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에서 5G 네트워크를 사용한 원격 진료가 이루어졌다. 중국 수도의과대학(首都医科大学) 부속 베이징 유이병원(北京友谊医院)은 지난 11일 티벳 주도인 라싸시 인민병원(拉萨市人民医院)의 의사 10여 명으로 구성된 의료팀과 5G 네트워크를 사용해 중증 췌장염 환자에 대한 원격 진료를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5G 원격 진료는 기존 통신방식과 비교해 화면 해상도가 높고, 필요한 자료 전송 속도가 훨씬 빠른 데다, 이미지 재생상태도 훨씬 원활했다고 밝혔다. 라싸시 인민병원은 지난 5월 차이나유니콤 티벳 지사와 5G 지능화 의료 연합 실험실 설립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의료 분야에서 5G 활용을 적극 추진하기 위한 이 제휴는 5G 데이터 전송을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 의료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내용이 골자로 담겨 있다. 라싸시 5G 의료 서비스 시범 사업은 5G 원격 진료, 원격 수술, 중환자 원격 모니터링, 원격 의학 교육 등의 5G 네트워크 활용 사업이 포함됐다. 라싸시 인민병원은 차후에도 베이징 유이병원을 통해 베이징시 우수 병원과 연결하고 차이나텔레콤 등 협력 파트너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5G 원격 진단·원격 치료·병원 관리 등 5G 네트워크 사용 환경을
중국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바이두가 전기자동차 시장에 뛰어들 것이란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두가 전기자동차를 직접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며, 제조업체들과 협의를 거쳤다고 보도했다. 바이두의 전기차 생산 방식을 아웃소싱 또는 제조기업과의 합자회사 설립 방식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인용을 통해 지리자동차(吉利汽车) 모기업 저장지리홀딩스(浙江吉利控股), 광저우자동차(广汽集团), 이치자동차(一汽集团) 등 자동차 제조업체와 합자기업 설립에 대한 기초적인 협상을 벌였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보도에 대해 바이두와 이치자동차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광저우자동차는 바이두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히고 추가 협력은 논의 중이라고 답신했다. 저장지리홀딩스는 해당 사항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바이두는 자사의 IT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 영역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텐센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기술에 투자하거나 관련 기업들과 협업하는 중이다. 2013년 자동차 진출한 바이두는 2017년 자회사 바이두 아폴로를 설립했고, 지리자동차, 폭스바겐,
중국 2번째 인터넷 전문은행인 ‘자오상퉈푸은행(招商拓扑银行)’의 설립을 허가했다. 1번째 인터넷 전문은행(Direct Bank)인 ‘바이신은행(CITIC AiBank)'의 설립 인가 이후 3년만의 일이다. 자오상은행(招商银行)은 상하이증권거래소를 통해 왕인온라인(网银在线) 등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자오상퉈푸은행(招商拓扑银行)’ 설립을 중국 금융 당국이 승인했다고 밝혔다. 자오상은행과 왕인온라인은 자오상퉈푸은행의 보통주를 각각 14억 주, 6억 주를 매입해 보유 지분 비중을 70%와 30%로 맞출 계획이다. 왕인온라인은 2003년 설립한 전자결제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전자상거래 기업인 징동그룹의 인공지능(AI)․블록체인 기술 개발사인 징둥수커(京东数字科)를 2012년에 인수합병한 전적이 있다. 2017년 중신은행(中信银行)과 바이두가 협력해 만든 인터넷 전문은행인 바이신은행의 설립 이후 자오상은행도 2018년 3월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했지만 중국 금융당국은 설립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이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해서 지켜본 뒤 잠재적 위험을 예방한 다음에 승인을 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2019년 말 기준 바이신은행의 총
세계 각국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가운데 일본이 전기자동차(EV)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구매 보조금을 2배로 인상할 계획이다. 일본의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과 경제산업성이 전기자동차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구매 보조금을 40만엔(한화 약 424만 원)에서 80만엔(한화 약 849만 원)으로 2배 인상할 계획이다. 인상된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기 위해선 가정과 사무실의 전기 계약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 에너지로 사용한다는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일본은 연내 이 조치를 시행하고 전기차를 보급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0년 제 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80억 엔(한화 약 849억 9680만 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이는 전기자동차 1만 대에 해당하는 보조금 규모다. 기존 정부 보조금 상한선은 40만 엔이었다. 이 조치를 시작으로 향후 일본 정부는 하이브리드(PHV) 차량의 보조금도 20만 엔(한화 약 212만 원)에서 40만 엔(한화 약 424만 원)으로 2배 인상하고 연료전지차(FCV) 보조금 역시 225만 엔(한화 약 2390만 원)에서 250만 엔(한화 약 2656만 원)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또한 구
중국 내 기업들의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가 2021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자율주행자동차 국가분류가 없어 제조사들이 레벨 2.5, 레벨 2.9 등의 임의표현으로 단계를 지정해왔었다. 이에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0년 3월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汽车驾驶自动化分级)’를 발표했고 2021년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에서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를 승인해 중국은 자체적인 자율주행 기준 단계를 갖게 됐고,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가 시행되면 제조사들은 임의로 자율주행 단계를 정할 수 없게 된다. 현제 국제적인 자율주행 단계 기준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과 미국자동차공학회(SAE)가 제시한 2가지 기준이 있고, 이 중 SAE가 제출한 기준이 표준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와 국제 표준 기준은 자율주행 단계를 0~5단계로 구분한다. 국제 기준은 레벨 0을 수동 운동의 단계로 보지만, 중국 기준은 응급 보조 단계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LDW), 자동긴급제동장치(AEB) 등 안전 보조 장치 기능이 추가된 것을 의미한다. 국제 통용 기준의 레벨 0~2는 자율주행차가
중국축구협회 천슈안 회장이 중국 슈퍼리그의 상황에 대해 비판하고 나섰다. 체단주보에 따르면, 지난 1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20 중국 프로측구 특별 정책 컨퍼런스’에서 중국 축구계에 대해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천슈안 회장은 우선 중국 축구계에 만연한 과도한 투자 분위기를 비판하면서, 한국의 K리그와 일본의 J리그와 중국 슈퍼리그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며 ‘거품이 끼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20년 가까이 피파 월드컵(FIFA World Cup)에 중국이 진출하지 못하는 상황과 한국과 일본에 비해 과도한 투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중국 슈퍼리그는 일본 J리그의 3배, 한국 K리그의 10배에 달하는 액수를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천슈안 회장은 “이 수치는 충격적이다. 양심이 죽었나?”라고 일갈했다. 또한 중국 축구 클럽에 기업명을 클럽명에 쓰지 못하게 하는 방안과 선수 연봉에 대한 샐러리 캡(Salary Cap)의 도입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히며 이를 어길 경우 벌금을 매기는 방안도 고려 중임을 밝혔다. 샐러리캡은 프로스포츠 리그에 존재하는 팀 연봉 총액 상한선으로 과도한 자금 경쟁을 방지하고 빅 마켓 팀이 특정 선수를 마구 영입하지 못하게
후베이성 우한(武汉)에 자율주행 테마파크가 개점했다. 우한시 경제기술개발구 룽링산(龙灵山) 생태공원에 19대의 자율주행 차량으로 이루어진 자율주행 테마파크가 열렸다. 테마는 택시, 이동 매점, 환경 미화, 셔틀 버스 등의 자율주행차량으로 구성됐다. 중국 최초의 자율주행 테마파크인 이 곳은 국가코넥티드카 우한 시범지구가 상업화 운영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자율주행 테마파크에는 우한 처바이(车百) 지능형 네트워크 연구원이 인프라와 플랫폼 구축을 총괄하고 바이두, 둥펑 자동차(东风汽车), 헤이리온 테크놀로지(海梁科技), 바이두, 딥블루 테크놀로지(深兰科技), 아이드라이버플러스 테크놀로지(智行者), 네오릭스(新石器), 위라이드(文远知行), 싱선테크(行深智能) 등 자율주행 기업이 지원 및 운영에 공동 참여한다. 경제기술개발구는 테마파크의 원활한 운영을 돕기 위해 주변 도로에 5G 기지국 설치와 같은 지원 플랫폼 구축을 담당했다. 테마파크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10인승 규모의 관광버스 또는 택시를 타고 5km 길이의 도로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자율주행 환경미화 차량은 공원 도로를 청소하면서 보행자와 안전을 위협하는 차량을 마주하면 급제동 정지를 하거나 피한다. 음료나
중국반도체 기업인 칭화유니그룹(紫光集团)이 다시 디폴트(Default) 상태가 됐다. 지난 9일 칭화유니그룹은 10일 만기가 도래하는 4억 5000만 달러(한화 약 4909억 원) 규모의 달러 표시 회사채 원금과 이자를 갚을 수 없다면서 채무 불이행을 선언했다. 이미 11월에 13억 위안(한화 약 2170억 원) 규모의 회사채 상환에 실패해 채무 불이행을 선언한 데 이어 2번째 디폴트 선언이다. 또한, 만기가 돌아오는 20억 달러(한화 약 2조 1840억 원) 규모의 회사채 역시 디폴트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20억 달러의 회사채는 칭화유니그룹의 계열사인 쯔광신성(紫光芯盛)에서 발행한 것으로 3개 회사채의 총 규모로 보증인은 칭화유니 그룹이다. 10억 5000만 달러(한화 약 1조 1466억 원) 규모의 회사채는 2021년 1월 31일이 만기이며 7억 5000만 달러(한화 약 8190억 원)의 회사채는 2023년 1월 31일 만기, 2억 달러(한화 약 2184억 원) 규모의 회사채는 2028년 1월 31일이 만기다. 한편, 칭화유니그룹의 잇따른 채무불이행은 AAA를 유지하던 신용평가를 투자 부적격 직전이 B까지 수직하락했다. 중국 신용평가기관인 중청신궈지(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