결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지주사의 역할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사명 변경의 이유를 설명했다. 이날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자사주 소각 계획도 공시했다. 소각 대상은 발행주식의 3.13%에 해당하는 보통주 300만 주다. 전날인 2월 5일 종가 기준 688억 5,000만 원 규모로 소각 예정일은 오는 3월 13일이다.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의 600억 원대 부실 대출 의혹으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인‘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을 겪은 새마을금고가 상근감사 의무 선임 기준을 자산 총액 8,000억 원 이상으로 결정했다. 이 기준은 ‘농협중앙회’와 같은 수준이지만 해당 기준에 적용되는 금고가 전체의 3% 수준에 불과해 사실상 유명무실(有名無實)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 6일 행정안전부는 상근감사 도입 의무 기준을 자산 총액 기준 8,000억 원 이상으로 확정했다. 문제는 이 기준을 충족하는 금고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 1,284개 새마을금고 중 자산 8,000억 원을 넘는 곳은 42개(3.3%)에 불과해 사실상 대부분의 금고는 상근감사 도입 대상에서 제외되는 셈이다. 새마을금고 측은 다른 상호금융 기관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동일기능 동일규제’ 기준을 적용했다는 설명이다. 새마을금고의 관계자는 “단위조합의 상근감사 선임 비용 등을 고려해 농협 등 업권 내 수준으로 책정했다.”면서 “최초로 상근감사 선임 의무 조항을 신설한 것이기 때문에 7월 (새마을금고법 개정안) 시행 이후 대상 금고를 확대할 필요성이
양극재 기업 ‘엘앤에프’(L&F)가 지난 2024년 5,000억 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2년 연속 적자를 냈다. 전방산업 수요 둔화에 따라 출하량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엎친 데 덮친 격 원자재인 메탈 가격이 폭락하며 판매가격이 하락, 수익성 급감으로 이어졌다. 2월 5일 엘앤에프는 연결기준 지난 2024년 연간 매출 1조 9,075억 원, 영업손실 5,10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2023년 대비 58.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023년 대비 129.5% 감소했다. 전기차 캐즘으로 지난 2023년 적자 전환한 후 적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2년간 이어진 적자 규모는 7,000억 원을 웃돈다. 지난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284%까지 치솟았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출하량이 줄었고 메탈 가격이 변동된 탓이다. 특히 리튬 가격이 지난 2024년 초 킬로그램(㎏)당 100위안 안팎에서 하반기 70위안으로 30%가량 떨어졌다. 리튬은 양극재 원가의 최대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양극재 기업들은 배터리 제조사와 광물 가격 변동분을 일정 시차를 두고 양극재 판매가격에 연동하는 계약을 맺는다. 통상 판매 시점의 광물 가격을 기준으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