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부지방이 한 달 내내 쏟아진 폭우로 ‘대홍수’ 공포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있다. 중국 미디어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쓰촨-광둥-구이저우-광시-후베이-후난 등 남부지역은 올 6월 초 장마가 시작된 이래 5차례의 강한 폭우가 내렸다. 중국 기상대는 지난 24일 기준 연속 23일간 ‘호우주의보’를 발동했다. 이로 인해 집이 내려앉아 물에 잠기거나 도로가 끊어지는 등 100년만의 대홍수 사태를 맞고 있다. 29일 현재 9300여채 주택이 붕괴되었고, 17만채가 침수 피해를 겪었다. 농작물 피해는 86만 헥타르였다. 지난 22일에는 충칭시 치장에서는 수위가 205.85m까지 차올랐다. 수재민 수 1122만 명, 경제적 손실 241억 위안(원화로 환산하면 4조 1000억 원)에 이르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앞으로 중국 남부에는 7월 초까지 큰 비가 네 번 정도 더 올 거라는 예보로 더욱 불안에 떨고 있다. 여기에다 세계 최대 규모인 양쯔강 하류의 길이만 2.3km인 쌴샤댐(삼협댐) 붕괴까지 임박했다는 소문이 나와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중국 유명 콘크리트 권위자 중국 건축과학원 교수 황샤오쿤으로 추정되는 SNS에서 “이창 아래 지역은 달아나라”라는 글이 올라와 붕괴설
전경련은 지난 9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스리프리야 란가나탄(Sripriya Ranganathan) 駐한인도대사를 초청하여 기업인 조찬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한-인도 CEPA 개정 협상의 조속한 마무리와 연내 발효를 요청했다. 한국과 인도 양국은 ‘16년 6월 개선 협상 개시 이후 7차례 공식협상 등을 통해 기존 한-인도 CEPA 개선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18.7월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조기에 개정 협상 성과를 내자는 합의에 이른 바 있다. 한국과 인도는 각각 세계 11위, 7위의 경제 대국이지만 지난해 양국 간 교역액은 약 200억 달러(약 24조 200억 원)에 머물러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들어 1~4월까지 교역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약 8.3% 감소했다. 또한 권태신 부회장은 인도정부의 對한국 수출품에 대한 수입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건의했다. 인도는 2019년 말 기준으로 한국의 수출품에 대해 총 32건의 수입규제 조치를 부과 또는 조사하고 있다. 이는 인도가 한국 수출품에 대해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수입규제 조치를 부과하는 것이다. 특히, 지난 한 해에만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총 12건의
인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프랑스와 독일을 넘어섰다. 세계에서 7번째로 올라섰다. 1일(현지시간) 인도 보건-가족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9만535명으로 전날보다 8392명 많아졌다. 인도는 미국, 브라질, 러시아에 이어 코로나19의 새로운 핫스폿(집중발병지역)이 되었다. 8위 프랑스(18만8882명), 9위 독일(18만3494명)을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4위 스페인(28만6509명), 5위 영국(27만4762명), 6위 이탈리아(23만2997명)도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인구가 13억5000만 명인 인도는 100만 명당 검사 수는 2783건으로 실제 누적 확진자 수는 수십 배 넘는 추론이 가능하다.
“중국은 첨단기술에 1730조원을 쏟아부어 미국을 이기겠다.” 블룸버그통신 21일자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개막한 양회(兩會) 기간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핵심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1730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앞으로 6년간 5세대 이동통신(5G)과 인공지능(AI),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등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을 투자할 전망이다. 이는 화웨이 제재 등을 통해 중국의 IT 등 질주를 견제하려는 미국에 맞서 '첨단기술 패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의지다. 대표적으로 5G 통신망 구축과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자율주행·공장 자동화·안면 인식 등 AI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 중국 대표 IT기업인 화웨이, 알리바바, 텐센트, 디지털차이나, 센스타임 등과 지방정부와 보조를 맞춘다. 중국은 2025년까지 산업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 세계 3대 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회는 중국의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한 해 중국 정부의 경제-정치 운영 방침이 정해지는 최대의 정치행사다. 원래 중국에
HSBC가 중국의 GDP 성장률을 3.0%에서 1.7%로 하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계 투자은행인 HSBC의 취훙빈(屈宏斌) 중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리포터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미국이 중국과 탈동조화(Decoupling)을 결심하면서 미중 무역 분쟁이 기술, 공급망, 자본으로 확장될 것으로 분석했다. 리포터에는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만으로도 시장의 분위기는 꺾일 수 있다. 무역에 대해 부정적인 충격이 코로나 19 이후 상업적 투자, 특히 제조업의 반등을 방해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의 긴장 고조 국면이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 회복을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서 리포트는 오는 22일로 예정된 중국 정부의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경기안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신, 현재 경기부양책이 내놓은 적극적이고 과감한 부양책이 아니라 맞춤형 부양책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인프라 건설과 지방정부 특별채권 한도를 늘려 건설 투자가 3.8%에서 10% 이상으로 증가하고 중국 정부의 재정 적자율이 4%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HSBC는 올해 대만과 홍콩의 GDP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의 0.5%와
인도 정부는 17일 “‘전국 봉쇄령(Lock-Down 4.0)’을 5월 31일 자정까지 2주 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00명에 육박하면서 이 같은 조치를 했다. 인도는 18일 오전 1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는 9만 6169명이다. 사망자수는 3029명이다. 비즈니스 스탠더드(Business Standard) 18일자에 따르면 에이제이 발라(Ajay Bhalla) 내무 장관이 발표한 봉쇄령 연장으로 항공-철도-학교-호텔-종교시설 등 대규모 인원 집합 장소 운영이 기존처럼 금지된다. 주(州) 내외의 승용차 및 버스 이동은 주별 결정 아래 가능하다. 스포츠 경기장은 관중없이 열릴 수 있다. 고용주는 모든 직원에게 아로 로냐 세투(Aarogya Setu) 앱을 설치하여 건강 상태를 업데이트토록 해야 한다. 한편 인도 정부는 지난 3월 25일부터 55일째 전국을 봉쇄하고 있다. 애초 3월 끝날 예정이었으나, 이 기간을 17일까지 연장했다 이번에 다시 늦추게 되었다.
중국과 호주의 관계가 코로나19로 악화되면서 중국이 경제 보복 조치를 가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미국과 함께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코로나19 발원의 독립적 조사를 주장했다. 중국 책임론을 제기한 미국 정부의 입장에 국제사회의 조사를 강조한 호주 정부의 행동에 중국 정부는 강한 불만을 불러 일으켰다. 지난 4월 주 호주 청징예 중국 대사는 호주 정부의 움직임에 “호주산 와인과 쇠고기의 수입 중단을 무기로 쓸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상무부에서 호주산 보리에 80%에 달하는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중국 해관총서에서는 12일부터 호주산 육류 수입 중단을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세관에서 호주 수입산 육류에서 중국의 검역 요구 사항을 위반한 사례를 적발했고, 위반한 호주 기업 4개 사의 육류 제품 숭비 신고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히고 이를 호주 정부에 통보해 원인 규명과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호주 매체 ABC 뉴스(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News)에서는 수입 중단 통보를 받은 4개사는 호주의 소고기 수출 35%를 차
“코로나19 사태 속 인도제품을 구매해주세요.” 최근 코로나19 사태 관련하여 인도 제품을 구매해달라는 모디 총리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은 인도 소비층들이 자사 제품을 여전히 구매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코노믹 타임즈(The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인도업계는 소비자가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현지 브랜드보다 높게 평가한다고 언급하며, 모디 총리의 지지가 제품 구매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인도 내에서 글로벌 브랜드는 시장 내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특히 맥주, 음료수, 초콜릿 등 소비재와 스마트폰, TV 시장의 경우 9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중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 백색 가전의 경우 80% 이상, 치약, 샴푸 등 일용소비재 시장의 50%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