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메콩델타 농업장려기구연맹 세미나’가 9월 11일 다낭시에서 열렸다. 베트남을 비롯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 5개국에서 온 60여명의 대표들이 참석했다. 경제시보(Thoi Bao Kinh Te)에 따르면 이 세미나는 메콩델타 인근국가 간 농업장려와 농업자문서비스 분야에서의 경험, 지식,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는 자리다. 이 밖에 농촌개발 및 농업 분야 연구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메콩강은 최근 9월1~6일 5박6일간의 일정으로 태국을 공식방문하고 미얀마와 라오스를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의 순방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라오스 방문에서는 메콩강의 최장 관통국으로 수자원이 풍부해서 ‘동남아의 배터리’로 주목했다. 지난 5일 문 대통령은 분냥 보라칫 라오스 대통령과 함께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메콩강변 종합 관리사업’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한·메콩 비전’을 발표했다. 라오스는 메콩강 총 4,909km 중 1,835(37%) 통과한다. 한국은 2007년 비엔티안시 메콩강변 종합관리 사업에 이어, 참파삭주, 비엔티안시 2차 종합관리 사업을 EDCF 재원으로 지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취임 2년 4개월만에 아세안 10개국 방문
“메콩강 품은 라오스서 ‘아세안 10개국 방문 완성’ 뜻깊다” 라오스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일 라오스 대통령궁에서 분냥 보라칫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은 “분냥 대통령은 항아리 평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지지해 준 점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고 말했다. 특히 “2018년 댐 사고 직후 한국정부는 긴급 복구를 위한 인도적 지원, 중장기 재건복구 사업을 지원해 감사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불행했던 댐 사고를 잘 복구하고 계신 대통령의 리더십에 경의를 보낸다. 사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에 대해 계속적인 신뢰를 보내준 점 감사하다. 비 온 뒤 땅이 굳는 것처럼, 양국 관계가 더욱 단단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분냥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해 “한반도의 비핵화로 한반도를 포함한 지역 내 평화가 정착되기를 희망한다”며 적극적 지지 입장을 나타냈다. 분냥 대통령은 “‘5개년 국가사회경제개발 계획’과 ‘비전 2030’ 등으로 정치적 안정성과 사회 치안 유지, 연간 성장률 6.5% 달성, 1인당 국민소득 증가를 이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라오스 방문 관광객은 전년 동기대비 0.5%나 감소했다. 비엔티안 타임즈(Vientiane Times)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금년도 1분기 동안 한국과 중국-베트남의 관광객 숫자가 엇갈렸다. 중국인 관광객은 2019 라오스-중국 방문의 해 홍보로 인해 16% 증가했다. 베트남 관광객도 20%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에 비해 한국인 관광객은 32%이나 감소해 뚝 떨어졌다. 태국인 관광객도 9%가 감소했다. 일부 관계자는 관광객 감소 원인을 비싼 관광상품 및 숙박비, 관광지 도로 인프라 부족 및 관광서비스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아서라고 분석했다. 라오스 정부는 2019년도 관광객 유치목표를 450만 명으로 정했다.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100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동남아시아의 스위스를 꿈꾸는 라오스는 전통적인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수력발전, 광산개발, 관광산업 등으로 최근 6% 이상의 경제 성장을 이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