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완성차 내비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인 텔레컨스와 차량용 Head Up Display (이하 HUD)와 연동하는 서비스에 ‘누구 소프트웨어 개발 킷(이하 누구 SDK)’을 탑재해 안전 운전을 돕는 서비스 개발 관련 사업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SKT와 협약을 맺은 텔레컨스는 2004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국내외 완성차 내비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항공, 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통수단 이용자에게 안전한 경로 안내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개발 기업이다. 텔레컨스는 2020년 1월부터 티맵모빌리티의 TMAP API를 활용해 보급형 HUD (서비스명 THUD) 서비스를 순정 HUD 옵션에 가까운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제품을 출시해왔으며, 출시 1년 만에 10만 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HUD는 운전자의 주행 방향이나 주행속도, 현재시간, 안전운전 관련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차량의 앞유리에 표시해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와 사고를 예방하는 주요 차량 옵션 장치이다. 하지만 차량구매 시 순정 HUD 옵션 가격이 높아 운전자의 구매 접근성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SKT와 텔레컨스 간의 사업협약을 통해 H
LG CNS가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애플리케이션 ‘하루조각’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하루조각’은 데이터로 고객의 일상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DX 기술을 통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다. ‘하루조각’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 iOS 앱스토어에 접속해 ‘하루조각’을 검색 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시범서비스지만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이번에 출시한 LG CNS ‘하루조각’은 IT업계 기업이 내놓은 최초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가공하는 데이터 분야 전문 DX 역량을 보유한 LG CNS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출시작이다. ‘하루조각’은 은행 계좌, 카드 결제 내역, 온라인 전자 결제 내역 등 금융 정보와 오프라인 매장 방문 정보, 유튜브 시청 이력, 포털 검색 이력, 고객 스케줄 등 흩어진 고객 데이터 조각들을 한곳에 모은다. 금융데이터와 비금융데이터를 모두 활용, 고객이 기억하고 싶은 순간을 데이터로 자동 기록하고 관리하는 일기 형태의 ‘라이프 로그’ 서비스다. ‘하루조각’은 반드시 고객의 제공 동의 하에만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며, ‘하루조각’을 통한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외에는 고객 데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2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의 일반분야 주관기관으로서 사업에 예비기업을 모집한다. 계명대(총장 신일희)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2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일반분야 주관기관으로 예비창업기업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계명대의 '예비창업패키지' 주요분야는 IT, 의료, 바이오, 콘텐츠이며 유망 창업 아이템과 고급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사업화 지원과 지역창업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등 창업의 모든 과정을 지원한다. 예비창업패키지에 선정되는 기업은 사업비지원, 멘토링지원 뿐만 아니라 초기판로확보, 투자 연계, 라이브커머스 및 벌온라인 판로지원과 더불어 입주공간을 지원 받게 된다. 계명대는 지난 3년 동안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중장년기술창업센터지원사업, 이노캠퍼스지원사업 등을 통해 262개의 기업을 지원하였고 매출 764억 원과 553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고, 창업기업 투자유치는 43여억 원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2019년에 창업해 예비창업패키지 프로그램에 참가한 온라인 쇼핑몰 물류시스템 적용 자동제품 분류기 회사인 오토텍(주)은 7배의 매출증대 성과를 거두었다. 미세 와이어 기반의
3월 7일 현대자동차는 국내 완성차 브랜드 최초로 ‘인증 중고차’를 판매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중고차에 대해 완성차 업체가 성능 점검과 수리를 거쳐 보증 기간을 연장한다는 사업 계획도 공고됐다. 이에 현대 자동차가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하면서 ‘인증 중고차’에 대한 개념과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는 출고한 지 5년, 주행 거리는 10만㎞ 이내인 자사 차량 중 200여 개 항목의 품질 검사를 통과한 차량만 선별한 후 신차 수준의 상품화 과정을 거쳐 중고차를 판매할 계획이다. 한편 이를 위해 중고차의 사고 유무나 결함이나 리콜 내역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해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3월 11일까지 DGB금융그룹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DGB 피움랩(FIUM LAB)’ 4기를 모집한다. 2019년 징겨 최초 핀테크 랩으로 출범한 피움랩은 2021년까지 23개 기업 총 3기를 선발해 육성해왔다. DGB금융그룹의 계열사와의 협업을 지원하고 체계적인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 됐다. DGB금융그룹과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스타트업을 모집하며, 4기부터는 계열사별 집중 모집 영역을 추가했고, 메타버스, 블록체인, 인공지능, 데이터 영역 등 기술 분야도 추가했다. 4기는 약 10개사 내외로 선발해 기술력이 우수한 스타트업은 올해 DGB대구은행에서 신설한 ‘AI융합팀’과 협업해 기술검증(PoC) 기회를 제공한다. 4기 피움랩은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대구‧경북 소재의 신규 스타트업 육성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터 트랙’과 DGB금융그룹 계열사와의 협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트랙’ 등 2트랙으로 운영된다. 피움랩에 선발된 기업에는 ▲DGB금융그룹 계열사 협업 기회 제공 ▲하이투자파트너스 투자 검토 ▲사무‧회의공간 지원 ▲디캠프 디데이 출전권 부여 검토 등 다양
아립에미리트연합(UAE)의 국영 항공사인 드나타(Dnata)가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자동화 화물 센터에 2억 2300만 달러(원화 약 2653억 원)를 투자한다. 드나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한 ‘드나타 카고 시티’의 화물 수용력 향상과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동화 화물 센터에 2억 2300만 달러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투자로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에 드나타는 완전 자동화된 화물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자동화 화물센터는 연간 58만t 이상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자동화 카고 센터는 부패성 의약품 및 위험물을 비롯하여 모든 종류의 화물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최고 산업 표준을 준수해 유럽 허브공하엥서 특수 위험 물질을 취급할 수 있는 첨단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드나타 데이비드 베커는 수석 부사장은 “우리의 새로운 화물 시설은 고객에게 동급 최강의 솔루션을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급증에 대응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UAE 두바이에 본사를 둔 드나타(Danata)는 14개국 120여 개 공항에서 최신 공항 관리 기술, 음식 공급 및 소매 서비스를 통해 세계적인
2021년 전 세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액은 감소세였지만 SK하이닉스는 매출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2월 1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액은 3분기 대비 5.8% 감소한 250억 3000만 달러(원화 약 29조 9233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과 반도체 대란 및 물류 대란으로 인해 부품 공급이 제한되고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D램 가격이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분석했다.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는 4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3분기 44.0%보다 1.7%p 하락한 42.3%를 기록했다. 매출은 3분기 대비 9.4% 감소했다. SK하이닉스는 시장점유율은 3분기 27.2%에서 2.5%p 상승한 29.7%를 기록했고 매출 역시 3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3위인 마이크론도 전 분기 대비 4분기 매출이 8.3% 줄었고 난야는 10.1% 감소폭을 보였다. 5위인 윈본드는 3.5% 감소했고 6위인 PSMC도 시장점유율이 1.2% 감소했다. 4분기 D램 매출액이 3분기보다 늘어난 곳은 SK하이닉스가 유일했다. 트렌드포스는 2022년 1분기에도 공급과잉으로 인해 D램 가격의 하락
2021년 삼성전자가 등기이사들에게 인당 평균 60억 원 이상의 연봉을 지급했다. 2월 18일 삼성전자가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6명으로 구성된 등기이사 11명에게 총 323억 원을 지급했다. 삼성전자 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처우 규정’에 따라 고정 보수를 받는다. 2020년 사외이사 6인의 연봉은 총 8억 원이었고, 2021년에도 인원 구성에 변경이 없었기 때문에 비슷한 규모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사내이사 1인당 평균 연봉은 2019년 30억 400만 원, 2020년 53억 7500만 원을 받았다. 2021년에 삼성전자는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다성하는 등 호실적을 거두어 사내이사들은 더 많은 연봉과 성과급을 받았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2021년 매출 279조 6,000억 원, 영업이익 51조 6,300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최고 성적이고 영업이익은 역대 3번째 규모다. 정확한 2021년 등기이사 개인별 연봉은 3월 사업보고서에서 공개된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2017년부터 보수를 받지 않는 ‘무보수 임원’ 자리를 유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