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가 자사 모든 차량에 최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10일 비야디(BYD) 왕촨푸 회장은 중국 선전 BYD 본사에서 BYD의 최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인 ‘가즈아이’(God’s Eye)를 소개하며 “운전자의 개입 없이 1,000㎞ 이상을 자율주행할 수 있고 주차 성공률도 99%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즈아이는 모든 고객이 스마트 운전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며 “이는 지난 7년간 5,000명의 엔지니어가 열심히 연구한 결과다.”라고 덧붙였다. 올해 가즈아이는 BYD 전국 판매량의 ⅔에 해당하는 1,500만대 신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특히 ‘가성비’ 높은 자율주행을 선보이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왕촨푸 회장은 “현재 자율주행의 가장 큰 장애물은 높은 비용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은 가격이 20만 위안(원화 약 3,900만 원) 이상인데 좋은 기술은 모든 사람이 접근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의 저가 추론 인공지능인 딥시크(Deepsik)가 공개되면서 자율주행 시스템의 개발비용도 저렴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왕촨푸 회장은 “더 많은 사람이 자율주
지난 2월 6일 중국군이 3호 항공모함 푸젠함에 배치할 조기경보기 등 특수 항공기 훈련 전략을 시험하기 시작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인민해방군 해군항공대학 소속 비밀 기지의 특수 임무 비행 교육팀은 향후 항공모함 특수 항공기 도입에 대비해 수송기 Y-7을 활용한 항공모함 기반 훈련 절차를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관영매체 중국중앙TV(CCTV)는 교육팀이 설계기관을 방문해 취역을 앞둔 항공모함 기반 특수 임무 항공기를 파악하고 기술 평가를 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이 항공모함 푸젠함에 어떤 특수 항공기를 배치할지 공식 확인하지는 않았으나, 지난 1월 CCTV 뉴스에 화면으로 등장한 푸젠함 휘장에서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항공기가 그려져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미 함재기로 공개된 ‘J-15 전투기’와 ‘J-35 전투기’ 외에도 ‘조기경보기’가 탑재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중국 군사 항공 전문가 푸첸사오는 “KJ-600이라는 항공모함 기반 조기경보기 개발을 암시하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 밖에도 항공모함 기반 대잠 초계기나 수송기가 탑재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22년 6월 진수된 배수량 80,000여t의 푸젠함은 중국이 자체 설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MBK Partners)가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업체인 ‘FICT’(옛 후지쓰 인터커넥트 테크놀로지스)를 1,000억 엔(원화 약 9,5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지난 2월 6일 FICT의 기존 최대주주인 투자펀드 ‘어드밴티지 파트너스’로부터 MBK가 80%, 미국 반도체 검사 장비 기업인 폼팩터가 20%의 지분을 각각 인수한다. FICT는 앞서 후지쓰 자회사였다가 지난 2020년 ‘어드밴티지 파트너스’로 매각됐다. FICT는 고밀도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갖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다. 지난 2024년 3월 회계연도 매출액은 300억 엔(원화 약 2,871억 7,500만 원), 직원수는 980명이다. MBK는 그동안 일본에서 소비재 및 서비스 기업에 투자를 주로 단행했으나,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일본 2・3위 완성차 제조업체 혼다와 닛산의 합병이 결렬될 위기에 처했다. 혼다가 닛산과 공동소유 합병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닛산을 자회사로 통합하자는 방안을 제시해 강력하게 반발에 나서면서다. 지난 2월 5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닛산자동차는 혼다자동차와 경영통합을 위한 합의(MOU) 철회를 결정했다. 혼다와 닛산은 지난 2024년 12월 경영 통합을 통해 지주회사를 설립한 뒤 완성차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주회사 설립에 닛산을 자회사로 통합하자는 논의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반발이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혼다는 실적부진을 겪고 있는 닛산의 경영 정상화 계획 수립을 통합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웠다. 닛산은 실적 회복 계획을 마련해 왔으나 각 지역에서 구조조정에 대한 반발이 거세 난항을 겪었다. 이에 혼다는 닛산의 경영 정상화에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고 닛산을 자회사로 편입해 혼다자동차가 주도로 실적 회복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대등한 관계로 통합을 희망하는 닛산 내부의 반발이 심화하면서 양측 간 입장차가 더욱 커졌고 끝내 통합 협의 중단으로 이어졌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혼다와 닛산은 통합 협의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人民銀行)이 춘절 연휴를 앞두고 연일 시장에 단기 자금을 투입해 유동성 개선에 나섰다. 지난 1월 27일 인민은행은 전날인 1월 26일 1.65%의 이자율로 14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을 통해 1,510억 위안(원화 약 29조 8,300억 원)을 시장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역레포’란 중앙은행이 입찰을 통해 상업은행에서 증권을 매수한 후 나중에 다시 매도하기로 합의하는 절차다. 해당 규모만큼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으며 만기가 7일 또는 14일로 짧은 것이 특징이다. 인민은행은 지난 1월 22일에 1조 575억 위안(원화 약 209조 원), 1월 24일에도 2,840억 위안(원화 약 56조 원)의 규모의 14일 역레포를 1.65%의 이자율로 실시했다. 지난 1월 24일에는 국가 은행 시스템에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2,000억 위안(원화 약 39조 5,000억 원) 규모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공급하기도 했다, 인민은행이 중단기 유동성을 계속 투입하는 이유는 앞으로 시작할 춘절 연휴에 원활한 자금 흐름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오는 1월 28일부터 2월 4일까지 8일간 춘절 연휴다. 시중 유동성에 증가
일본 토요타가 중국 합작사 수장을 현지인을 임명했다. 중국 판매 부진을 타파하기 위해 현지 진출 61년만에 내린 결단이다. 지난 1월 26일 도요타(Toyota)는 리후이(Li Hui) 렉서스 차이나(Lexus China) 부사장을 토요타 차이나(Toyota China) 총경리로 임명했다. 지난 1964년 토요타 중국 진출 이후 일본인 아닌 현지인이 총경리를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판매 부진을 타파하기 위한 초강수이다. 도요타는 지난 2024년 중국 시장에서 2023년 대비 6.9% 감소한 177만 6,000여 대 판매에 그쳤다.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은 타 일본 자동차 브랜드 역시 마찬가지다. 혼다의 2024년 중국 판매량은 85만 2,000여 대로 2023년 대비 30.9%로 하락했고 닛산의 2024년 중국 판매량은 69만 6,000여 대로 2023년 대비 12.2% 하락했다. 닛산은 2014년 이후 최저치의 실적이다. 일본 브랜드 판매량 감소의 배경으로는 로컬 브랜드들의 신에너지차(NEV) 시장 수요 선점 가속화가 지목되고 있다. 내연기관 차량 수요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가운데 순수 전기차(BEV)에 대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기 못한 데 따른 결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앞으로 기준금리를 반년마다 0.25%p씩 올려 2026냔 연초에는 1%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 1월 25일 아사히신문은 일본 금융시장 전문가들이 일본 기준금리가 6개월 간격으로 0.25%p씩 상승해 2026년 봄에는 1%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2024년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이하 ‘금정위’)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다. 이어 지난 2024년 7월과 2025년 1월 24일 연이어 금리를 올리면서 현재 일본 기준금리는 0.5%에 도달했다. 일본은행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 결정 이후 열린 회견에서 “앞으로 데이터를 신중하게 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0.25%p 올리면 1995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본 기준금리는 1991년에 6%였으나 이후 계속 하락했고, 1995년 9월부터는 0.5%와 마이너스 사이를 오갔다. 이 시기를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부른다. 아사히신문은 일본은행이 향후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관건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
중국이 지난 2024년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5%를 달성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세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국세 수입이 경제 성장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는 셈이다. 지난 1월 26일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국 공공수입은 21조 9,702억 위안(원화 약 4,345조 원)으로 2023년 대비 1.3% 증가했다. 지난 2024년 1~9월까지만 해도 2023년 1~9월 대비 2.2% 감소했으나 4분기 들어 정부의 부양책 등 영향으로 수입이 증가하면서 반등했다. 이는 중국내 수요 부족, 산업 생산자 출하 가격 하락, 2023년 중반에 발표된 감세 정책의 기저 효과 등 요인으로 2024년 전반기엔 공공수입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중국 내부에서 나온다. 지난 2024년 9월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결정한 증량 정책이 효과를 내면서 주요 경제 지표가 다소 회복하고 재정 수입 증가율도 플러스로 전환했다. 다만 공공수입의 다수를 차지하는 세수는 감소를 면치 못했다. 지난 2024년 국세 수입은 17조 4,972억 위안(원화 약 3,460조 원)으로 2023년 국세 수입 대비 3.4% 감소했다. 세금 외 수입도 4조 4,730억 위안으로 2023년 대